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종용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
 
(참고문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유물유적정보
 +
|사진= 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
|사진출처=
 +
|대표명칭= 금산 종용사
 +
|한자표기= 錦山 從容祠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
|시대= 조선
 +
|지정번호=
 +
|지정일=
 +
|소장처=
 +
|경도= 127.4902183
 +
|위도= 36.1301373
 +
|수량=
 +
|관련인물= [[조헌]], [[영규]]
 +
|관련단체=
 +
|관련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금산 칠백의총]]
 +
}}
 +
=='''정의'''==
 +
조선 [[임진왜란]] 때 순절한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
 +
=='''내용'''==
 +
===건립 경위===
 +
1647년([[조선 인조]] 25)에 종용사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1663년([[조선 현종|현종]] 4)에 '從容祠'라는 사액(賜額)과 4결(結)의 토지를 내려 춘추제향에 쓰게 하였다. 그 뒤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 일본은 종용사를 허물어 진화사(進化社)를 만들고, 제토(祭土)를 강제로 팔아버렸다. 광복 후 1952년에 군민이 성금을 모아 [[금산 칠백의총]]과 종용사를 재건하였다. 1970년 국가에서는 경역을 2만2800평으로 확장하고 종용사를 새로 지었다. 1963년 사적 제 105호로 지정되었다.<ref>김진봉,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사당에 모셔진 선열들===
 +
종용사에는 [[조헌]], [[영규]], [[조헌]]의 아들인 [[조완기]] 등 [[2차 금산전투]](연곤평 싸움)에서 순절한 칠백 의사가 제향되고 있을 뿐 아니라, [[1차 금산전투]](눈벌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인후]], [[고경명]]의 의병들도 모시고 있다.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조헌]]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금산 종용사]]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영규]]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
| [[조헌]]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조헌]]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조헌]] || [[조완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조완기]]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영규]]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영규]]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18번째 줄: 57번째 줄: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금산 칠백의총]] || [[2차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고경명]] || [[고인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고인후]]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금산 종용사]]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금산전투]] || [[1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조헌]] || [[2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영규]] ||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고경명]] ||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257호-칠백의총 순의 제향(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icGC7krYaV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301호-칠백의총 다례(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PYRxXw0AV2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 1647년 세워져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2.jpg| 종용사 내부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_현판.jpg | 종용사 현판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 김진봉,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만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34863 죽으면 그만이지 구차하게 살 수는 없다]", 『오마이뉴스』, 작성일: 2016년 8월 16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2017년 12월 27일 (수) 00:07 기준 최신판

금산 종용사
(錦山 從容祠)
민족기록화 문화유산 금산 칠백의총 종용사.jpg
대표명칭 금산 종용사
한자표기 錦山 從容祠
시대 조선
관련인물 조헌, 영규
관련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관련유물유적 금산 칠백의총


정의

조선 임진왜란 때 순절한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내용

건립 경위

1647년(조선 인조 25)에 종용사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1663년(현종 4)에 '從容祠'라는 사액(賜額)과 4결(結)의 토지를 내려 춘추제향에 쓰게 하였다. 그 뒤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 일본은 종용사를 허물어 진화사(進化社)를 만들고, 제토(祭土)를 강제로 팔아버렸다. 광복 후 1952년에 군민이 성금을 모아 금산 칠백의총과 종용사를 재건하였다. 1970년 국가에서는 경역을 2만2800평으로 확장하고 종용사를 새로 지었다. 1963년 사적 제 105호로 지정되었다.[1]

사당에 모셔진 선열들

종용사에는 조헌, 영규, 조헌의 아들인 조완기2차 금산전투(연곤평 싸움)에서 순절한 칠백 의사가 제향되고 있을 뿐 아니라, 1차 금산전투(눈벌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인후, 고경명의 의병들도 모시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금산 종용사 금산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금산 종용사 금산 칠백의총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금산 종용사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조헌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헌 조완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완기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영규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고경명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고경명 고인후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고인후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금산 종용사 금산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금산전투 1차 금산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금산전투 2차 금산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헌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고경명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257호-칠백의총 순의 제향(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301호-칠백의총 다례(게시일: 2016년 12월 8일)

갤러리

주석

  1. 김진봉, "금산 칠백의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