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이혜영님이 기일생신첩 문서를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한글고문헌 샘플
+
{{다른 뜻|
 +
|동음이의페이지명=[[기일록]]
 +
}}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한글팀 기일생신첩01 기일생신첩01.jpg
 
|이미지= 한글팀 기일생신첩01 기일생신첩01.jpg
 
|대표명칭= 기일생신첩
 
|대표명칭= 기일생신첩
25번째 줄: 27번째 줄:
 
==내용==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김상덕]](金商悳, 1852~1924)이 쓴 8대조의 생신과 기일 기록이다. 4절 8면의 첩장으로, 푸른색 표지에 ‘긔일신첩’이라 명기하였다.
+
[[김상덕]](金商悳, 1852~1924)이 쓴 8대조의 생신과 기일 기록이다. 4절 8면의 첩장으로, 푸른색 표지에 '긔일신첩'이라 명기하였다.
 
한 면에는 8대조의 이름, 생일, 기일을 쓰고, 다른 한면에는 7대조의 이름과 기일만 기록하였다. 이름은 모두 황색 종이로 가려서 볼 수 없도록 하였다. 8대조는 문정공 [[김홍욱|김홍욱(金弘郁, 1602~1654)]]과 [[김홍욱 처 동복 오씨|동복오씨(同福吳氏)]], 7대조는 통훈대부 황간현감공 [[김계진|김계진(金季珍, 1646~1709)]]과 [[김계진 처 거창 신씨|거창신씨(居昌愼氏)]], 6대조는 증의정부좌찬성공 [[김두광|김두광(金斗光, 1674~1702)]]과 [[김두광 처 전주 이씨|전주이씨(全州李氏)]], 5대조는 증의정부좌찬성공 [[김운경|김운경(金運慶, 1699~1728)]]과 [[김운경 처 순흥 안씨|순흥안씨(順興安氏)]], 고조는 증이조판서공 [[김한희|김한희(金漢禧, 1720~1752)]]와 [[김한희 처 남양 홍씨|남양홍씨(南陽洪氏)]], 증조는 판서공 [[김면주|김면주(金勉柱, 1740~1807)]]와 [[김면주 처 전주 이씨|전주이씨]]·[[김면주 처 거창 신씨|거창신씨]], 조부는 통덕랑공 [[김노석|김노석(金魯錫, 1789~1840)]]이다. 이는 조상의 생일과 기일에 맞추어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50쪽.</REF>
 
한 면에는 8대조의 이름, 생일, 기일을 쓰고, 다른 한면에는 7대조의 이름과 기일만 기록하였다. 이름은 모두 황색 종이로 가려서 볼 수 없도록 하였다. 8대조는 문정공 [[김홍욱|김홍욱(金弘郁, 1602~1654)]]과 [[김홍욱 처 동복 오씨|동복오씨(同福吳氏)]], 7대조는 통훈대부 황간현감공 [[김계진|김계진(金季珍, 1646~1709)]]과 [[김계진 처 거창 신씨|거창신씨(居昌愼氏)]], 6대조는 증의정부좌찬성공 [[김두광|김두광(金斗光, 1674~1702)]]과 [[김두광 처 전주 이씨|전주이씨(全州李氏)]], 5대조는 증의정부좌찬성공 [[김운경|김운경(金運慶, 1699~1728)]]과 [[김운경 처 순흥 안씨|순흥안씨(順興安氏)]], 고조는 증이조판서공 [[김한희|김한희(金漢禧, 1720~1752)]]와 [[김한희 처 남양 홍씨|남양홍씨(南陽洪氏)]], 증조는 판서공 [[김면주|김면주(金勉柱, 1740~1807)]]와 [[김면주 처 전주 이씨|전주이씨]]·[[김면주 처 거창 신씨|거창신씨]], 조부는 통덕랑공 [[김노석|김노석(金魯錫, 1789~1840)]]이다. 이는 조상의 생일과 기일에 맞추어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50쪽.</REF>
  
