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기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정의)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10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_류인태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이름 = 김기창
+
{{작가정보
|이칭 = 운보 또는 운포
+
|사진= 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jpg
|성별 = 남성
+
|사진출처= 김희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615 김기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년 =  
+
|대표명칭 = 김기창
|몰년 =  
+
|한자표기 = 金基昶
|대표작품 =
+
|영문명칭 =  Kim Ki-chang 
|대표이력 =
+
|본명 =
|이미지 =
+
|= 운보
|image =김기창.png|463px
+
|생년 = 1913년 2월 18일
 +
|몰년 = 2001년 1월 23일
 +
|출생지 = 서울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동양화가
 +
|필드수 =
 
}}
 
}}
 +
=='''정의'''==
 +
대한민국의 [[동양화|동양화가]]이다.
  
 +
=='''내용'''==
 +
===해방 이전 활동===
 +
1913년 서울 운니동에서 8남매의 장남으로 출생했다. 7세에 장티푸스 후유증으로 청각을 상실하였다. 1930년 17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김은호|이당 김은호]]의 화숙에 들어가 [[동양화]]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불과 1년여 만인 1931년 [[조선미술전람회|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널뛰기를 소재로 한 「판상도무(板上跳舞)」로 입선했다. 이때 어머니가 운포(雲圃)란 아호를 지어 주었다. 이후 연이은 입선과 특선을 거쳐 두 차례 조선총독상을 수상하였다.
  
=='''개요'''==
+
===일제강점기 활동===
김기창(金基昶)은 한국의 대표적인 동양화가이다.<br/>
+
일제강점기 김기창의 작품은 스승 [[김은호]] 화풍의 영향을 받아 [[일본화풍]]이 가미된 사실적 채색인물화를 주로 그렸다. 선전 추천작가가 된 데 이어 친일 미술전인 반도총후미술전(半島銃後美術展) 일본화부 추천작가로 활동하였다. 해방과 더불어 호를 '포(圃)' 자에서 사각의 굴레 같은 ''를 벗겨 운보(雲甫)로 바꾸었으며, 1946년에는 일본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돌아온 [[박래현]]과 결혼하였다.
청각장애를 극복하고 현대 한국 미술계에서 큰 자취를 남긴 거장으로 여겨지지만, 한편으로는 일제강점기 시절 친일적 성격의 작품을 창작한 것으로 인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언급되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다.<br/>
 
그가 남긴 그림들 가운데 특히 한국의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다룬 작품들의 경우 그의 친일행적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함께 그 가치에 대한 평가가 여러 방향으로 나뉘고 있다.
 
  
=='''생애'''==
+
===해방 이후 활동===
 +
해방 이후에는 일제의 잔재를 벗어나 새로운 시대정신을 담은 [[동양화]]의 방향을 모색하며 여러 편의 글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채색과 사실 위주의 화풍에도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수묵담채와 서구의 조형원리를 원용한 실험적인 작품을 시도하였다. [[박래현]]과 함께 [[입체주의|입체주의(큐비즘)]]의 대상해석 방식을 시도한 작품들과 1960년대 완전히 [[추상미술|추상적인 경향]]을 보이는 작품들, 그리고 1967년 미국과 멕시코 등을 돌아본 후 강렬하고 격정적인 필치와 색채로 제작한 [[표현주의]] 경향의 작품들이 그것이다.
  
