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조짐머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조짐머리01 단국대 석주선.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49쪽.
 
|대표명칭= 조짐머리
 
|대표명칭= 조짐머리
|한자표기=  
+
|한자표기=
 
|이칭별칭= 조진머리
 
|이칭별칭= 조진머리
|복식구분= 수식
+
|구분= 수식
|착용신분= [[외명부]], [[궁녀]]
+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 [[궁녀]]
 
|착용성별= 여성
 
|착용성별= 여성
|관련복식= [[다리]], [[첩지]]
 
|필드수= 10
 
 
}}
 
}}
  
==정의==
+
=='''정의'''==
조선시대 관례를 올린 여자의 머리모양으로 외명부가 궁중에 출입할 때 하던 예장용 머리모양 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44쪽.</ref>
+
조선시대 [[계례]]를 올린 여자의 머리모양으로 [[왕비]], [[왕세자빈]] 등 왕실 여성과 및 [[외명부|외명부(外命婦)]]가 궁중에 출입할 때 하던 의례용 머리 모양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44쪽.</ref>
  
==내용==
+
=='''내용'''==
===복식구성===
+
[[조짐머리]]는 [[다리]]를 넣어 굵게 땋은 머리를 크게 틀어 소라껍질처럼 뒷머리에 쪽을 진 것이다. 젊은 사람은 쪽이 크고 노인들은 작았으며, 앞머리에는 [[첩지]]를 달았다. 이 머리 모양은 [[영조]]와 [[정조]]대의 [[가체금지령]] 이후 [[얹은머리]] 대신 [[쪽진머리]]를 하게 한 이후, 쪽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생겨난 것으로 본다. 궁중의 지밀상궁도 숙직을 할 때 [[조짐머리]]를 하였는데 쪽의 크기가 커서 누워서 잘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처럼 불편한 큰 쪽의 사용에 대해서, '지밀상궁'은 [[왕]]의 신변 보호를 위해 항상 긴장을 늦추지 않아야 하므로 일부러 제도적으로 그렇게 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44~645쪽.</ref>
===착용신분===
 
왕실 여성 및 상류층 부녀자들이 하는 머리모양 이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궁중에 출입할 때 하는 머리모양 이다.
 
 
 
===형태===
 
[[다리]]를 넣어 굵게 땋은 머리를 크게 틀어 소라껍질처럼 뒷머리에 쪽을 진 것이다. 젊은 사람은 쪽이 크고 노인들은 작았으며, 앞머리에는 [[첩지]]를 달았다. 이 머리 모양은 영·정조대 체계금지령(髰髻禁止令) 이후 얹은머리 대신 쪽진머리를 하게 함으로써, 쪽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생겨난 것으로 본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44쪽.</ref>
 
 
 
===기타===
 
궁중의 지밀상궁도 숙직을 할 때 조짐머리를 하였는데 쪽의 크기가 커서 누워서 잘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하며, 이처럼 불편한 큰 쪽의 사용에 대해서, 지밀상궁은
 
왕의 신변 보호를 위해 항상 긴장을 늦추지 않아야 하므로 일부러 제도적으로 그렇게 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45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비]] || 조짐머리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빈]] || 조짐머리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내명부]] ||  조짐머리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첩지]] || A는 B에 착용한다
+
| [[외명부]] ||  조짐머리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정미가례시일기]]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궁녀]] || 조짐머리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조짐머리 || [[첩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57번째 줄: 46번째 줄: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김소현,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 연구」, 『服飾』 60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10.
===더 읽을거리===
+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金正子, 「우리나라 女性의 髮樣에 대한 硏究  - 文獻과 遺物을 中心으로-」, 『服飾』6권, 한국복식학회, 1982.
===유용한 정보===
+
* 박영미, 「조선 후기 가체 유행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박정균, 「조선시대 여인의 가체금지령 전ㆍ후 신분별 머리 모양분석-드라마 왕과 나, 이산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 朴貞植, 「朝鮮時代의 女子髮樣考察-中·後期操作方法-」, 『대한가정학회지』 제21권 3호, 대한가정학회, 1983.
 +
* 宋昇姬, 「가체를 중심으로 한 조선후기 여성의 머리장식 연구 –신윤복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李映周, 「조선시대 加髢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 이은주, 「19세기 조선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服飾』 58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8.
 +
* 임영자ㆍ조미영, 「조선후기 기녀의 머리형태가 일반여성의 머리 형태에 미친 영향」, 『服飾』 54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4.
 +
* 張暎淳, 「朝鮮時代 以來 女性의 머리型態變遷에 關한 史的 考察」,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
* 최경순, 「조선조 加髢논의와 그 요인」, 『복식문화연구』 4권 1호, 복식문화학회, 1996.
 +
* 崔民植, 「조선후기 내명부의 머리 양식 및 고찰」,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2월 17일 (일) 21:35 기준 최신판


조짐머리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49쪽.
대표명칭 조짐머리
이칭별칭 조진머리
구분 수식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 궁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시대 계례를 올린 여자의 머리모양으로 왕비, 왕세자빈 등 왕실 여성과 및 외명부(外命婦)가 궁중에 출입할 때 하던 의례용 머리 모양이다.[1]

내용

조짐머리다리를 넣어 굵게 땋은 머리를 크게 틀어 소라껍질처럼 뒷머리에 쪽을 진 것이다. 젊은 사람은 쪽이 크고 노인들은 작았으며, 앞머리에는 첩지를 달았다. 이 머리 모양은 영조정조대의 가체금지령 이후 얹은머리 대신 쪽진머리를 하게 한 이후, 쪽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생겨난 것으로 본다. 궁중의 지밀상궁도 숙직을 할 때 조짐머리를 하였는데 쪽의 크기가 커서 누워서 잘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처럼 불편한 큰 쪽의 사용에 대해서, '지밀상궁'은 의 신변 보호를 위해 항상 긴장을 늦추지 않아야 하므로 일부러 제도적으로 그렇게 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비 조짐머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조짐머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내명부 조짐머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조짐머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궁녀 조짐머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조짐머리 첩지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44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44~645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소현,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 연구」, 『服飾』 60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10.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金正子, 「우리나라 女性의 髮樣에 대한 硏究 - 文獻과 遺物을 中心으로-」, 『服飾』6권, 한국복식학회, 1982.
  • 박영미, 「조선 후기 가체 유행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정균, 「조선시대 여인의 가체금지령 전ㆍ후 신분별 머리 모양분석-드라마 왕과 나, 이산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朴貞植, 「朝鮮時代의 女子髮樣考察-中·後期操作方法-」, 『대한가정학회지』 제21권 3호, 대한가정학회, 1983.
  • 宋昇姬, 「가체를 중심으로 한 조선후기 여성의 머리장식 연구 –신윤복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李映周, 「조선시대 加髢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이은주, 「19세기 조선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服飾』 58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8.
  • 임영자ㆍ조미영, 「조선후기 기녀의 머리형태가 일반여성의 머리 형태에 미친 영향」, 『服飾』 54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4.
  • 張暎淳, 「朝鮮時代 以來 女性의 머리型態變遷에 關한 史的 考察」,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 최경순, 「조선조 加髢논의와 그 요인」, 『복식문화연구』 4권 1호, 복식문화학회, 1996.
  • 崔民植, 「조선후기 내명부의 머리 양식 및 고찰」,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