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중화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_유적]]
+
{{유물유적정보
 +
|사진=한글팀 덕수궁 중화전.jpg
 +
|사진출처=
 +
|대표명칭=덕수궁 중화전
 +
|한자표기=德壽宮 中和殿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유적건조물,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
|시대=조선
 +
|지정번호= 보물  제819호
 +
|지정일=1985년 01월 08일
 +
|소장처=
 +
|경도=37.565830
 +
|위도=126.975189
 +
|수량=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덕수궁]]
 +
}}
 +
==정의==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덕수궁 내부의 건물이다.
 +
 
 +
==내용==
 +
===설립경위===
 +
중화전은 [[덕수궁]]의 정전이다. 1897년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환궁할 당시에는 이곳 중화전을 짓기 전이었다. 따라서 당시에는 현재의 즉조당(卽祚堂)이 태극전(太極殿)이란 이름으로 법전의 역할을 하였다. 이듬해 2월 태극전은 다시 중화전으로 이름을 바꾸지만 1902년 현재 중화전의 위치에 중층규모의 중화전을 새롭게 건립하였다. 그러나 1904년 [[덕수궁 함녕전 | 함녕전]]에서 비롯된 대화재로 현재의 덕수궁 영역이 잿더미가 되면서 옛 모습을 잃고 지금처럼 단층 팔작지붕으로 1906년 재건되었다 이는 당시의 궁핍한 재정상황과 더불어 나날이 쇠락해 가는 대한제국의 면모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
<!--초기에는 즉조당(卽祚堂)이라 불렸다가 1897년에 이 전각의 이름을 태극전(太極殿)으로 고쳤다. 대한제국의 선포로 왕은 황제가 되어 여기에서 하례(賀禮)를 받았으며 이듬해 2월 다시 전각 이름을 태극전에서 중화전으로 바꾸었는데 <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366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f>"중화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128&cid=49270&categoryId=49270 중화전]",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외관===
 +
중화전의 평면은 인정전과 비슷한 정면 5칸(61.4척), 측면 4칸(58척)으로 겹처마 팔작지붕을 하고 있고, 넓은 이중의 월대 위에 높직한 초석을 놓아 그 위에 원기둥을 세웠다. 월대에는 석계가 마련되어 있고, 석계 한가운데에 답도를 놓아 쌍용을 새겨놓았으며, 각 층마다 석계 모서리에는 석수를 조각해 놓았다. 고주와 창방에는 낙양각(落陽刻)을 달아 화려하게 장식하였으며, 건물 내·외부 사이의 기둥 사이에는 분합문을 달아 언제나 여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공포는 내4출목, 외3출목의 다포식 구성을 하고 있으며, 중화전에서 사용된 공포 형태는 외부에 쇠서를 달고 있는 운기당초문으로, 이것은 초각형에 속한다. 이러한 형태는 조선 후기 다포의 변화에서 가장 마지막에 해당하는 모습으로 특히 궁궐건축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각 마루는 양성을 하고 취두, 용두, 잡상을 얹어놓고 토수(吐首)를 끼웠다. 단청은 은은한 채색의 모루단청이고 광창과 꽃살분합문을 달아 위관(偉觀)을 돋우었다. 건물의 천장에는 황제를 상징하는 용 두 마리를 조각으로 장식하여 건물의 위상을 높였다.<ref>김왕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366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의의===
 +
*의례공간으로서의 중화전
 +
중화전은 [[순헌황후]]와 순정황후가 책봉식을 치렀으며 고종황제 탄신연([[고종황제신축진연]])의 본식이 거행되는 등 여러 의례가 행해졌다. 건축적 배치와 구성에서 알 수 있는 의레공간으로서의 특징은 <!--말하자면 중화전은 왕조사회의 위계와 질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인 셈이다.-->중화문에서 중화전에 이르는 조정(朝廷) 마당의 삼도(三道)와 좌우에 늘어선 품계석 두 벌의 월대를 설치해 잘 드러난다. 중화전에서 국왕이 참석해 공식적인 행사를 열 때는 당상관(堂上官) 이상의 관리들만 이곳 월대 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ref>"중화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128&cid=49270&categoryId=49270 중화전]",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대한제국기 비극적 사건의 무대
 +
<!--중화전은 일반적인 궁궐의 법전 용도답게 왕의 즉위식 및 가례식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의식 조하례(朝賀禮)의식 등 공식행사가 거행되는 곳이다. 하지만 -->중화전은 당시의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사실상 법전으로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비극적인 장소로 남고 만다. 1907년 7월 20일 일제는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물어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면서 이곳 중화전에서 양위식을 개최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고종은 중화전에서 개최된 양위식에 끝내 참석하지 않았다고 한다. 순종에게 '대리청정'을 하도록 한 것이 친일파들에 의해 '황제 양위'로 둔갑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한 달 뒤 8월 27일 일제와 친일파의 각본에 의해 돈덕전(惇德殿)에서 순종 황제의 즉위식이 거행되고 만다.<ref>"중화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128&cid=49270&categoryId=49270 중화전]",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 관계망==
 +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4/A21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덕수궁 중화전]] || [[순헌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헌황후]] || [[순비책봉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고종황제신축진연]] ||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덕수궁 중화전]] || [[고종황제신축진연]]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
 +
| [[덕수궁]] || [[덕수궁 중화전]]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덕수궁 중화전]]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
 +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덕수궁 함녕전]] || [[덕수궁 중화전]]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1611년 || 경운궁이라는 정식 명칭이 붙여졌다.
 +
|-
 +
|1897년 || 경운궁의 명칭이 태극전으로 변경되었다.
 +
|-
 +
|1904년 || 태극전의 명칭이 [[덕수궁 중화전]]으로 변경되었다.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6/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6/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 덕수궁 중화전 내부.jpg | 중화전 내부 천장
 +
파일:한글팀 덕수궁 중화전 외부.jpg | 중화전 중앙계단
 +
파일:한글팀 덕수궁 중화전 외부2.jpg | 중화전 외부1
 +
파일:한글팀 덕수궁 중화전 현판.jpg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민원, 「조일본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경운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4
 +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 : 문화유산]]