'''1913년''' 2월 18일 서울 운니동에서 당시 총독부 토지관리국 직원이던 아버지 김승환과 어머니 한윤명 사이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보통학교 입학 이전까지의 유년기를 잠시 충청남도 공주에서 보내기도 했다.
+
===부부전 개최===
 +
부인 [[박래현]]과 1947년 첫 번째로 부부전을 열었다. 이후 십여 차례 공동전시회를 이어가는 동안 두 사람은 ‘동지’로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았다. 위의 실험적인 작품들은 그 동지적 결실이라 할 것이다. 한국전쟁 발발로 군산에 피난했던 시절에는 우리나라 사람의 모습에 한복을 입은 《예수의 일생》 연작 30점을 그려 새로운 종교화의 형식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1921년''' 승동보통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8살 무렵 장티푸스로 인한 고열에 의해 청각을 상실하였고 이로 인한 언어 장애의 증세까지 있었다. 이 일로 인해 김기창은 평생 청각장애인으로 살아야 했다.  
+
===부인 사별 이후 활동===
 +
1976년 부인 [[박래현]]과 사별한 이후에는 독창성 있는 자신의 양식을 새로이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인간과 회화의 순수함을 바탕에 두고 소박하고 자유로운 필치를 담은, 이른바 '바보산수', '바보화조'가 그것이다. 이는 1980년대 들어 전통기법의 산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해학적 분위를 담은 ‘[[청록산수]]’와 민화풍의 [[화조화|화조화(花鳥畵)]]로 이어졌다. 그러나 [[청록산수]]는 다작과 반복적인 표현으로 매너리즘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1981년 방문한 파리 근교 지베르니의 '모네의 집'에서 인상을 받은 그는 충북 청원에 '운보의 집'을 짓고 그곳에서 창작과 함께 만년을 보냈다.<br/>
 +
김기창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비판적이었던 작가들과 [[백양회]]를 결성해 활동하였다. [[김은호]] 문하생 모임인 [[후소회]] 회장을 맡기도 하였으며 [[홍익대학교]]와 [[수도여자사범대학]]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또한 만 원 권 지폐의 세종대왕상, [[김정호 표준영정]], [[을지문덕 표준영정]] 등의 영정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그는 청각장애우를 비롯한 장애우를 위한 활동에도 활발하게 참여했다. 1979년 '[[한국농아복지회]]'를 창설하여 초대회장을 맡았고, 1984년에는 서울 역삼동에 청각장애인 복지센터인 '[[청음회관]]'을 설립했다.
  
'''1930년''' 승동보통학교 졸업 후 아버지 김승환은 아들이 청각장애가 있지만 체격이 크기 때문에 목수 일을 배우게끔 하려 하였지만, 어머니인 한윤명은 그가 그림 그리는 것에 소질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이당(以堂) [[김은호]]의 화숙인 낙청현에서 그림을 배우게끔 주선하였다.
+
===친일활동 논란===
 +
한편 그의 친일활동이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그는 1942년에는 일제의 정책과 전시체제를 지원하는 '반도총후미술전', '조선남화연맹전', '애국백인일수전람회' 등에 참여하였다. 또한 조선 청년의 강제 징집을 고무하는 시화연재물인 「님의 부르심을 받고」의 삽화를 그리는 등의 친일행위로 『친일인명사전』(2009)에 포함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에 그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1931년''' 김은호의 문하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그림을 배우기 시작한지 6개월만에 '제 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판상도무'를 출품해 입선하였다.(1940년까지 6회 입선, 특선 3회를 기록했다.)
+
===학력===
 +
*1927  승동보통학교 졸업
 +
*1930  [[김은호| 이당(以堂) 김은호]] 사사(師事)
 +
*1988  [[세종대학교]] 명예문학박사
  
'''1936년''' 낙청현에서 김기창은 김은호를 사사한 장우성, 이유태, 백윤문, 이석호, 한유동, 장운봉 등과 함께 1월에 미술단체인 [후소회]를 창립하고, 10월 제1회 전시회 '조선남화연맹전'을 개최한다.
+
===경력===
 +
* 1940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
 +
* 1947  국립민속박물관 미술부장
 +
* 1954  [[홍익대학교|홍익대]] 미술학과 전임강사
 +
* 1955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심사위원, 부위원장, 운영위원 (~79)
 +
* 1962  [[수도여자대학교|수도여사대]] 교수 및 회화과장
 +
* 1970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및 고문
 +
* 1979  [[한국농아복지회]] 회장
 +
* 1982  제1~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1940년''' 27살 무렵 '조선미술전람회'에서 꾸준히 입선한 경력을 바탕으로 추천작가가 되었는데, 이후로 광복 전까지 일본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그림을 그리는 등 친일적 성격의 작품 활동이 이어졌다.  
+
===전시===
 +
*1957  현대한국화 초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60  현대한국화가 중국전, 대만, 대남, 홍콩
 +
*1963  상파울로비엔날레. 한·일·태 3개국 3인전, 스위스
 +
*1968  세계문화자유초대전
 +
*1971  프랑스 한국현대회화제
 +
*1973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서도 50년 기념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화 100년전, 호암갤러리
 +
*1988  국제현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1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3  팔순기념 회고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2002  바보 천재 운보 그림전, 국립현대미술관
  