===기일록===
+
===[[김상덕]]과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기일록은 조상의 제삿날을 월별, 혹은 조상별로 구분하여 기록한 것으로, 한 집안에서 1년 동안 정기적으로 치러야 할 제사를 잊지 않고,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기록한 일종의 일정표이다. 주로 조상의 제삿날을 기록한 것이지만, 가족의 생일, 세계도(世系圖:가족 대대의 혈통을 그린 그림), 가례오복(家禮五服:집안의 예법과 상복을 입는 예법), 조장식(弔狀式:조문을 하는 뜻을 담은 글) 등을 첨부하여 참고하기도 한다. ‘기일비망기(忌日備忘記)’ 또는 ‘기안(忌案)’이라고도 한다. 여성들이 어려운 한자가 아니라 한글로 작성하여 보관한 기일비망록도 있다. 일정한 형식이 없이 사용하기에 편한 형태로 만들어졌지만, 두꺼운 한지를 병풍식으로 접어 항상 휴대할 수 있게 만든 수진본(袖珍本:소매나 호주머니에 넣을 수 있게 만든 작은 책)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
김상덕은 [[김창재]]와 [[김창재 처 안동 권씨|안동권씨]]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세자시강원 필선으로 있으면서 세자([[조선 순종]])의 교육을 담당했다. 이때 순종의 아내인 [[순명효황후 민씨]]와도 친분을 쌓고 편지를 주고 받는다. 1906년에는 홍성에서 전참판 [[민종식]]이 [[을사조약]]을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키자 군사고문으로 참가하였다. 의병이 진압되면서 10년 유배형을 받아 지도(智島)로 유배되었으나 바로 석방되었다. 1910년 나라가 망하자 집에 가시나무를 3겹으로 두르고 상복만 입으며 외딴섬에 위리안치된 것 처럼 지내다가 1924년에 죽었다. <ref>어강석, 「藏書閣 所藏 '純明孝皇后 관련 한글 簡札'의 內容과 價値」, 『장서각』17, 2007, 170쪽.</ref>이처럼 학문에 조예가 깊고 강직한 성품을 지녔던 김상덕은 집안의 장손으로서 책임감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집안 여성들이 제사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저술한 것으로 보인다. 아쉽게도 앞과 뒤의 내용이 다른 데다 이름이 가려져 있어 그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ref>이해준, "[http://folkency.nfm.go.kr/life/dicPrint.jsp?DIC_ID=7981&xslUrl=dicPrint_Pop.jsp&printYN=Y 기일비망기]",<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일생의례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민속박물관, 작성일: 2017년 4월 28일.</ref>
 
  
===[[김상덕]]과 [[기일생신첩]]===
+
==지식 관계망==
김상덕은 [[김창재]]와 [[김창재 처 안동 권씨|안동권씨]]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세자시강원 필선으로 있으면서 세자([[조선 순종]])의 교육을 담당했다. 이때 순종의 아내인 [[순명효황후 민씨]]와도 친분을 쌓고 편지를 주고 받는다. 1906년에는 홍성에서 전참판 [[민종식]]이 [[을사조약]]을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키자 군사고문으로 참가하였다. 의병이 진압되면서 10년 유배형을 받아 지도(智島)로 유배되었으나 바로 석방되었다. 1910년 나라가 망하자 집에 가시나무를 3겹으로 두르고 상복만 입으며 외딴섬에 위리안치된 것 처럼 지내다가 1924년에 죽었다. <ref>어강석, 「藏書閣 所藏 '純明孝皇后 관련 한글 簡札'의 內容과 價値」, 『장서각』17, 2007, 170쪽.</ref>이처럼 학문에 조예가 깊고 강직한 성품을 지녔던 김상덕은 집안의 장손으로서 책임감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집안 여성들이 제사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일생신첩]]을 저술한 것으로 보인다. 아쉽게도 앞과 뒤의 내용이 다른 데다 이름이 가려져 있어 그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
* '''제례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5/A21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기일생신첩]] || [[김상덕]]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 [[기일록]] || A는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 [[김상덕]]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창재 처 안동 권씨]] || [[김창재]]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김창재 처 안동 권씨]] || [[김창재]]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74번째 줄: 81번째 줄:
 
| [[김홍욱 처 동복 오씨]] || [[김홍욱]]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김홍욱 처 동복 오씨]] || [[김홍욱]]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기일생신첩]] || [[경주김씨 직각종택]]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 [[경주김씨 직각종택]]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기일생신첩]]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84번째 줄: 91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9세기말~20세기초 || [[김상덕]]이 [[기일생신첩]]을 저술하였다.
+
| 19세기말~20세기초 || [[김상덕]]이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저술하였다.
 