2017년 11월 25일 (토) 01:31 기준 최신판

덕수궁 중화전
(德壽宮 中和殿)
한글팀 덕수궁 중화전.jpg
대표명칭 덕수궁 중화전
한자표기 德壽宮 中和殿
유형 유적건조물,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시대 조선
지정번호 보물 제819호
지정일 1985년 01월 08일
관련유물유적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덕수궁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덕수궁 내부의 건물이다.

내용

설립경위

중화전은 덕수궁의 정전이다. 1897년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환궁할 당시에는 이곳 중화전을 짓기 전이었다. 따라서 당시에는 현재의 즉조당(卽祚堂)이 태극전(太極殿)이란 이름으로 법전의 역할을 하였다. 이듬해 2월 태극전은 다시 중화전으로 이름을 바꾸지만 1902년 현재 중화전의 위치에 중층규모의 중화전을 새롭게 건립하였다. 그러나 1904년 함녕전에서 비롯된 대화재로 현재의 덕수궁 영역이 잿더미가 되면서 옛 모습을 잃고 지금처럼 단층 팔작지붕으로 1906년 재건되었다 이는 당시의 궁핍한 재정상황과 더불어 나날이 쇠락해 가는 대한제국의 면모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1]

의의

  • 의례공간으로서의 중화전

중화전은 순헌황후와 순정황후가 책봉식을 치렀으며 고종황제 탄신연(고종황제신축진연)의 본식이 거행되는 등 여러 의례가 행해졌다. 건축적 배치와 구성에서 알 수 있는 의레공간으로서의 특징은 중화문에서 중화전에 이르는 조정(朝廷) 마당의 삼도(三道)와 좌우에 늘어선 품계석 두 벌의 월대를 설치해 잘 드러난다. 중화전에서 국왕이 참석해 공식적인 행사를 열 때는 당상관(堂上官) 이상의 관리들만 이곳 월대 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2]

  • 대한제국기 비극적 사건의 무대

중화전은 당시의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사실상 법전으로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비극적인 장소로 남고 만다. 1907년 7월 20일 일제는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물어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면서 이곳 중화전에서 양위식을 개최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고종은 중화전에서 개최된 양위식에 끝내 참석하지 않았다고 한다. 순종에게 '대리청정'을 하도록 한 것이 친일파들에 의해 '황제 양위'로 둔갑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한 달 뒤 8월 27일 일제와 친일파의 각본에 의해 돈덕전(惇德殿)에서 순종 황제의 즉위식이 거행되고 만다.[3]

지식 관계망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덕수궁 중화전 순헌황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헌황후 순비책봉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종황제신축진연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덕수궁 중화전 고종황제신축진연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A ekc:isPerformedAt  B
덕수궁 덕수궁 중화전 A는 B가 있는 곳이다 A dcterms:hasPart B
덕수궁 중화전 순종 순정황후 가례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A ekc:isPerformedAt  B
순종 순정황후 가례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덕수궁 함녕전 덕수궁 중화전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11년 경운궁이라는 정식 명칭이 붙여졌다.
1897년 경운궁의 명칭이 태극전으로 변경되었다.
1904년 태극전의 명칭이 덕수궁 중화전으로 변경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중화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 』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중화전", 문화원형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
  2. "중화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 』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중화전", 문화원형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
  3. "중화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 』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중화전", 문화원형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민원, 「조일본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경운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