'''1942년''' 당시 친일 미술전인 '반도총후미술전(半島銃後美術展)'에 후소회 동문인 장우성과 함께 일본화부 추천작가로 발탁되었다. 1944년까지 지속되었다.
+
===수상===
 +
* [[조선미술전람회|조선미술전람회(선전)]] 입선 및 특선 각 연4회
 +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조선미술전람회(선전)]] 창덕궁상, 제17회 [[조선미술전람회|조선미술전람회(선전)]] 총독상
 +
*1963  5월문예상
 +
*1971  3·1문화상
 +
*1977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81  국민훈장 모란장
 +
*1982  중앙문화대상 대상
 +
*1983  대한민국예술원상
 +
*1986  5·16민족상(사회부문), 서울시문화상(미술부문)
 +
*1991  인촌상
 +
*1996  의제 허백련 미술상
 +
*2001  금관문화훈장 추서
  
'''1943년''' 1월 애국백인일수전람회를 통해 일제의 기금 모집에 협력하였다. 아내 우향 [박래현]과 처음 만난다.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4/C034.htm "명량대첩"(김기창)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4/C03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김기창-명량대첩]]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정호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을지문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무열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조헌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문무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은호]] || [[김기창]]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후소회]] || [[김기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백양회]] || [[김기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백양회]] || [[한국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백양회]]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기창]] || [[박래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박래현]] || [[입체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기창]] || [[입체주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한국미술협회]] || [[김기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대한민국예술원]] || [[김기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김기창]]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총후미술전]] ||[[김기창]]||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한국농아복지회]]  || [[김기창]]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청음회관]]  || [[김기창]]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김기창]] || [[운보문화재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기창]] || [[운보미술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기창]] ||  [[동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기창]] || [[일본화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기창]] || [[추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1946년''' 박래현과 3년간의 필담연애 끝에 서울 남산에서 고백해 결혼하였다.
+
=='''시각자료'''==
 
+
===갤러리===
'''1947년''' '운보-우향 부부전'을 시작으로 부부작가로 함께 미술 전시활동을 시작했다. 자유신문 미술기자, 국립민속박물관 미술부장 등을 지냈다.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태양을 먹은 새 01.jpg|  태양을 머금은 새, 1968, 두방에 수묵채색, 31.5×39㎝<ref>최은주,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78036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2016년 6월 3일.</ref>
'''1957년''' 미국 뉴욕 월드하우스 화랑 주최 교 한국 현대작가전에 초대 출품했다.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군마도 01.jpg| 군마도, 1964, 비단에 수묵담채, 175.5x34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3989 군마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File:민족기록화_작가_김기창_청산청경.jpg | 청산청경, 1980, 수묵담채, 88x145.5cm<ref>"[https://neolook.com/archives/20100909g 한국화 판타지-한국화의 감각적 재해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오룩』<sup>online</sup></online></html>.</ref>
'''1960년''' 국전 초대작가가 되어 국전 심사위원을 역임하고, 타이베이(台北)와 홍콩에서 열린 한국미술전에 출품했고 이어 도쿄(東京)·마닐라에서 열린 한국미술전에도 출품했다. 홍익대학교 미술과 교수를 지냈다.
+
File:민족기록화_작가_김기창_가을.jpg |  가을, 1934, 비단에 수묵채색, 170.5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0166 가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File:민족기록화_작가_김기창_복덕방.jpg | 복덕방, 1953, 종이에 수묵담채, 77.5x100cm<ref>거부기, "[http://www.sunjooschool.com/index.php?mid=class_published_ModernPainting&document_srl=7900&sort_index=readed_count&order_type=asc 마지막 회 - 근대에서 현대로]"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김선주학교』<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1년 01월 31일.</ref>
'''1962년''' 수도여자사범대학(훗날 세종대학교)으로 교직을 옮긴다.(1974년까지 교수를 지냈다) 문화자유전에 출품했다. 백양회 창립을 주도하였다.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1963년''' 5월 문예상 미술본상을 수상했고, 제7회 상파울로 비엔날레에도 한국 대표로 출품했다.
+
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
</gallery>
'''1964년''' 미국무성의 초청으로 도미(渡美)하였다.
 
