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과 두 개의 비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노드 목록)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과제 설명'''==
+
=='''주제 소개'''==
  
 
==='''주제 소개'''===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고 있다.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고 있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1653년 건립, 현존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1653년 건립, 현존.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1173년 건립, 비는 현존하지 않음, 『동문선(東文選)』을 통해 확인 가능
+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1173년 건립, 비는 현존하지 않음, 『동문선(東文選)』을 통해 확인 가능.
  
 
이 두 비문을 중심으로 비문에서 확인되는 정보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작하였다.
 
이 두 비문을 중심으로 비문에서 확인되는 정보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작하였다.
  
도갑사 비문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비문인만큼, 조선시대 역사와 다양한 맥락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옥룡사 비문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비문으로, 상대적으로 도선의 행적에 관하여 자세한 서술이 있어서, 불교사의 맥락에서 도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
=='''온톨로지'''==
 +
===Class===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사찰: 도갑사(道岬寺), 화엄사(華嚴寺)
 +
*승려: 도선(道詵), 혜철(惠徹), 도의(道義), 홍척(洪陟), 염거(廉居), 체징(體澄), 수미(守眉), 일행(一行), 지장(智藏)
 +
*인물: 왕건(王建), 이경석(李景奭), 송시열(宋時烈), 오준(吳竣), 정두경(鄭斗卿), 최유청(崔惟淸), 정서(鄭叙)
 +
*유적: 도선국사 부도탑지(道詵國師 浮屠塔址),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문헌: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동문선(東文選)
 +
*공간: 경기도박물관
 +
*사건: 병자호란(丙子胡亂)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동리산문(桐裏山門), 실상산문(實相山門),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지산문(迦智山門)
 +
 
 +
 
 +
===Relation===
 +
*는_-에_있다
 +
*는_-를_위한_비이다
 +
*는_-가_비문을_지었다
 +
*는_-가_비문을_썼다
 +
*은_-에_언급되었다
 +
*은_-로부터_수학했다
 +
*은_-을_창건하였다
 +
*는_-와_관련있다
 +
*은_-에_있다
 +
*은_-에서_수학했다
 +
*은_-에_있었다
 +
*은_-에_수록되어_있다
 +
*은_-을_개창하였다
 +
*은_-에_해당된다
 +
*은_-에서_확인된다
 +
 
  
  
==='''기사 작성 방향'''===
+
=='''기사 작성 방향'''==
* 10개의 기사 항목은 클래스를 기준으로 대표성을 가지는 노드를 선정하여 작성
+
* '''10개의 기사 항목 중 9개 항목은 클래스를 기준으로 대표성을 가지는 노드를 선정하여 작성하였다.'''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탑비: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사찰: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사찰: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사지: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승려: [[도선(道詵)]]
 
** 승려: [[도선(道詵)]]
 
** 인물: [[이경석(李景奭)]]
 
** 인물: [[이경석(李景奭)]]
 +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 유적: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문헌: [[동문선(東文選)]]
 
** 문헌: [[동문선(東文選)]]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공간: [[경기도박물관]]
 
** 공간: [[경기도박물관]]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향후 작성될 기사의 여러 템플릿들을 고민
+
 
 +
* '''노드 뿐만 아니라 관계(Relation, 서술어)를 위한 페이지 제작을 제안하고자 한다.'''
 +
** 관계: [[는_-가_비문을_지었다]]
 +
 
 +
 
 +
* '''기사의 내용은 한두 문장으로 간략하게 작성하고, 항목에 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원들을 나열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
** 본 프로젝트에서 위키 기사의 역할은, 해당 항목에 관한 정보를 탐색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연결(link)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 대신 항목과 관련하여 주요한 정보들은 메타데이터를 통해 모두 기술될 수 있도록 하였다. ->틀(template) 이용
 +
 
 +
 
 +
* '''기사 작성을 위하여 각 클래스 별로 틀(template)을 새롭게 설계 하였다.'''
 +
** 기존의 틀에서는 매개변수에 값이 없어도 그대로 노출되어 틀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를 개선하였다.
 +
** 탑비, 사찰, 승려, 불교개념 등 승탑 비문의 지식 노드를 위한 메타데이터를 제시하였다.
 +
** [[틀:탑비정보]], [[틀:사찰정보]], [[틀:승려정보]], [[틀:역사인물정보]], [[틀:문헌정보]], [[틀:문화유산 유물정보]], [[틀:공간정보2]], [[틀:불교개념정보]]
 +
 
