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 한글고문서_인물기사]]
+
{{인물정보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
|사진출처=
 +
|대표명칭=조신
 +
|한자표기=曺伸
 +
|영문명칭=
 +
|본관=창녕(昌寧)
 +
|이칭=
 +
|시호=
 +
|호=적암(適庵)
 +
|자=숙분(叔奮)
 +
|생년=1454
 +
|몰년=1529
 +
|출생지=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봉계마을
 +
|사망지=
 +
|시대=조선
 +
|국적=조선
 +
|대표저서=[[이륜행실도]], [[적암시고]]
 +
|대표직함=사역원정(司譯院正)
 +
|배우자=
 +
|부=조계문(曺繼門)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문신
 +
|유형=학자
 +
}}
 +
==정의==
 +
성종 및 연산군 대의 역관이다.
 +
==내용==
 +
===생애===
 +
====출생====
 +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숙분(叔奮)이고 호는 적암(適庵)이다.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조계문|조계문(曺繼門)]]이며, 얼자(孼子)로 태어났다. [[조위|조위(曺偉)]]가 형이고, 점필재 [[김종직|김종직(金宗直)]]이 매형이다. 매형인 [[김종직]]에게 훈도를 받았으며 어릴 때부터 문장에 재능이 있었다. 서얼의 한계 때문에 젊은 시절 학업에 몰두하였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능통하여 역관이 되었다. 시문에 능통하여 당대의 석학들과 교유하였고 외국의 사절을 따라 연경 및 일본에 여러 차례 왕래하였다.<ref>김두종, "[http://db.itkc.or.kr/dir/pop/heje?dataId=ITKC_BT_1310A 소문쇄록 해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집총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1529년(중종 24)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묘소는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봉계마을에 있다. 1543년에 중종은 '문장에 능한 사람을 우대하는 뜻'으로 서출이자 역관인 그에게 공조판서를 추증하였고, 효강(孝康)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ref>장순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6436 조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관직활동====
 +
세종 대에는 [[서얼금과법 |서얼금과법(庶孼禁科法)]]때문에 과거에 응시하지 못했다가 [[홍귀달 |홍귀달(洪貴達)]]과 채수(蔡壽)의 추천을 받아 성종의 어전 시험으로 군의(軍議)를 받아 관리로 임용될 수 있었다. 1485년(성종 16)에는 의사(醫司)에 속하여 음양의 이치와 약리(藥理)를 가르쳤으며, 1489년에는 내의원(內醫院)에 출사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고 조위가 전라도 순천으로 유배를 가게 되자, 조신도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 김천으로 낙향하였다. 조신은 중국으로 가는 사신을 수행하여 중국에 가기도 하였다. 중국 사행 당시 북경에서 안남국(현 베트남) 사신 레티꺼(Le Thi Cu, 黎時擧)와 시문을 주고받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외교적 공적이 인정되어 종3품의 사역원정(司譯院正)에 특진되었다.<ref>정경주, 「적암 조신의 문학관과 일상적 체험의 문학세계」, 『동양한문학연구』 vol.6, 동양한문학회, 1991, 186-187쪽</ref>
 +
 
 +
===저서===
 +
1518년(중종 13) [[김안국|김안국(金安國)]]과 더불어 [[이륜행실도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를 편찬하였고, 이외의 저서로 [[적암시고 |『적암시고(適庵詩稿)』]], 『백년록(百年錄)』, [[소문쇄록 |『소문쇄록(謏聞瑣錄)』]]등이 있다. <ref>장순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6436 조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 '''이륜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18/A01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조신]] || [[김종직 처 풍양 조씨]]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
 +
| [[김종직]] || [[김종직 처 풍양 조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조신]] || [[홍귀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륜행실도]] || [[조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륜행실도]] || [[김안국]]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내의원]] || [[조신]]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조의제문]]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의제문]] || [[김종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조위]] || [[무오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신]] || [[조위]]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
 +
 
 +
=='''주석'''==
 +
<references/>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인물]]

2017년 11월 25일 (토) 00:11 기준 최신판

조신(曺伸)
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대표명칭 조신
한자표기 曺伸
생몰년 1454-1529
본관 창녕(昌寧)
적암(適庵)
숙분(叔奮)
출생지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봉계마을
시대 조선
국적 조선
대표저서 이륜행실도, 적암시고
대표직함 사역원정(司譯院正)
조계문(曺繼門)
성격 문신
유형 학자


정의

성종 및 연산군 대의 역관이다.

내용

생애

출생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숙분(叔奮)이고 호는 적암(適庵)이다.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이며, 얼자(孼子)로 태어났다. 조위(曺偉)가 형이고, 점필재 김종직(金宗直)이 매형이다. 매형인 김종직에게 훈도를 받았으며 어릴 때부터 문장에 재능이 있었다. 서얼의 한계 때문에 젊은 시절 학업에 몰두하였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능통하여 역관이 되었다. 시문에 능통하여 당대의 석학들과 교유하였고 외국의 사절을 따라 연경 및 일본에 여러 차례 왕래하였다.[1] 1529년(중종 24)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묘소는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봉계마을에 있다. 1543년에 중종은 '문장에 능한 사람을 우대하는 뜻'으로 서출이자 역관인 그에게 공조판서를 추증하였고, 효강(孝康)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2]

관직활동

세종 대에는 서얼금과법(庶孼禁科法)때문에 과거에 응시하지 못했다가 홍귀달(洪貴達)과 채수(蔡壽)의 추천을 받아 성종의 어전 시험으로 군의(軍議)를 받아 관리로 임용될 수 있었다. 1485년(성종 16)에는 의사(醫司)에 속하여 음양의 이치와 약리(藥理)를 가르쳤으며, 1489년에는 내의원(內醫院)에 출사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고 조위가 전라도 순천으로 유배를 가게 되자, 조신도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 김천으로 낙향하였다. 조신은 중국으로 가는 사신을 수행하여 중국에 가기도 하였다. 중국 사행 당시 북경에서 안남국(현 베트남) 사신 레티꺼(Le Thi Cu, 黎時擧)와 시문을 주고받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외교적 공적이 인정되어 종3품의 사역원정(司譯院正)에 특진되었다.[3]

저서

1518년(중종 13) 김안국(金安國)과 더불어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를 편찬하였고, 이외의 저서로 『적암시고(適庵詩稿)』, 『백년록(百年錄)』, 『소문쇄록(謏聞瑣錄)』등이 있다. [4]

지식 관계망

  • 이륜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신 김종직 처 풍양 조씨 A는 여형제 B가 있다 A ekc:hasSister B
김종직 김종직 처 풍양 조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조신 홍귀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륜행실도 조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륜행실도 김안국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내의원 조신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조의제문 무오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의제문 김종직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조위 무오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신 조위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주석

  1. 김두종, "소문쇄록 해제", 『한국문집총간』online, 한국고전번역원.
  2. 장순순, "조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경주, 「적암 조신의 문학관과 일상적 체험의 문학세계」, 『동양한문학연구』 vol.6, 동양한문학회, 1991, 186-187쪽
  4. 장순순, "조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