 
 
'''1969년''' 재차 도미하여 뉴욕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1975년까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1970년 미술협회 부이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화단과 교육계에서 커다란 활동을 했다.
 
 
 
'''1979년''' 한국농아복지회를 창설하여 초대회장에 취임하였다.
 
 
 
'''1984년''' 서울 역삼동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복지센터인 청음회관을 설립하였다. 충북 청원에 '운보의 집'을 완공했다.
 
 
 
'''1989년''' 예술원 정회원이 되었다.
 
 
 
'''1993년''' 예술의 전당에서 '운보 김기창 팔순 기념 대회고전'을 개최하였다.
 
 
 
'''1994년''' '운보 김기창 전작도록'을 발간하였다.
 
 
 
'''2000년''' 7월 개인전 '미수 기념 특별전'을 열었다.
 
 
 
'''2001년''' 1월 23일 사망했다.
 
 
 
=='''대표적 작품과 경향성'''==
 
자유롭고 활달한 필력으로 힘차고 동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여, 풍속화에서부터 극단적인 추상에 이르기까지 구상과 추상의 전 영역을 망라하는 폭넓은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세종대왕_표준영정]]
 
*군마도
 
*청산도
 
*소와 여인
 
*가을
 
*보리타작
 
*님의 부르심을 받고서
 
*완전군장의 총후병사
 
 
 
=='''전시와 수상경력 그리고 서훈'''==
 
==='''전시'''===
 
===='''생전 전시'''====
 
===='''사후 전시'''====
 
==='''수상경력'''===
 
*1971년 제12회 3.1 문화상
 
*1972년 3.1문화상 심사위원 위촉
 
*1977년 3.1문화상 심사위원 위촉
 
*1981년 한독미술가협회 회장
 
*1982년 중앙일보 중앙문화예술상 본상
 
*1983년 예술원상
 
*1985년 후소회 회장
 
*1986년 '5.16민족상과 서울시 문화상'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동남아채묵전 추진위원장
 
*1987년 '색동회상'
 
*1988년 서울 올림픽 아트포스터 제작 작가
 
 
 
==='''서훈'''===
 
*1977년 은관문화훈장
 
*1981년 국민훈장 모란장
 
*2001년 금관문화훈장(추서)
 
 
 
=='''논란과 평가'''==
 
==='''친일행적에 대한 시선'''===
 
 
 
김기창의 스승 이당 김은호는 친일 미술인 단체인 조선미술가협회 일본화부평의원으로 있었다. 스승의 영향으로 인해 김기창은 그림을 통해 일제의 전쟁동원에 간접적으로 협력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조선남화연맹전(1940.10), 애국백인일수전람회(1943.1)를 통해 일제의 기금 모집에 적극 협력 하였다.<br/>
 
친일 미술전의 핵심인 반도총후미술전(半島銃後美術展)에 후소회 동문인 장우성과 함께 일본화부 추천작가로 발탁되었다.(1942∼44)
 
 
 
이와 같은 김기창의 친일행적은 대중매체에 실린 삽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총후병사(1944.4)
 
*님의 부르심을 받고서〉(1943.8.6)
 
 
 
