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평양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제3차 평양성 전투=== {{전쟁정보_김지선 |해당 전투 = 평양성 전투 |대표명칭 = 제3차 평양성 전투 |날짜 = 1592년 9월 6일(음력 8월 1일) |...)
 
(유용한 정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사건정보
 +
|사진= 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
|사진출처= 
 +
|대표명칭= 3차 평양전투
 +
|한자표기= 平壤戰鬪
 +
|영문명칭=
 +
|이칭= 3차 평양성 전투, 3차 평양성 싸움,
 +
|유형= 전투
 +
|시대= 조선
 +
|날짜= 1592년 8월 1일
 +
|관련인물= [[김억추]], [[이일]], [[이원익]], [[김응서]]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평양성]]
 +
}}
 +
=='''정의'''==
 +
1592년([[조선 선조]] 25) 8월 1일에 조선과 일본의 군대가 평양에서 세 번째 벌인 전투이다.
 +
 +
=='''내용'''==
 +
도원수 [[김명원]]은 일본군이 평양에서 더 이상 북진하지 않고 세력도 약해졌다는 보고를 받고 [[이원익]]·[[이빈|이빈(李賓)]]에게 [[평양성]]을 공격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조방장(助防將) [[김응서|김응서(金應瑞)]], 별장(別將) [[박명현|박명현(朴命賢)]] 등은 용강(龍岡)·삼화(三和)·증산(甑山)·강서(江西) 등 바닷가 여러 고을의 군사 1만 여명을 거느리고 20여 둔으로 나누어 평양 서쪽을 압박하였다. 그리고 별장 [[김억추|김억추(金億秋)]]는 수군을 거느리고 [[대동강]] 입구를 점거했으며, 별장 [[임중량|임중량(林仲樑)]]은 2,000명을 거느리고 중화(中和)를 지켰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006 평양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세 길로 나누어 진격, 보통문(普通門) 앞에 도달하였다. 성문에 있던 왜군 수십 명을 사살하는 등 다소 전과를 올렸으나 곧 적의 대군에 밀려 패퇴하였다. 10월에는 다시 관군과 승군(僧軍)이, 11월에는 승군 단독으로 [[평양성]]을 탈환하겠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계획으로만 그쳤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006 평양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6/C036.htm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박광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6/C03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평양전투]]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평양전투]] || [[평양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평양전투]] || [[1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평양전투]] || [[2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평양전투]] || [[3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평양전투]] || [[4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고니시 유키나가]] ||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억추]] || [[3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빈]] || [[3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일]] || [[3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원익]] || [[3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응서]] || [[3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제3차 평양성 전투===
+
   
{{전쟁정보_김지선
+
===영상===
|해당 전투 = 평양성 전투
 
|대표명칭 = 제3차 평양성 전투
 
|날짜 = 1592년 9월 6일(음력 8월 1일)  
 
