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한자표기= 高宗神貞王后孝定王后明成王后加...)
 
(구운몽의 서술방식)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헌정보
 
{{문헌정보
|사진=  
+
|사진= 한글고문서_구운몽01.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정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48 구운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
|대표명칭= 구운몽
|한자표기= 高宗神貞王后孝定王后明成王后加上尊號都監儀軌
+
|한자표기= 九雲夢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가상존호도감의궤
+
|이칭=  
 
|유형= 고서
 
|유형= 고서
|저자= [[가상존호도감]]
+
|저자= [[김만중]]
 
|역자=
 
|역자=
 
|편자=
 
|편자=
|저술시기= 1891년
+
|저술시기= 조선 숙종 연간
 
|간행시기=  
 
|간행시기=  
|간행처= [[가상존호도감]]
+
|간행처=  
 
|간행지=
 
|간행지=
 
|간행인=
 
|간행인=
 
|시대= 조선
 
|시대= 조선
|수량= 1책 255장
+
|수량=
|크기= 44.2x31.7cm
+
|크기=
|판본= 필사본
+
|판본=  
 
|판사항=
 
|판사항=
 
|형태사항=
 
|형태사항=
 
|표기문자=
 
|표기문자=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소장처=  
 
|청구기호=
 
|청구기호=
 
|지정번호=
 
|지정번호=
28번째 줄: 28번째 줄:
 
}}
 
}}
 
==정의==
 
==정의==
1888년 [[조선 고종]], [[신정왕후 조씨]], [[효정왕후 홍씨]], [[명성황후 민씨]]에게 가상존호한 사실에 대해 존호도감에서 기록한 책이다.
+
[[조선 숙종]] [[김만중]]이 지은 고전 소설이다.  
 
==내용==
 
==내용==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의 내용과 특징===
+
===[[구운몽]]의 저술배경===
[[조선 고종]], [[신정왕후 조씨]], [[효정왕후 홍씨]], [[명성황후 민씨]]에게 존호를 가상한 사실을 기록한 책으로 1888년 1월부터 3월가지 약 2개월간 의식을 준비하고 거생한 과정을 [[가상존호도감]]에서 상헤히 기록한 것이다. 행사의 진행과정을 설명한 시일(時日),임명된 관원과 서리들의 명단을 임명∙교체 날짜와 함께 기록한 좌목(座目), 행사와 관련하여 왕에게 올린 소(疏)와 계(啓) 및 그에 대한 왕의 비답(批答)과 전교(傳敎), 도감에서 왕에게 행사와 관련하여 품의한 내용들과 왕의 지시를 기록한 승전(承傳), 행사진행에 소요된 물자와 동원된 인력에게 지급한 급여 등을 기록한 재용(財用), 행사준비 과정에서 오고간 공문서들을 모아놓은 감결(甘結)∙이문(移文)∙‘내관(來關)’∙‘예관(禮關)’, 행사 거행 전에 각종의식의 진행순서와 세부사항을 정리하여 참고 검토하도록 의주(儀註)를 기록한 의주(儀註), 행사를 마친 후 행사에 동원된 인원들에게 내린 포상내역을 기록한 상전(賞典), 의궤의 편찬과정을 기록한 ‘의궤사례(儀軌事例)’까지가 해당한다.  
+
[[김만중]][[노론]]계 인물로는 어울리지 않게 불교나 패서(稗書) 등에 큰 관심을 보였는데, 이런 점이 소설을 지을 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다. [[이규경|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소설변증설(小說辨證說)」에 의하면, [[김만중]]이 귀양지에서 어머니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하룻밤 사이에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혹은 중국에 사신으로 가게 된 김만중이 중국소설을 사오라 어머니의 부탁을 잊어버려 돌아오는 길에 부랴부랴 이 작품을 지어 드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ref>최형보, "[http://kyu.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Info.jsp?uci=GK13475_00&c1=&c2=&c3=&sType=&sWord=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高宗神貞王后孝定王后明成王后加上尊號都監儀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궤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ref>정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48 구운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의 자료적 가치===
+
 