<span style="color: red; text-decoration: line-through;">
 
조선식산은행의 사보 《회심(會心)》지에 실린 그림과 훈련병을 그린 〈총후병사〉는 펜화에 담채를 가한 삽화이다. “완전군장으로 간이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병사의 옆모습을 포착한 것으로 얼굴과 주먹 쥔 손에는 성전에 참여한 멸사봉공의 굳은 의지가 생생하게 담겨있다”고 이태호 명지대 교수는 《친일파 99인》에서 밝혔다. 그러나 〈총후병사〉에 대해서 김기창은 "정식으로 그린 그림이 아니라 삽화에 불과해 친일한 작품으로 볼 수 없다."고 친일작품행위를 부정했다. 이러한 운보의 변명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에 당시 남양군도에서 대검을 소총에 끼운 채 적진을 향하고 있는 일본군의 육박전을 묘사한 〈적진육박〉(1944)이라는 작품이 공개되면서 이 말은 거짓말임이 드러나게 되었다. 1944년 식민지 조선에서 대규모의 미술전시회가 열렸던 적이 있었다. 그 전시회 이름이 '결전(決戰) 미술전람회'였다. 여기에 김기창이 출품한 작품이 바로 저 작품으로 이름이 '적진육박'이다. 이 작품으로 그 당시 전람회에서 '조선군 보도부장상'을 받았었다. 이에 대해 민족문제연구소는 “적진육박은 일제 군국주의를 찬양하고 소위 ‘황국신민’의 영광을 고취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의 후원을 받아 경성일보사가 1944년 3월부터 7개월간 서울에서 연 ‘결전’ 미술전람회에 출품됐다”고 밝혔다.
 
</span>
 
 
 
사후인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미술 분야에 선정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6점의 표준영정에 대한 재해석'''===
 
 
 
김기창은 세종대왕, 을지문덕, 태종무열왕, 조헌, 김정호, 문무대왕 등 여러 역사인물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이 작품들은 모두 국가에 의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br/>
 
그러나 최근 친일파 인물로 평가받음에 따라 그가 그린 표준영정을 모두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br/>
 
세종대왕 표준영정의 경우, 이를 기반으로 만원권 지폐 등 세종대왕을 묘사한 각종 도안과 동상 등이 제작되었는데, 김기창이 자신의 얼굴과 흡사하게 그렸다고 해서 대중적으로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멀티미디어 자료'''==
 
<big>'''*운보 김기창 판화전(2014.03.11~04.08)'''</big>
 
  
 +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307호-늦가을의 화단(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30YhMOyWYf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PYO GALLERY] 운보 김기창 판화전(2014.03.11~04.08)(게시일: 2014년 3월 27일)'''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ee7_iXGNNc"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ee7_iXGNNc"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JTBC Entertainment] 모두가 가품이라 예측한 운보 김기창 선생님의 그림!! 그 감정가는?- 신의 한 수 37회 (게시일: 2013년 5월 29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31I_RC7Rx5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정보'''==
+
=='''주석'''==
 +
<references/>
  
===한글고문헌_전시자료===
+
=='''참고문헌'''==
*김기창은 '''[[세종대왕_표준영정]]'''을 그렸다.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 김기창, 『침묵의 심연에서-나의 화필 60년』, 법조각, 1988.
 +
#* 이일 외, 『운보 김기창』, 에이피 인터내셔날, 1989.
 +
#* 김기창, 『나의 사랑과 예술』, 정우사, 1993.
 +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4: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 현대문화사, 2009.
 +
#*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1, 2009.
 +
 +
===유용한 정보===
 +
# 김희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615 김기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00 김기창]", 회원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예술원』<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oonbo.kr/artnote/board.php?board=kkkmain&command=skin_insert&exe=insert_iboard1_home 운보문화재단]』<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인물===
+
===더 읽을거리===
*김기창은 '''[[김은호]]'''를 스승으로 두었다.
+
# 최병식,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6317 운보 김기창]』,동문선, 1999.
*김기창은 '''[[박래현]]'''을 아내로 두었다.
 
 
 
===단체===
 
*'''[[운보문화재단]]'''은 김기창을 기념하는 단체이다.
 
 
 
===공간===
 
*'''[[운보미술관]]'''은 김기창의 이름을 딴 공간이다.
 