 +
 
 +
* '''이미지 파일에 분류 태그를 삽입하여 분류 페이지 상에서 자동적으로 갤러리가 생성되도록 하였다'''
 +
** 미디어위키 상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
** 이 작업을 통해 향후 다양한 분류 기준에 의해 이미지를 종합하여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33번째 줄: 80번째 줄:
 
</html>
 
</html>
  
=='''노드 목록'''==
+
 
 +
=='''관계 목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Node !! Relation !! Node
 
!Node !! Relation !! Node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에 있다||도갑사(道岬寺)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를 위한 비이다||도선(道詵)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를 위한 비이다||[[도선(道詵)]]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를 위한 비이다||수미(守眉)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를 위한 비이다||수미(守眉)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가 비문을 지었다||이경석(李景奭)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가 비문을 지었다||[[이경석(李景奭)]]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가 비문을 썼다||오준(吳竣)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가 비문을 썼다||오준(吳竣)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가 비문을 지었다||정두경(鄭斗卿)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가 비문을 지었다||정두경(鄭斗卿)
 
|-
 
|-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은 -에 언급되었다||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은 -에 언급되었다||[[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
|도선(道詵)||은 -로부터 수학했다||일행(一行)
+
|[[도선(道詵)]]||은 -로부터 수학했다||일행(一行)
 
|-
 
|-
|도선(道詵)||은 -을 창건하였다||도갑사(道岬寺)
+
|[[도선(道詵)]]||은 -을 창건하였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
|왕건(王建)||은 -에 언급되었다||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왕건(王建)||은 -에 언급되었다||[[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는 -가 비문을 지었다||이경석(李景奭)
+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는 -가 비문을 지었다||[[이경석(李景奭)]]
 
|-
 
|-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는 -가 비문을 썼다||오준(吳竣)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는 -가 비문을 썼다||오준(吳竣)
63번째 줄: 111번째 줄: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는 -와 관련있다||병자호란(丙子胡亂)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는 -와 관련있다||병자호란(丙子胡亂)
 
|-
 
|-
|이경석(李景奭)||는 -와 관련있다||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이경석(李景奭)]]||는 -와 관련있다||[[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은 -에 있다||경기도박물관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은 -에 있다||[[경기도박물관]]
 
|-
 
|-
|송시열(宋時烈)||는 -와 관련있다||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송시열(宋時烈)||는 -와 관련있다||[[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는 -를 위한 비이다||도선(道詵)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는 -를 위한 비이다||[[도선(道詵)]]
 
|-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는 -가 비문을 지었다||최유청(崔惟淸)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는 -가 비문을 지었다||최유청(崔惟淸)
77번째 줄: 125번째 줄:
 
|왕건(王建)||은 -에 언급되었다||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왕건(王建)||은 -에 언급되었다||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
|도선(道詵)||은 -에서 수학했다||화엄사(華嚴寺)
+
|[[도선(道詵)]]||은 -에서 수학했다||화엄사(華嚴寺)
 
|-
 
|-
|도선(道詵)||은 -로부터 수학했다||혜철(惠徹)
+
|[[도선(道詵)]]||은 -로부터 수학했다||혜철(惠徹)
 
|-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은 -에 있었다||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은 -에 있었다||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은 -에 수록되어 있다||동문선(東文選)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은 -에 수록되어 있다||[[동문선(東文選)]]
 
|-
 
|-
 
|혜철(惠徹)||은 -로부터 수학했다||지장(智藏)
 
|혜철(惠徹)||은 -로부터 수학했다||지장(智藏)
107번째 줄: 155번째 줄:
 
|도선국사 부도탑지(道詵國師 浮屠塔址)||은 -에서 확인된다||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도선국사 부도탑지(道詵國師 浮屠塔址)||은 -에서 확인된다||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
 +
 +
[[분류:프로젝트관리]]

2017년 6월 14일 (수) 20:23 기준 최신판

주제 소개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고 있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1653년 건립, 비 현존.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1173년 건립, 비는 현존하지 않음, 『동문선(東文選)』을 통해 확인 가능.

이 두 비문을 중심으로 비문에서 확인되는 정보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작하였다.


