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영통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사찰사지정보
 
{{사찰사지정보
|사진=  
+
|사진=BHST Yeongtongsa-1.jpg
 +
|사진출처=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대표명칭=개성 영통사
 
|대표명칭=개성 영통사
|영문=  
+
|영문=Yeongtongsa Temple, Gaeseong
 
|한자=開城 靈通寺
 
|한자=開城 靈通寺
 
|이칭=
 
|이칭=
20번째 줄: 21번째 줄:
  
 
=='''정의'''==
 
=='''정의'''==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용흥리 오관산 기슭의 영통동(靈通洞)에 있는 절.
+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에 있는 절.
  
 +
=='''내용'''==
 +
영통사(靈通寺)는 1027년([[고려 현종|현종]] 18)에 건립되었다. [[고려 태조]]가 세운 [[승복원|승복원(崇福院)]] 자리에 세워졌기 때문에 영통사는 고려 왕실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고려 인종|인종]]을 비롯한 여러 왕들이 자주 참배하였던 대찰이었다.<ref>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
+
1036년([[고려 정종|정종]] 2)에 왕이 자식 넷이 있을 경우에는 한 자식의 출가를 허락한다는 법을 제정한 뒤 이 절에 계단(戒壇)<ref>중에게 계(戒)를 닦게 하려고, 흙과 돌로 쌓은 단(壇)</ref>을 설치하고 경률(經律)을 익히는 한편 시험을 치르는 장소로 만들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794 영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8월 26일.</ref> 왕실이 주관하는 재(齋)나 기신도량(忌辰道場)<ref>왕실에서 국왕이나 선왕후의 기일에 제사 지내는 불교의식법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310 기신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을 많이 봉행하였고, 당시에는 인연이 있는 왕들의 진영(眞影)<ref>주로 얼굴을 그린 화상(畫像) 또는 사진(寫眞)</ref>을 모시는 [[진영각|진영각(眞影閣)]]도 있었다고 한다. [[의천|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은 이곳에서 출가하여 교관(敎觀)<ref>각 종문(宗門)의 이론(理論)인 교상(敎相)과 실천(實踐)을 뜻하는 관심(觀心)</ref>을 배우고 [[천태종|천태종(天台宗)]]을 열었으며, 입적한 후 1125년에는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대각국사비(大覺國師碑)]]가 이곳에 건립되었다. 영통사는 16세기 무렵 화재로 소실되어 오래도록 폐사지로 남아 있었다.<ref>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영통사(靈通寺)는 1027년([[고려 현종|현종]] 18)에 건립되었다. [[고려 태조]]가 세운 [[승복원|승복원(崇福院)]] 자리에 세워졌기 때문에 영통사는 고려 왕실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어 [[고려 인종|인종]]을 비롯한 여러 왕들이 자주 참배하였던 대찰이었다.<ref>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036년(정종 2)에 왕이 자식 넷이 있을 경우에는 한 자식의 출가를 허락한다는 법을 제정한 뒤 이 절에 계단(戒壇)을 설치하고 경률(經律)을 익히는 한편 시험을 치르는 장소로 만들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794 영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8월 26일.</ref> 왕실이 주관하는 재(齋)나 기신도량(忌辰道場)<ref>왕실에서 국왕이나 선왕후의 기일에 제사 지내는 불교의식법회,"[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310 기신도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을 많이 봉행하였고, 당시에는 인연이 있는 왕들의 진영(眞影)을 모시는 [[진영각|진영각(眞影閣)]]도 있었다고 한다. [[의천|대각국사 의천(義天)]]은 이곳에서 출가하여 교관(敎觀)을 배우고 [[천태종|천태종(天台宗)]]을 열었으며, 입적한 후 1125년에는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대각국사비]]가 이곳에 건립되었다.영통사는 16세기 무렵 화재로 소실되어 오래도록 폐사지로 남아 있었다. 1998년 북한이 3년여에 걸쳐 발굴 작업을 시행하였고, 2002년 11월부터는 대한불교천태종과 함께 복원 사업을 시작해 2005년 10월에 29개의 전각을 복원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ref>김용태,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369 영통사(靈通寺)]",<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1998년 북한이 3년여에 걸쳐 발굴 작업을 시행하였고, 2002년 11월부터는 대한불교천태종과 함께 복원 사업을 시작해 2005년 10월에 29개의 전각을 복원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관련 문화유산===
 
===관련 문화유산===
30번째 줄: 34번째 줄:
 
*[[개성 영통사 오층석탑]]
 
*[[개성 영통사 오층석탑]]
  