 
 
=='''각주'''==
 
 
 
=='''참고문헌'''==
 
==='''온라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615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기창"]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A%B8%B0%EC%B0%BD_(%ED%99%94%EA%B0%80) 위키백과 "김기창"]
 
*[https://namu.wiki/w/%EA%B9%80%EA%B8%B0%EC%B0%BD 나무위키 "김기창"]
 
*[https://shineyourlight-shineyourlight.blogspot.kr/2014/04/blog-post_30.html]
 
*[http://www.rfa.org/korean/in_focus/37127-20000725.html]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elmut_lang&logNo=220415709439&parentCategoryNo=3&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http://www.sdjs.co.kr/read.php?quarterId=SD201304&num=732]
 
*[http://www.mcst.go.kr/web/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7678]
 
*[http://inews.ewha.ac.kr/news/articleView.html?idxno=4734]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254743]
 
*
 
*
 
*
 
*
 
  
==='''오프라인'''===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6317 최병식, <운보 김기창>, 동문선, 1999.]
 

2017년 12월 23일 (토) 21:54 기준 최신판


김기창(金基昶)
김희만, "김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김기창
한자표기 金基昶
영문명칭 Kim Ki-chang
생몰년 1913년 2월 18일-2001년 1월 23일
출생지 서울
운보
국적 대한민국
분야 동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동양화가이다.

내용

해방 이전 활동

1913년 서울 운니동에서 8남매의 장남으로 출생했다. 7세에 장티푸스 후유증으로 청각을 상실하였다. 1930년 17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이당 김은호의 화숙에 들어가 동양화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불과 1년여 만인 1931년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널뛰기를 소재로 한 「판상도무(板上跳舞)」로 입선했다. 이때 어머니가 운포(雲圃)란 아호를 지어 주었다. 이후 연이은 입선과 특선을 거쳐 두 차례 조선총독상을 수상하였다.

일제강점기 활동

일제강점기 김기창의 작품은 스승 김은호 화풍의 영향을 받아 일본화풍이 가미된 사실적 채색인물화를 주로 그렸다. 선전 추천작가가 된 데 이어 친일 미술전인 반도총후미술전(半島銃後美術展) 일본화부 추천작가로 활동하였다. 해방과 더불어 호를 '포(圃)' 자에서 사각의 굴레 같은 '口'를 벗겨 운보(雲甫)로 바꾸었으며, 1946년에는 일본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돌아온 박래현과 결혼하였다.

해방 이후 활동

해방 이후에는 일제의 잔재를 벗어나 새로운 시대정신을 담은 동양화의 방향을 모색하며 여러 편의 글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채색과 사실 위주의 화풍에도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수묵담채와 서구의 조형원리를 원용한 실험적인 작품을 시도하였다. 박래현과 함께 입체주의(큐비즘)의 대상해석 방식을 시도한 작품들과 1960년대 완전히 추상적인 경향을 보이는 작품들, 그리고 1967년 미국과 멕시코 등을 돌아본 후 강렬하고 격정적인 필치와 색채로 제작한 표현주의 경향의 작품들이 그것이다.

부부전 개최

부인 박래현과 1947년 첫 번째로 부부전을 열었다. 이후 십여 차례 공동전시회를 이어가는 동안 두 사람은 ‘동지’로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았다. 위의 실험적인 작품들은 그 동지적 결실이라 할 것이다. 한국전쟁 발발로 군산에 피난했던 시절에는 우리나라 사람의 모습에 한복을 입은 《예수의 일생》 연작 30점을 그려 새로운 종교화의 형식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부인 사별 이후 활동