9세기 조선왕실의 존호의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책으로,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의식은 비교적 특수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의식(1888년 1월 24일에 행해진 신정왕후 가상존호 의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시 비슷한 성격의 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도감을 중복 설치했다는 점, 그리고 행사의 진행에 불과 15세의 왕세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한 부분이다.
+
===[[구운몽]]의 의의와 평가===
의궤에 수록된 각종 정보들은 문화사 ∙ 사회사 ∙ 경제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활용될 있으며, 특히 책에 수록된 각종 도설이나 반차도는 당시의 모습을 재현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몽유소설과 영웅소설의 결합====
<ref>최형보, "[http://kyu.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Info.jsp?uci=GK13475_00&c1=&c2=&c3=&sType=&sWord=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高宗神貞王后孝定王后明成王后加上尊號都監儀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궤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구운몽]]』의 기본설정은 주인공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뜻을 꿈 속에서 실현하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와 그간의 일이 허망한 한바탕의 꿈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꿈 속에서 이룬 욕망성취가 허망하고, 꿈에서 깨어나서야 비로소 진정한 화합이 이루어진다고 한 점은 다른 몽유소설에서는 볼 없었던 것이다. 또한 꿈 속의 주인공인 양소유의 삶이 '영웅의 일생'에 따라 전개된다는 점도 특이하다. 그러나 투쟁 보다 남녀의 만남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양상과는 거리가 있다. 결국, 『[[구운몽]]』은 몽유소설과 영웅소설을 변형시켜 결합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ref>정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48 구운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구운몽]]의 서술방식====
 +
[[구운몽]]은 현실-꿈-현실로 바뀌는 과정, 양소유가 8명의 여인과 만나고 헤어지는 미묘한 심리를 섬세하고 실감나게 꾸며 독자를 사로잡았다. 8명의 여인이 각기 개성을 갖추고 있으며, 배경이나 인물의 심리 묘사를 적절하게 갖추고 있어 작자의 뛰어난 창작력을 엿볼 수 있다.<ref>정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48 구운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 [[가상존호도감]]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구운몽]] || [[김만중]]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isDocumentedIn B
 
|-
 
|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언문후생록]] || [[구운몽]]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오주연문장전산고]] || [[구운몽]]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오주연문장전산고]] || [[이규경]]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한글고문서_구운몽01.JPG | 구운몽<ref>정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948 구운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설성경, 『구운몽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
**배영희, 『구운몽과 동서철학의 만남 : 易學을 중심으로』, 민속원, 2000.
 +
*논문
 +
**윤경수, 「《구운몽》의 신화적 연구」, 『牛岩斯黎』8,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9.
 +
**정규복, 「《구운몽》 원작 재론」, 『국학연구총론』2, 택민국학연구원, 2008.
  
 +
===유용한 정보===
 +
*정길수, "[http://kyujanggak.snu.ac.kr/home/brd/BrdView.do?siteCd=KYU&menuId=279&postSeq=11756 『구운몽』 - 동아시아 고전소설의 절정 ]", 칼럼게시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문헌]]
 
[[분류:문헌]]
[[분류:이혜영]]
 

2017년 11월 24일 (금) 19:21 기준 최신판

구운몽(九雲夢)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구운몽
한자표기 九雲夢
유형 고서
저자 김만중
저술시기 조선 숙종 연간
시대 조선


정의

조선 숙종김만중이 지은 고전 소설이다.

내용

구운몽의 저술배경

김만중노론계 인물로는 어울리지 않게 불교나 패서(稗書) 등에 큰 관심을 보였는데, 이런 점이 소설을 지을 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다.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소설변증설(小說辨證說)」에 의하면, 김만중이 귀양지에서 어머니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하룻밤 사이에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혹은 중국에 사신으로 가게 된 김만중이 중국소설을 사오라 한 어머니의 부탁을 잊어버려 돌아오는 길에 부랴부랴 이 작품을 지어 드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1]

구운몽의 의의와 평가

몽유소설과 영웅소설의 결합

구운몽』의 기본설정은 주인공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뜻을 꿈 속에서 실현하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와 그간의 일이 허망한 한바탕의 꿈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꿈 속에서 이룬 욕망성취가 허망하고, 꿈에서 깨어나서야 비로소 진정한 화합이 이루어진다고 한 점은 다른 몽유소설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꿈 속의 주인공인 양소유의 삶이 '영웅의 일생'에 따라 전개된다는 점도 특이하다. 그러나 투쟁 보다 남녀의 만남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양상과는 거리가 있다. 결국, 『구운몽』은 몽유소설과 영웅소설을 변형시켜 결합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2]

구운몽의 서술방식

구운몽은 현실-꿈-현실로 바뀌는 과정, 양소유가 8명의 여인과 만나고 헤어지는 미묘한 심리를 섬세하고 실감나게 꾸며 독자를 사로잡았다. 8명의 여인이 각기 개성을 갖추고 있으며, 배경이나 인물의 심리 묘사를 적절하게 갖추고 있어 작자의 뛰어난 창작력을 엿볼 수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운몽 김만중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언문후생록 구운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오주연문장전산고 구운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오주연문장전산고 이규경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설성경, 『구운몽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 배영희, 『구운몽과 동서철학의 만남 : 易學을 중심으로』, 민속원, 2000.
  • 논문
    • 윤경수, 「《구운몽》의 신화적 연구」, 『牛岩斯黎』8,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9.
    • 정규복, 「《구운몽》 원작 재론」, 『국학연구총론』2, 택민국학연구원, 2008.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