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 =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영문 = |이칭 = |지정번호...)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유물유적정보
|사진 =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
|사진=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130000,36&imgfname=1612406.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0%95%EC%A7%84%20%EB%AC%B4%EC%9C%84%EC%82%AC%20%EA%B7%B9%EB%9D%BD%EB%B3%B4%EC%A0%84%20%EC%9D%98%20%EA%B2%A8%EC%9A%B8&photoid=161240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한자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영문 =  
+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이칭 =  
+
|영문명칭=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지정번호 = 국보 제13호
+
|이칭=
|지정일 = 1962.12.20
+
|유형=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
|시대=
|위도 = 34.738758
+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경도 = 126.686809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웹사이트 =  
+
|소장처= [[강진 무위사]]
 +
|경도= 126.686809
 +
|위도= 34.738758
 +
|수량=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
  
=소개=
+
=='''정의'''==
[[고려 선각대사(先覺大師) 형미(逈微)]]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다.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강진 무위사|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려 선각대사(先覺大師) 형미(逈微)|선각대사]]는 신라 말의 명승으로, 당나라에 건너가서 14년만에 돌아와 [[강진 무위사|무위사]]에 8년간 머물렀다. [[고려 태조]] 원년(918)에 54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가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이름을 ‘편광영탑(遍光靈塔)’이라 하였다. <ref>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070000,36&flag=Y, 2016.12.22 확인</ref>
+
=='''내용'''==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건물 대부분은 이 사찰을 네 번째로 중건한 1555년 건립한 것이나, 1956년경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라는 기록을 통해 이 극락전만은 적어도 1476년([[조선 성종|성종]] 7)보다 앞서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비문은 946년(開運 3年)[[최언위(崔彦撝)]]가 왕명을 받아 짓고, [[류훈진(柳勳律)]]이 썻다. 그러나 상고해 보면, [[고려 최언위|최언위]]는 944년 12월에 사망하였으니 비문을 짓기 2년 전에 이미 죽은 셈이다. 비문에 의하면 선각대사는 864년에 출생하고 917년에 54세로 입적하였는데, 다음 해인 918년에 시호와 탑호를 사하고 [[고려 최언위|최언위]]에게 명하여 비문을 짓게 하였으나 비를 세우는 것이, 비문을 짓는 것 보다 28년 후에 해당하므로 아마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초기여서 미처 비를 세울 겨를이 없었던 것으로 생각 된다.<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 건물은 곡선 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과 달리, 직선 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도 짜임새가 균형이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비문=
+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했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4 한국 금석문 종합영상정보 서비스]를 참조해 주세요.
 
  
=비문 내용에서 확인되는 지식노드=
+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가 국보 제13호로 지정했으나 1962년 우리 정부가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했다.<ref>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95&cid=43723&categoryId=43732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고려 최언위|최언위(崔彦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지은 인물.
 
*[[유훈율(柳勳律)]]: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의 글씨를 쓴 인물.
 
*[[취두(鷲頭)]]: 인도에 있는 영취산(靈鷲山). 부처님께서 이 산중에서 많은 설법을 하였는데, 여기서는 인도를 지칭함.<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계족산(雞足山)]]: [[가섭존자]]의 열반처.<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축건(竺乾)]]: 인도의 다른 이름. 천축(天竺)의 천과 서건(西乾)의 건을 합자한 것.<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최락권(崔樂權)]]: 선각대사 형미의 아버지.<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禮濯)]]: 선각대사 형미의 스승.<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 체징이 수행하던 사찰.<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도의국사(道義國師)]]: 생몰년 미상. 신라시대의 승려. 우리 나라에 최초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전하였다. 성은 왕씨(王氏). 법호는 명적(明寂), 시호는 원적(元寂)이며 도의는 법명이다. 북한군(北漢郡) 출생.<ref>도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807, 2016년 12월 22일 확인</ref>
 
*[[양양 진전사지(襄陽 陳田寺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설악산에 있었던 절.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효시가 되었던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초조(初祖) [[도의국사(道義國師)]]가 창건한 사찰이다.<ref>진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862, 2016년 12월 22일 확인</ref>
 
*[[김문윤(金文允)]]: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각자한 인물.
 
*[[최한규(崔奐規)]]: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을 각자한 인물.
 
  
===관련 지식정보 노드===
+
=='''지식 관계망'''==
{| class="wikitable"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 노드 || 관계 || 노드 || 설명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를 주인공으로 하다 || [[선각대사 형미]]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선각대사 형미의 행적을 담고 있다.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17/monk_hyeong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에 있다 || [[강진 무위사]]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강진 무위사에 있다.
+
</html>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고려 최언위|최언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언위가 작성하였다.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유훈율(柳勳律)|유훈율]]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유훈율이 글씨를 썼다.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 [[김문윤(金文允)|김문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김문윤이 각자했다.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의해 작성되다|| [[최한규(崔奐規)|최한규]]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한규가 각자했다.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A는 B에 있다 ||
 
|-
 
|-
 +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A는 B에 있다 ||
 
|}
 
|}
  
=각주=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파일:GangJinMuwisaGueknakbojeon.jpg|강진 무위사 극락보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0130000,36&imgfname=1612406.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EA%B0%95%EC%A7%84%20%EB%AC%B4%EC%9C%84%EC%82%AC%20%EA%B7%B9%EB%9D%BD%EB%B3%B4%EC%A0%84%20%EC%9D%98%20%EA%B2%A8%EC%9A%B8&photoid=161240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 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95&cid=43723&categoryId=43732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문화유산]]

2024년 3월 29일 (금) 10:52 기준 최신판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영문명칭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처 강진 무위사
관련유물유적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1]

내용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건물 대부분은 이 사찰을 네 번째로 중건한 1555년 건립한 것이나, 1956년경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라는 기록을 통해 이 극락전만은 적어도 1476년(성종 7)보다 앞서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2]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3] 이 건물은 곡선 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과 달리, 직선 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도 짜임새가 균형이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4]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했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5]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가 국보 제13호로 지정했으나 1962년 우리 정부가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했다.[6]

지식 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A는 B에 있다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동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두산백과』online.
  3.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김동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겨울",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