|관련장소 = 평안도 평양성
 
|결과 = 일본군의 승리, 평양성 탈환 실패
 
|교전국 = 조선 VS 일본
 
|지휘관 = 이일, 김응서, 이원익, 김억추 VS 고니시 유키나가
 
|병력 = 이일 500명, 이원익 5000명, 김응서 1만 명 VS 1만 7300명
 
|피해 규모 = 7000명 전사 VS 100명 전사
 
}}
 
  
 +
=='''주석'''==
 +
<references/>
  
제2차 평양 전투에서 [[조명 연합군]]의 첫 패전 이후 일본군들을 견제하기 위해 의병들이 나서 [[중화군]]의 [[임중량]]과 [[윤봉]], [[차은진]]과 [[차은로]] 형제 등이 의병을 이끌고 진지를 세우고 일본군들과 싸웠으나 [[고니시 유키나가]]는 중화군을 대공격하여 의병이 대부분 전멸하고 윤봉이 전사하였다.<br/>  
+
=='''참고문헌'''==
한편 [[평양성]]의 일본군 병력이 약화되었다고 생각한 [[조선]] 조정에서는 총 2만 명의 일본군보다 더 많은 병력을 모아 단독으로 [[평양성]]을 탈환하기도 결정했다.<br/>
+
===인용 및 참조===
순변사 [[이일]]이 동쪽에서, 조방장 [[김응서]]가 서쪽에서, 순찰사 [[이원익]]이 북쪽에서 공격하기로 했으며, 9월 6일(음력 8월 1일) [[평양성]] [[보통문]] 밖에 조선군이 이르자 일본군 50명이 공격을 해왔다. 이에 조선군도 활을 쏘아 20명을 사살했다. 조선군은 사기가 올라 성문을 향해 돌격을 감행했으나 이때 성안에서 일본군 수천 명이 나와 공격하면서 결국 조선군은 둘로 갈라져 지휘가 마비되고 훈련 한번 제대로 받아보지 못한 군사들을 흩여져 버리고 조선군은 왜군의 맹공격에 밀렸다. 남은 병력은 간신히 [[부산원]] 서쪽으로 후퇴했고 재빨리 후퇴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사상자를 줄였으나 [[임진왜란]] 전투 중 최초로 같은 장소에서 3번째로 전투에서 패한 기록을 남겼다.<br/>  
+
# 웹 자원
이 중 [[김응서]]만이 적진에 돌격하여 7000명이 전사하고 일본군에게 대패하였다.
+
#* 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006 평양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3%EC%B0%A8_%ED%8F%89%EC%96%91%EC%84%B1_%EC%A0%84%ED%88%AC 제3차 평양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3차 평양성 전투의 의미'''====
+
===유용한 정보===
명나라의 원군 이후 최초의 조선군 독자적인 작전이었다.<br/>  
+
# "임진왜란의 전세를 역전시킨 평양성전투", 한국의 시대별 전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도서관』<sup>online</sup></online></html>.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51166&cid=58225&categoryId=58225 임진왜란의 전세를 역전시킨 평양성전투]", 한국의 시대별 전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비록 대실패로 돌아갔지만 여전히 조선군도 20,000명에 달하는 병력을 사용이 가능했다는 의미가 있다.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5985 평양성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2017년 11월 27일 (월) 07:54 기준 최신판

3차 평양전투(平壤戰鬪)
민족팀 일러 성전투.png
대표명칭 3차 평양전투
한자표기 平壤戰鬪
이칭 3차 평양성 전투, 3차 평양성 싸움,
유형 전투
시대 조선
날짜 1592년 8월 1일
관련인물 김억추, 이일, 이원익, 김응서
관련유물유적 평양성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 8월 1일에 조선과 일본의 군대가 평양에서 세 번째 벌인 전투이다.

내용

도원수 김명원은 일본군이 평양에서 더 이상 북진하지 않고 세력도 약해졌다는 보고를 받고 이원익·이빈(李賓)에게 평양성을 공격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조방장(助防將) 김응서(金應瑞), 별장(別將) 박명현(朴命賢) 등은 용강(龍岡)·삼화(三和)·증산(甑山)·강서(江西) 등 바닷가 여러 고을의 군사 1만 여명을 거느리고 20여 둔으로 나누어 평양 서쪽을 압박하였다. 그리고 별장 김억추(金億秋)는 수군을 거느리고 대동강 입구를 점거했으며, 별장 임중량(林仲樑)은 2,000명을 거느리고 중화(中和)를 지켰다.[1]
세 길로 나누어 진격, 보통문(普通門) 앞에 도달하였다. 성문에 있던 왜군 수십 명을 사살하는 등 다소 전과를 올렸으나 곧 적의 대군에 밀려 패퇴하였다. 10월에는 다시 관군과 승군(僧軍)이, 11월에는 승군 단독으로 평양성을 탈환하겠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계획으로만 그쳤다.[2]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평양전투 임진왜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평양전투 평양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평양전투 1차 평양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평양전투 2차 평양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평양전투 3차 평양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평양전투 4차 평양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고니시 유키나가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억추 3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빈 3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일 3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원익 3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응서 3차 평양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이장희, "평양전투",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장희, "평양전투",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유용한 정보

  1. "임진왜란의 전세를 역전시킨 평양성전투", 한국의 시대별 전쟁사, 『국립중앙도서관』online. 온라인 참조: "임진왜란의 전세를 역전시킨 평양성전투", 한국의 시대별 전쟁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평양성싸움",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