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형구-한산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작품명= 김형구-한산대첩 |작가= 김형구 |제작연도=...)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5번째 줄: 8번째 줄:
 
|작가= [[김형구]]
 
|작가= [[김형구]]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
|소장처= [[전쟁기념관]]
|필드수=7
+
|필드수=8
 
}}
 
}}
  
=='''개요'''==
+
=='''정의'''==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800px|center]]
+
1592년([[조선 선조]] 25)에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 수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형구]]의 민족기록화이다.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수군을 격퇴하는 장면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br/>
+
===작품 소재===
<br/>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right|450px]]
 +
[[한산대첩]](閑山大捷)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1561~1597)의 전선 48척과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1540~1597)의 전선 7척이 연합하여 왜장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73척의 왜 수군 주력 함대를 무찌른 해전이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76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관련 민족기록화'''==
+
===작품 구도===
임진왜란 관련한 민족기록화
+
적진 깊숙이 돌진해 들어간 '''①②⑤[[거북선]] 3척'''이 화면 중앙에 그려져 있고, 바다 곳곳에 '''①②④⑤왜군들의 시신과 침몰한 왜선의 잔해'''가 떠있다. 왼편에 있는 왜군의 '''④아타케부네(安宅船)'''를 향해 '''⑤거북선이 돌격'''해 가고 있고 반대편의 판옥선(板屋船)에에는 '''⑥조선군의 지휘관'''이 방패로 앞을 가리고 전투를 지휘하고 있다. 조선 수군은 활과 긴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거리 포격이 아닌 지근 거리에서 '''⑤화포를 수평으로 사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gallery>
+
 
 +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김태 「한산대첩」 1975|800px|center
 +
rect 161 108 462 251 [[거북선]]
 +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형구-한산대첩_전시회_01.jpg|[[국가기록원]] 전시회 모습<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4&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3/C033.htm "한산대첩"(김형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3/C03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김형구-한산대첩]] || [[김형구]]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형구-한산대첩]]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김형구-한산대첩]]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이순신]] || [[한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억기]] || [[한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원균]] || [[한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와키자카 야스하루]] || [[한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거북선]] || [[한산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학익진]] || [[한산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임진왜란 3대첩]] || [[한산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임진왜란 3대첩]] || [[진주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임진왜란 3대첩]] || [[행주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이순신]]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원균]] || [[칠천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억기]] || [[칠천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억기]] || [[칠천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와키자카 야스하루]] || [[칠천해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순신]] || [[여수 충민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이억기]] || [[여수 충민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이순신]] || [[권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원균]] || [[권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권율]]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시민]] || [[진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난중일기]] || [[한산대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난중일기]] || [[이순신]]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1975년 || [[김형구]]가 [[김형구-한산대첩]]을 제작하였다
 +
|-
 +
| 1979년 || [[국회사무처]]가 [[김형구-한산대첩]]을 대여하였다.
 +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
| 34.794387 || 128.471667 || [[이순신]]은 [[한산도 제승당]]에 배향되었다
 +
|}
 +
 
 +
*'''임진왜란 3대첩'''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6/C02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임진왜란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36번째 줄: 145번째 줄:
 
</gallery>
 
</gallery>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3/index.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3/index.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추출정보'''==
+
===영상===
===작품정보 연결망===
+
* 인터넷통영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otxD_hLhfJg#action=share (인터넷통영방송) 한산대첩 재현장면 (이순신 공원)]", ''Youtube'', 작성일: 2014년 08월 17일.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한산대첩.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otxD_hLhfJ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
=='''주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references/>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김형구]]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국회사무처||소장처|| 1991년
 
|-
 
|전쟁기념관||소장처|| 2016년
 
|}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
#웹 자원
 +
#* 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676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388 한산도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더 읽을거리===
 +
# 단행본
 +
#* 김탁환, 『불멸의 이순신』, 민음사, 2014.
  
=='''주석'''==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군사]][[분류:조선]]
 

2024년 3월 14일 (목) 14:00 기준 최신판



김형구-한산대첩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작가 김형구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에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 수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형구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한산대첩(閑山大捷)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1561~1597)의 전선 48척과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1540~1597)의 전선 7척이 연합하여 왜장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73척의 왜 수군 주력 함대를 무찌른 해전이다.[1]

작품 구도

적진 깊숙이 돌진해 들어간 ①②⑤거북선 3척이 화면 중앙에 그려져 있고, 바다 곳곳에 ①②④⑤왜군들의 시신과 침몰한 왜선의 잔해가 떠있다. 왼편에 있는 왜군의 ④아타케부네(安宅船)를 향해 ⑤거북선이 돌격해 가고 있고 반대편의 판옥선(板屋船)에에는 ⑥조선군의 지휘관이 방패로 앞을 가리고 전투를 지휘하고 있다. 조선 수군은 활과 긴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거리 포격이 아닌 지근 거리에서 ⑤화포를 수평으로 사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림 읽기

거북선김태 「한산대첩」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형구-한산대첩 김형구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형구-한산대첩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김형구-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이순신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원균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와키자카 야스하루 한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거북선 한산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학익진 한산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임진왜란 3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첩 진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순신 명량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원균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억기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와키자카 야스하루 칠천해전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순신 여수 충민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이억기 여수 충민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이순신 권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원균 권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권율 행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시민 진주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난중일기 한산대첩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난중일기 이순신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형구김형구-한산대첩을 제작하였다
1979년 국회사무처김형구-한산대첩을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김형구-한산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34.794387 128.471667 이순신한산도 제승당에 배향되었다
  • 임진왜란 3대첩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조성도, "한산도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2. 웹 자원
    • 조성도, "한산도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산도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김탁환, 『불멸의 이순신』, 민음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