"경주 황룡사 구층목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민족기록화 문화유산 황룡사 황룡사모형.JPG
 
|사진=민족기록화 문화유산 황룡사 황룡사모형.JPG
|사진출처=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
|사진출처=
 
|대표명칭=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대표명칭=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한자표기=慶州 皇龍寺九層木塔
 
|한자표기=慶州 皇龍寺九層木塔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던 목탑.<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던 목탑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내용'''==
 
=='''내용'''==
황룡사 가람 배치 때 중심 불탑(佛塔)으로 건립되었으나 1238년(고려 고종 25) 몽골의 병화(兵火)로 가람 전체가 불타버린 이후로 옛터만이 남아 있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7 황룡사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경주 황룡사지 장육존상|장육존상]]과 함께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643년(선덕여왕 12)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자장]](慈藏)의 요청으로 건조되었다 한다. 그러나 645년(선덕여왕 14) 처음 건축을 시작하여 그해 4월 8일에 찰주를 세우고 이듬해 완공했다는 설도 있는데, 이는 황룡사 구층탑지 심초석(心礎石) 안에서 도굴된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신라황룡사찰주본기]](新羅皇龍寺刹柱本記)에서 비롯한 것이다. <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황룡사 가람 배치 때 중심 불탑(佛塔)으로 건립되었다. 그러나 1238년([[고려 고종]] 25) 몽골의 병화(兵火)로 가람 전체가 불타버린 이후로 옛터만이 남아 있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7 황룡사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경주 황룡사지 장육존상|장육존상]](丈六尊像)과 함께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643년(선덕여왕 12)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자장]](慈藏)의 요청으로 건조되었다 한다. 그러나 645년(선덕여왕 14) 처음 건축을 시작하여 그해 4월 8일에 찰주를 세우고 이듬해 완공했다는 기록이 있다. 황룡사 구층탑지 심초석(心礎石) 안에 있던 사리함이 도굴되었다가 수습된 바가 있었는데, 그 사리내함  안팎에 새겨져 있던 「[[신라황룡사찰주본기]](新羅皇龍寺刹柱本記)」를 판독하면서 밝혀진 것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황룡사의 조영"(김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황룡사의 조영"(김태) 지식관계망]'''
  
 
<html>
 
<html>
76번째 줄: 76번째 줄:
 
|35.837947 || 129.232168 || [[경주 황룡사|황룡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경주 황룡사지|황룡사지]]에 있었다.
 
|35.837947 || 129.232168 || [[경주 황룡사|황룡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경주 황룡사지|황룡사지]]에 있었다.
 
|}
 
|}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5.837947" lon="129.232168" type="normal" zoom="17"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5.837947, 129.232168, [[경주 황룡사]]
 
</googlemap>
 
  
 
=='''시각자료'''==
 
=='''시각자료'''==
84번째 줄: 81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br/>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황룡사 황룡사모형.JPG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모형.<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문화유산 황룡사 황룡사모형.JPG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모형.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황룡사지_목탑터.JPG| 경주 황룡사지 목탑 터.<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황룡사지_목탑터.JPG| 경주 황룡사지 목탑 터.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황룡사_황룡사복원도.JPG| 경주 황룡사 복원도.<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황룡사_황룡사복원도.JPG| 경주 황룡사 복원도.
 
</gallery>
 
</gallery>
  
100번째 줄: 9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8472 황룡사 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7 황룡사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7 황룡사구층목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107번째 줄: 105번째 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759 경주 황룡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759 경주 황룡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조유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31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유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31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6702&cid=40942&categoryId=31548 황룡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6 황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26 황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요청]]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2017년 12월 25일 (월) 02:11 기준 최신판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慶州 皇龍寺九層木塔)
민족기록화 문화유산 황룡사 황룡사모형.JPG
대표명칭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한자표기 慶州 皇龍寺九層木塔
유형 목탑(터)
시대 신라
소장처 경북 경주시 구황동 320-1
관련장소 경주 황룡사
관련유물유적 경주 황룡사지,경주 황룡사지 장육존상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던 목탑이다.[1]

내용

황룡사 가람 배치 때 중심 불탑(佛塔)으로 건립되었다. 그러나 1238년(고려 고종 25) 몽골의 병화(兵火)로 가람 전체가 불타버린 이후로 옛터만이 남아 있다.[2][3] 장육존상(丈六尊像)과 함께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643년(선덕여왕 12)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자장(慈藏)의 요청으로 건조되었다 한다. 그러나 645년(선덕여왕 14) 처음 건축을 시작하여 그해 4월 8일에 찰주를 세우고 이듬해 완공했다는 기록이 있다. 황룡사 구층탑지 심초석(心礎石) 안에 있던 사리함이 도굴되었다가 수습된 바가 있었는데, 그 사리내함 안팎에 새겨져 있던 「신라황룡사찰주본기(新羅皇龍寺刹柱本記)」를 판독하면서 밝혀진 것이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룡사 황룡사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구층목탑 황룡사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황룡사 구층목탑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장육존상 황룡사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황룡사 신라 진흥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아소카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태-황룡사의 조영 황룡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569년 신라 진흥왕황룡사를 건설하였다.
574년 아소카왕삼존불상의 재료를 보냈다.
645년 황룡사 구층목탑이 완공되었다.
1238년 몽고의 침입으로 황룡사가 소실되었다.
1976년 발굴조사가 시작되어 4만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837947 129.232168 황룡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황룡사 구층목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정영호, "황룡사구층목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황룡사 구층목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황룡사 구층목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유용한 정보

  1. "경주 황룡사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조유전,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병조, "황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