온톨로지

Class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사찰: 도갑사(道岬寺), 화엄사(華嚴寺)
  • 승려: 도선(道詵), 혜철(惠徹), 도의(道義), 홍척(洪陟), 염거(廉居), 체징(體澄), 수미(守眉), 일행(一行), 지장(智藏)
  • 인물: 왕건(王建), 이경석(李景奭), 송시열(宋時烈), 오준(吳竣), 정두경(鄭斗卿), 최유청(崔惟淸), 정서(鄭叙)
  • 유적: 도선국사 부도탑지(道詵國師 浮屠塔址),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문헌: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동문선(東文選)
  • 공간: 경기도박물관
  • 사건: 병자호란(丙子胡亂)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동리산문(桐裏山門), 실상산문(實相山門),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지산문(迦智山門)


Relation

  • 는_-에_있다
  • 는_-를_위한_비이다
  • 는_-가_비문을_지었다
  • 는_-가_비문을_썼다
  • 은_-에_언급되었다
  • 은_-로부터_수학했다
  • 은_-을_창건하였다
  • 는_-와_관련있다
  • 은_-에_있다
  • 은_-에서_수학했다
  • 은_-에_있었다
  • 은_-에_수록되어_있다
  • 은_-을_개창하였다
  • 은_-에_해당된다
  • 은_-에서_확인된다


기사 작성 방향


  • 노드 뿐만 아니라 관계(Relation, 서술어)를 위한 페이지 제작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사의 내용은 한두 문장으로 간략하게 작성하고, 항목에 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원들을 나열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 본 프로젝트에서 위키 기사의 역할은, 해당 항목에 관한 정보를 탐색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연결(link)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대신 항목과 관련하여 주요한 정보들은 메타데이터를 통해 모두 기술될 수 있도록 하였다. ->틀(template) 이용



  • 이미지 파일에 분류 태그를 삽입하여 분류 페이지 상에서 자동적으로 갤러리가 생성되도록 하였다
    • 미디어위키 상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 이 작업을 통해 향후 다양한 분류 기준에 의해 이미지를 종합하여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네트워크 그래프


관계 목록

Node Relation Node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는 -에 있다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는 -를 위한 비이다 도선(道詵)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는 -를 위한 비이다 수미(守眉)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는 -가 비문을 지었다 이경석(李景奭)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는 -가 비문을 썼다 오준(吳竣)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는 -가 비문을 지었다 정두경(鄭斗卿)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은 -에 언급되었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도선(道詵) 은 -로부터 수학했다 일행(一行)
도선(道詵) 은 -을 창건하였다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왕건(王建) 은 -에 언급되었다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는 -가 비문을 지었다 이경석(李景奭)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는 -가 비문을 썼다 오준(吳竣)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는 -와 관련있다 병자호란(丙子胡亂)
이경석(李景奭) 는 -와 관련있다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은 -에 있다 경기도박물관
송시열(宋時烈) 는 -와 관련있다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는 -를 위한 비이다 도선(道詵)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는 -가 비문을 지었다 최유청(崔惟淸)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는 -가 비문을 썼다 정서(鄭叙)
왕건(王建) 은 -에 언급되었다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도선(道詵) 은 -에서 수학했다 화엄사(華嚴寺)
도선(道詵) 은 -로부터 수학했다 혜철(惠徹)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은 -에 있었다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은 -에 수록되어 있다 동문선(東文選)
혜철(惠徹) 은 -로부터 수학했다 지장(智藏)
도의(道義) 은 -로부터 수학했다 지장(智藏)
홍척(洪陟) 은 -로부터 수학했다 지장(智藏)
혜철(惠徹) 은 -을 개창하였다 동리산문(桐裏山門)
동리산문(桐裏山門) 은 -에 해당된다 구산선문(九山禪門)
홍척(洪陟) 은 -을 개창하였다 실상산문(實相山門)
실상산문(實相山門) 은 -에 해당된다 구산선문(九山禪門)
염거(廉居) 은 -로부터 수학했다 도의(道義)
체징(體澄) 은 -로부터 수학했다 염거(廉居)
체징(體澄) 은 -을 개창하였다 가지산문(迦智山門)
도선국사 부도탑지(道詵國師 浮屠塔址) 은 -에서 확인된다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