1976년 부인 박래현과 사별한 이후에는 독창성 있는 자신의 양식을 새로이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인간과 회화의 순수함을 바탕에 두고 소박하고 자유로운 필치를 담은, 이른바 '바보산수', '바보화조'가 그것이다. 이는 1980년대 들어 전통기법의 산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해학적 분위를 담은 ‘청록산수’와 민화풍의 화조화(花鳥畵)로 이어졌다. 그러나 청록산수는 다작과 반복적인 표현으로 매너리즘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1981년 방문한 파리 근교 지베르니의 '모네의 집'에서 인상을 받은 그는 충북 청원에 '운보의 집'을 짓고 그곳에서 창작과 함께 만년을 보냈다.
김기창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비판적이었던 작가들과 백양회를 결성해 활동하였다. 김은호 문하생 모임인 후소회 회장을 맡기도 하였으며 홍익대학교수도여자사범대학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또한 만 원 권 지폐의 세종대왕상, 김정호 표준영정, 을지문덕 표준영정 등의 영정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그는 청각장애우를 비롯한 장애우를 위한 활동에도 활발하게 참여했다. 1979년 '한국농아복지회'를 창설하여 초대회장을 맡았고, 1984년에는 서울 역삼동에 청각장애인 복지센터인 '청음회관'을 설립했다.

친일활동 논란

한편 그의 친일활동이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그는 1942년에는 일제의 정책과 전시체제를 지원하는 '반도총후미술전', '조선남화연맹전', '애국백인일수전람회' 등에 참여하였다. 또한 조선 청년의 강제 징집을 고무하는 시화연재물인 「님의 부르심을 받고」의 삽화를 그리는 등의 친일행위로 『친일인명사전』(2009)에 포함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에 그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학력

경력

전시

  • 1957 현대한국화 초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60 현대한국화가 중국전, 대만, 대남, 홍콩
  • 1963 상파울로비엔날레. 한·일·태 3개국 3인전, 스위스
  • 1968 세계문화자유초대전
  • 1971 프랑스 한국현대회화제
  • 1973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서도 50년 기념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화 100년전, 호암갤러리
  • 1988 국제현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1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3 팔순기념 회고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2002 바보 천재 운보 그림전,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조선미술전람회(선전) 입선 및 특선 각 연4회
  •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선전) 창덕궁상, 제17회 조선미술전람회(선전) 총독상
  • 1963 5월문예상
  • 1971 3·1문화상
  • 1977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81 국민훈장 모란장
  • 1982 중앙문화대상 대상
  • 1983 대한민국예술원상
  • 1986 5·16민족상(사회부문), 서울시문화상(미술부문)
  • 1991 인촌상
  • 1996 의제 허백련 미술상
  • 2001 금관문화훈장 추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기창-명량대첩 김기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세종대왕 표준영정 김기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정호 표준영정 김기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을지문덕 표준영정 김기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무열왕 표준영정 김기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조헌 표준영정 김기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문무왕 표준영정 김기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은호 김기창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후소회 김기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백양회 김기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백양회 한국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백양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창 박래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박래현 입체주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창 입체주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국미술협회 김기창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대한민국예술원 김기창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김기창 조선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총후미술전 김기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국농아복지회 김기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청음회관 김기창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김기창 운보문화재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창 운보미술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창 동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창 일본화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창 추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307호-늦가을의 화단(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PYO GALLERY] 운보 김기창 판화전(2014.03.11~04.08)(게시일: 2014년 3월 27일)

  • [JTBC Entertainment] 모두가 가품이라 예측한 운보 김기창 선생님의 그림!! 그 감정가는?- 신의 한 수 37회 (게시일: 2013년 5월 29일)

주석

  1. 최은주,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2016년 6월 3일.
  2. "군마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한국화 판타지-한국화의 감각적 재해석", 『네오룩』online.
  4. "가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5. 거부기, "마지막 회 - 근대에서 현대로"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김선주학교』online, 작성일: 2011년 01월 3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김기창, 『침묵의 심연에서-나의 화필 60년』, 법조각, 1988.
    • 이일 외, 『운보 김기창』, 에이피 인터내셔날, 1989.
    • 김기창, 『나의 사랑과 예술』, 정우사, 1993.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4: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 현대문화사, 2009.
    •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1, 2009.

유용한 정보

  1. 김희만, "김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기창", 회원소개, 『대한민국예술원』online.
  3. 운보문화재단online.

더 읽을거리

  1. 최병식, 『운보 김기창』,동문선,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