|-
 
|-
 
|}
 
|}
92번째 줄: 99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경주김씨 직각종택]]은 [[기일생신첩]]을 소장하였다
+
|36.9738983 ||126.3807227 ||  [[경주김씨 직각종택]]은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소장하였다
 
|-
 
|-
|37.39197||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기일생신첩]]을 기탁받았다
+
|37.39197||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기탁받았다
 
|-
 
|-
 
|}
 
|}
109번째 줄: 116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분류:한글고문서]][[분류:전시자료]][[분류:문헌]]
 
[[분류:한글고문서]][[분류:전시자료]][[분류:문헌]]
[[분류:이혜영]] [[분류:교열/수정완료]]
 

2017년 11월 30일 (목) 15:43 기준 최신판

23px-Disambig grey.svg.png 다른 뜻에 대해서는 기일록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기일생신첩
한글팀 기일생신첩01 기일생신첩01.jpg
한자명칭 忌日生辰帖
영문명칭 A document about the birthday and anniversary of death
작자 김상덕
간행시기 19세기말~20세기초
기탁처 경주김씨 직각종택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1.2×11.7㎝
판본 필사본
수량 1첩
표기문자 한글


정의

김상덕이 쓴 8대조의 생신과 기일 기록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김상덕(金商悳, 1852~1924)이 쓴 8대조의 생신과 기일 기록이다. 4절 8면의 첩장으로, 푸른색 표지에 '긔일신첩'이라 명기하였다. 한 면에는 8대조의 이름, 생일, 기일을 쓰고, 다른 한면에는 7대조의 이름과 기일만 기록하였다. 이름은 모두 황색 종이로 가려서 볼 수 없도록 하였다. 8대조는 문정공 김홍욱(金弘郁, 1602~1654)동복오씨(同福吳氏), 7대조는 통훈대부 황간현감공 김계진(金季珍, 1646~1709)거창신씨(居昌愼氏), 6대조는 증의정부좌찬성공 김두광(金斗光, 1674~1702)전주이씨(全州李氏), 5대조는 증의정부좌찬성공 김운경(金運慶, 1699~1728)순흥안씨(順興安氏), 고조는 증이조판서공 김한희(金漢禧, 1720~1752)남양홍씨(南陽洪氏), 증조는 판서공 김면주(金勉柱, 1740~1807)전주이씨·거창신씨, 조부는 통덕랑공 김노석(金魯錫, 1789~1840)이다. 이는 조상의 생일과 기일에 맞추어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1]

김상덕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김상덕은 김창재안동권씨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세자시강원 필선으로 있으면서 세자(조선 순종)의 교육을 담당했다. 이때 순종의 아내인 순명효황후 민씨와도 친분을 쌓고 편지를 주고 받는다. 1906년에는 홍성에서 전참판 민종식을사조약을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키자 군사고문으로 참가하였다. 의병이 진압되면서 10년 유배형을 받아 지도(智島)로 유배되었으나 바로 석방되었다. 1910년 나라가 망하자 집에 가시나무를 3겹으로 두르고 상복만 입으며 외딴섬에 위리안치된 것 처럼 지내다가 1924년에 죽었다. [2]이처럼 학문에 조예가 깊고 강직한 성품을 지녔던 김상덕은 집안의 장손으로서 책임감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집안 여성들이 제사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저술한 것으로 보인다. 아쉽게도 앞과 뒤의 내용이 다른 데다 이름이 가려져 있어 그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지식 관계망

  • 제례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기일록 A는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김상덕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김창재 처 안동 권씨 김창재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김창재 김상덕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노석 김창재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면주 김노석 A는 양자 B를 두었다 A ekc:hasAdoptedHeir B
김면주 처 전주 이씨 김면주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김면주 처 거창 신씨 김면주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김한희 김면주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한희 처 남양 홍씨 김한희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김운경 김한희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운경 처 순흥 안씨 김운경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김두광 김운경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두광 처 전주 이씨 김두광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김계진 김두광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계진 처 거창 신씨 김계진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김홍욱 김계진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홍욱 처 동복 오씨 김홍욱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경주김씨 직각종택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세기말~20세기초 김상덕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9738983 126.3807227 경주김씨 직각종택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소장하였다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을 기탁받았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50쪽.
  2. 어강석, 「藏書閣 所藏 '純明孝皇后 관련 한글 簡札'의 內容과 價値」, 『장서각』17, 2007, 17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