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학반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한글팀 해학반도도 국립중앙박물관 미국호놀루루미술관 02.jpg
 
|사진= 한글팀 해학반도도 국립중앙박물관 미국호놀루루미술관 02.jpg
|사진출처= 네이버 뉴스, 뉴시스 2007년 09월 17일 기사
+
|사진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568130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 귀국 앞서 국내 공개]", 『뉴시스』, 작성일: 2007년 09월 17일.
 
|대표명칭= 해학반도
 
|대표명칭= 해학반도
 
|한자표기= 海鶴蟠桃
 
|한자표기= 海鶴蟠桃
10번째 줄: 10번째 줄:
 
}}
 
}}
 
=='''정의'''==
 
=='''정의'''==
十長生(십장생)에 속하는 바다, 학, 반도복숭아 등으로, 오래 살거나 없어지지 않는 것을 상징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7362&cid=50293&categoryId=50293  해학반도(海鶴蟠桃)]",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십장생(十長生)에 속하는 바다, 학, 반도복숭아 등으로, 오래 살거나 없어지지 않는 것을 상징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7362&cid=50293&categoryId=50293  해학반도(海鶴蟠桃)]",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내용'''==
 
=='''내용'''==
===용어설명===
+
반도(蟠桃): 삼천 년마다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경(仙境)에 있는 복숭아이다.<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5360800  반도(蟠桃)]",,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사전』<sup>online</sup></online></html>. </ref>
반도(蟠桃): 삼천 년마다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경(仙境)에 있는 복숭아.<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5360800  반도(蟠桃)]",,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사전』<sup>online</sup></online></html>. </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45번째 줄: 44번째 줄: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 김수진, 「제국을 향한 염원 :  호놀룰루 아카데미 미술관 소장 〈海鶴蟠桃〉 병풍」, 『美術史論壇』, 한국미술연구소, Vol.28 No.-, 2009, 61-88(28쪽).
+
** 김수진, 「제국을 향한 염원 :  호놀룰루 아카데미 미술관 소장 〈海鶴蟠桃〉 병풍」, 『美術史論壇』28, 한국미술연구소, 2009, 61-88쪽.
 
+
*웹자원
*신문, 잡지
+
** 박희송,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568130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 귀국 앞서 국내 공개]", 『뉴시스』, 작성일: 2007년 09월 17일.  
** 박희송,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568130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 귀국 앞서 국내 공개]", 『뉴시스』, 2007년 09월 17일.  
+
** 정재훈, "[http://www.nocutnews.co.kr/news/348180  최초 공개, 십장생 병풍의 진수 "해학반도도"]", 『노컷뉴스』, 작성일: 2007년 09월 18일.  
** 정재훈, "[http://www.nocutnews.co.kr/news/348180  최초 공개, 십장생 병풍의 진수 "해학반도도"]", 『노컷뉴스』, 2007년 09월 18일.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758942  중앙박물관서 병풍 '해학반도도' 전시]",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09월 18일.  
** kind3@yna.co.kr,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758942  중앙박물관서 병풍 '해학반도도' 전시]", 『연합뉴스』, 2007년 09월 18일.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궁중문양 십장생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322&index_id=cp03220542&content_id=cp032205420001&search_left_menu=9 궁중문양 십장생문]",  주제별 문화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 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11월 22일 (수) 23:59 기준 최신판

해학반도
(海鶴蟠桃)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 귀국 앞서 국내 공개", 『뉴시스』, 작성일: 2007년 09월 17일.
대표명칭 해학반도
한자표기 海鶴蟠桃
유형 개념


정의

십장생(十長生)에 속하는 바다, 학, 반도복숭아 등으로, 오래 살거나 없어지지 않는 것을 상징한다.[1]

내용

반도(蟠桃): 삼천 년마다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경(仙境)에 있는 복숭아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학반도 십장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해학반도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해학반도 바다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학반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학반도 반도복숭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해학반도(海鶴蟠桃)",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반도(蟠桃)",, 『네이버 사전』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