=='''지식 관계망'''==
+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개성 영통사에 주석했던 대각국사 의천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02/monk_daegak.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고려 태조]] || [[승복원]] || A는 B를 창건하였다 ||
+
| [[승복원]] || [[고려 태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승복원]] || [[개성 영통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난원]]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승복원]] || [[개성 영통사]] || A는 B에 있었다 ||
+
| [[의천]]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의천]]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
| [[지종]]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개성 영통사]] || A는 B에 있다 ||
+
| [[정현]]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의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개성 영통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의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64번째 줄: 80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20px>
 +
파일:BHST Yeongtongsa-2.jpg|영통사 대각국사묘실 구역<ref>사진출처: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BHST Yeongtongsa-3.jpg|영통사 대각국사묘실 구역 세부<ref>사진출처: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BHST Yeongtongsa-4.jpg|영통사 경선원의 대각국사 의천 부도<ref>사진출처: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영상===
 
===영상===
 
* 통일부 unihistory, "[https://www.youtube.com/watch?v=gcOpzFr-wuw&t=42s 개성 영통사 복원에 대한 이야기]", YouTube, 게시일: 2016년 1월 25일
 
* 통일부 unihistory, "[https://www.youtube.com/watch?v=gcOpzFr-wuw&t=42s 개성 영통사 복원에 대한 이야기]", YouTube, 게시일: 2016년 1월 25일
78번째 줄: 101번째 줄:
 
* 김용태,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369 영통사(靈通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용태,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369 영통사(靈通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794 영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794 영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8월 26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521&cid=50763&categoryId=50782 영통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완료]]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2024년 4월 11일 (목) 23:22 기준 최신판


개성 영통사
(開城 靈通寺)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대표명칭 개성 영통사
한자 開城 靈通寺
주소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용흥리
건립시기 1027년
경내문화재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정의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에 있는 절.

내용

영통사(靈通寺)는 1027년(현종 18)에 건립되었다. 고려 태조가 세운 승복원(崇福院) 자리에 세워졌기 때문에 영통사는 고려 왕실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인종을 비롯한 여러 왕들이 자주 참배하였던 대찰이었다.[1]

1036년(정종 2)에 왕이 자식 넷이 있을 경우에는 한 자식의 출가를 허락한다는 법을 제정한 뒤 이 절에 계단(戒壇)[2]을 설치하고 경률(經律)을 익히는 한편 시험을 치르는 장소로 만들었다.[3] 왕실이 주관하는 재(齋)나 기신도량(忌辰道場)[4]을 많이 봉행하였고, 당시에는 인연이 있는 왕들의 진영(眞影)[5]을 모시는 진영각(眞影閣)도 있었다고 한다.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은 이곳에서 출가하여 교관(敎觀)[6]을 배우고 천태종(天台宗)을 열었으며, 입적한 후 1125년에는 대각국사비(大覺國師碑)가 이곳에 건립되었다. 영통사는 16세기 무렵 화재로 소실되어 오래도록 폐사지로 남아 있었다.[7]

1998년 북한이 3년여에 걸쳐 발굴 작업을 시행하였고, 2002년 11월부터는 대한불교천태종과 함께 복원 사업을 시작해 2005년 10월에 29개의 전각을 복원하였다.[8]

관련 문화유산

지식관계망

  • 개성 영통사에 주석했던 대각국사 의천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승복원 고려 태조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승복원 개성 영통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난원 개성 영통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의천 개성 영통사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지종 개성 영통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A edm:isRelatedTo B
정현 개성 영통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A edm:isRelatedTo B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개성 영통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027년 개성 영통사가 건립되었다
1065년 의천개성 영통사에서 출가하였다
1125년 개성 영통사대각국사비가 건립되었다
1998년 북한에서 개성 영통사 발굴작업을 시작하였다
2005년 대한불교천태종 교단과 북한의 조선경제협력위원회가 개성 영통사의 29개의 전각을 복원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중에게 계(戒)를 닦게 하려고, 흙과 돌로 쌓은 단(壇)
  3. "영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8월 26일.
  4. 왕실에서 국왕이나 선왕후의 기일에 제사 지내는 불교의식법회., "기신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주로 얼굴을 그린 화상(畫像) 또는 사진(寫眞)
  6. 각 종문(宗門)의 이론(理論)인 교상(敎相)과 실천(實踐)을 뜻하는 관심(觀心)
  7.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사진출처: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0. 사진출처: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1. 사진출처: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온라인 참조:"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평화문제연구소, 「남북이 함께 복원한 개성 영통사」, 『통일한국』264권 0호, 평화문제연구소, 2005.
  • 박대남, 「고려시대 대표 사찰, 영통사」, 『북한』통권 536호, 북한연구소, 2016.
  • 김용태, "영통사(靈通寺)",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도서출판 양사재, 2011. "영통사", 북한의 전통사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장충식, "영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8월 26일.
  • "영통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