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선조]] | + | 1592년([[조선 선조|조선]] 25) [[임진왜란]] 당시 [[금산]]에서 왜군과 싸워 장렬히 순국한 [[조헌]]과 승장 [[영규]]의 전투장면을 그린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ref>"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1&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금산전투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right|450px]] |
− |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 + | [[2차 금산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화살이 다하였다. 날도 저물어 어두워서 적군이 보이지 않게 되자 [[조헌|조헌(趙憲, 1544~1592)]] 휘하의 의병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적군의 공세는 한층 더 심해졌다.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싸움을 지휘하였고, 이를 본 그 휘하의 의병들도 누구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웠다. 그러나 인원과 무기에서 열세하여 결국 모두 전사하였다.<br/> |
− | <div class="center" style="width: auto;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Blockquote|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 |출처=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ref>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 + | <div class="center" style="width: auto;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Blockquote|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 |출처=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ref>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93쪽.</ref>}}</div> |
− |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 + |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⑤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⑤ [[영규|영규대사(靈圭大師, ? ~ 1592)]]'''로, 작품에서는 [[영규]]의 승병은 보이지 않는다.<br/>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⑤에 그려진 [[영규]]와 [[조헌]]" heights=150px > |
+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영규.JPG |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조헌.JPG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조헌.JPG | ||
− | |||
</gallery> | </gallery>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성]] 북쪽 10리 밖인 [[연곤평|연곤평(延崑坪)]]으로, 현재 [[금산 칠백의총]] 앞에 위치한 들녘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조헌]]과 [[영규]]가 최후를 맞이하였던 | + |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성|금산성(錦山城)]] 북쪽 10리 밖인 [[연곤평|연곤평(延崑坪)]]으로, 현재 [[금산 칠백의총]] 앞에 위치한 들녘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조헌]]과 [[영규]]가 최후를 맞이하였던 9월 24일 새벽으로, 동이 트고 있는 하늘을 붉게 칠하여 새벽임을 표현하였다. |
===작품 구도=== | ===작품 구도=== | ||
− |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ref>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54번째 줄: | 59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조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조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60번째 줄: | 65번째 줄: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영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영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금산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2차 금산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감사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번째 줄: | 77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6년 || [[정창섭]]이 | + | |1976년 || [[정창섭]]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그렸다 |
|- | |- | ||
− | |1991년 10월 20일-1992년 10월 19일 || [[감사원]]이 | + | |1991년 10월 20일-1992년 10월 19일 ||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 | |- |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 | |- | ||
− | |1592년 | + | |1592년 9월 23일-24일 || [[조헌]]과 [[영규]]가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 |
− | |||
− | |||
|- | |- | ||
|} | |} | ||
115번째 줄: | 91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 | + | |37.5869491 || 126.9827796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 | |- | ||
− | |37.532103|| 126.914133||[[전쟁기념관]]이 | + | |37.532103|| 126.914133||[[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 | |- | ||
+ | |36.1303848 || 127.4909374 || [[금산 칠백의총]]은 [[조헌]]과 관련이 있다 | ||
|} | |} | ||
139번째 줄: | 116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 | + | <html>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2/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148번째 줄: | 128번째 줄: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6&gubun=search 민족기록화1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6&gubun=search 민족기록화1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3.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3.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유적_금산 칠백의총.jpg|[[금산 칠백의총]] | ||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금산 칠백의총 기념관.jpg|[[영규]]와 [[조헌]] 선생을 기려 세운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jpg|1603년에 시워진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峯趙憲先生一軍殉義碑)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요약.jpg|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요약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 1647년 세워져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2.jpg| 종용사 내부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_현판.jpg | 종용사 현판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된 순의비각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중봉선생일군순의비_안내문.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 안내판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2.jpg|순의비 모습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_현판.jpg | 순의비각 현판 | ||
</gallery> | </gallery> | ||
158번째 줄: | 149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단행본 | ||
− | #*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 + | #*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
#논문 | #논문 | ||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웹 자원 | #웹 자원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050000,34 금산 칠백의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050000,34 금산 칠백의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28 기준 최신판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
작가 | 정창섭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1592년(조선 25) 임진왜란 당시 금산에서 왜군과 싸워 장렬히 순국한 조헌과 승장 영규의 전투장면을 그린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1]
설명
작품 소재
2차 금산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화살이 다하였다. 날도 저물어 어두워서 적군이 보이지 않게 되자 조헌(趙憲, 1544~1592) 휘하의 의병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적군의 공세는 한층 더 심해졌다.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싸움을 지휘하였고, 이를 본 그 휘하의 의병들도 누구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웠다. 그러나 인원과 무기에서 열세하여 결국 모두 전사하였다.
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 | ||
출처: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2] |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⑤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⑤ 영규대사(靈圭大師, ? ~ 1592)로, 작품에서는 영규의 승병은 보이지 않는다.
작품 배경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성(錦山城) 북쪽 10리 밖인 연곤평(延崑坪)으로, 현재 금산 칠백의총 앞에 위치한 들녘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조헌과 영규가 최후를 맞이하였던 9월 24일 새벽으로, 동이 트고 있는 하늘을 붉게 칠하여 새벽임을 표현하였다.
작품 구도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3]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조헌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영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감사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정창섭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그렸다 |
1991년 10월 20일-1992년 10월 19일 |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1592년 9월 23일-24일 | 조헌과 영규가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869491 | 126.9827796 |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36.1303848 | 127.4909374 | 금산 칠백의총은 조헌과 관련이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규와 조헌 선생을 기려 세운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영상
주석
- ↑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online .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93쪽.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
- ↑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웹 자원
- "금산 칠백의총",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금산 칠백의총", 문화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