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소재)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
+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right|450px]]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right|450px]]
[[김정호]]는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는 방식<ref>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ref>으로 [[대동여지도]]제작하였다.<ref>"김정호는...한 것이다."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김정호|김정호(金正浩, 1804추정~1866추정)]]는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는 방식<ref>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ref>으로『[[대동여지도|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제작하였다.<ref>"김정호는...한 것이다."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ref> 본 그림의 배경인 [[지리산]]을 예로 들면 [[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br/>  
[[지리산]][[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br/>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gallery>
 
</gallery>
  
작품 중앙에서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⑤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나무 탁자 위에는 '''⑤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③ [[천리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작품 중앙에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⑤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나무 탁자 위에는 '''⑤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③ [[천리경|천리경(千里鏡:지금의 망원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이다.<ref>작품의 배경은 해당 작품의 소장처인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서 확인할 수 있었음</ref>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으로 추정된다.<ref>작품 오른쪽 하단에 세로로  "지리산에서의 김정호"라고 명시되어 있다.</ref>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그림 읽기===
 
===그림 읽기===
39번째 줄: 38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김태)"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62번째 줄: 62번째 줄:
 
| [[청구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청구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청구도]] || [[최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청구도]] || [[청구도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청구도제]] || [[최한기]]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최한기]]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최한기]]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76번째 줄: 78번째 줄:
 
| [[금당초고]]  || [[신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금당초고]]  || [[신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신헌]] || [[김정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신헌]]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신헌]] || [[최한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김정희]]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정희]]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정약용]]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신헌]] ||  [[의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의순]] || [[김정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110번째 줄: 122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905/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5/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5/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gallery>
 
</gallery>
  
126번째 줄: 13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김정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기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김정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19일.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308&index_id=cp03080116&content_id=cp030801160001&search_left_menu=2 목제 곱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원형 라이브러리』<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308&index_id=cp03080116&content_id=cp030801160001&search_left_menu=2 목제 곱자]", 조선후기 시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학술]]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34 기준 최신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학술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김정호(金正浩, 1804추정~1866추정)는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는 방식[1]으로『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제작하였다.[2] 본 그림의 배경인 지리산을 예로 들면 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

작품 중앙에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⑤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나무 탁자 위에는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천리경(千里鏡:지금의 망원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으로 추정된다.[5]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그림 읽기

김정호대동여지도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지리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청구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청구도 청구도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청구도제 최한기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최한기 김정호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김정희 최한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최한기 지구전후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구전후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금당초고 김정호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금당초고 신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신헌 김정호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신헌 최한기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김정희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약용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약용 의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신헌 의순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의순 김정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김태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그렸다
1861년 김정호가 목판본 22첩 대동여지도를 간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3608313 127.3832193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2. "김정호는...한 것이다."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3.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 작품 오른쪽 하단에 세로로 "지리산에서의 김정호"라고 명시되어 있다.
  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이기봉,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19일.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목제 곱자", 조선후기 시장,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