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참고문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0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2
+
{{인물정보
|이미지 = 민족기록화_인물_의순_선사의영정.jpg
+
|사진= 민족기록화_인물_의순_선사의영정.jpg
|사진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사진출처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 = 의순
+
|대표명칭= 의순
|한자명 = 意恂
+
|한자표기= 意恂
|이칭 =  자 중부(仲孚), 호 초의(草衣)
+
|영문명칭=
|본관 = 인동(仁同)
+
|본관= 인동(仁同)
|생몰년 = 1786년~1866년
+
|이칭=  초의선사 
|출생지 = 경상북도 안동
+
|시호= 
|사망지 = 경상남도 진주시(진주성)
+
|호= 초의(草衣), 당호 일지암(一枝庵)  
|시대 = 조선  
+
|= 중부(仲孚)
|국적 =  
+
|생년= 1786년
|성격 = 승려
+
|몰년= 1866년
|대표저서 = 초의집(草衣集),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
|출생지= 전라남도 무안
|대표직함 = 대흥사 제13대 대종사
+
|사망지=
|상훈 =  
+
|시대= 조선  
|관련사업기관 =  
+
|국적=
|유형 = 인물
+
|대표저서= 초의집(草衣集),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필드수= 12
+
|대표직함= [[해남 대흥사]] 제13대 대종사
 +
|배우자=
 +
|부=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 승려
 +
|유형=
 
}}
 
}}
==정의==
+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로, 자는 사순(士純), 호는 학봉(鶴峰), 본관은 의성, 안동 출신이다.
+
조선 후기의 승려이다.
  
==내용==
+
=='''내용'''==
1556년(명종 11) 동생 복일(復一)과 함께 도산(陶山)으로 [[이황]]을 찾아가 『[[서경]]』·『[[역학계몽|역학계몽(易學啓蒙]])』·『[[심경]]』·『[[대학의의|대학의의(大學疑義)]]』 등을 익혔다. 1564년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서 수학하였고 그 후 다시 도산에 돌아와 [[이황]]에게서 수학하였다. 156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가 되고, 이듬해 정자가 되었으며, 이어서 검열·대교 등을 거쳤다. 1572년 봉교(奉敎)가 되어 [[노산묘|노산묘(魯山墓)]]를 노릉(魯陵: [[단종]]의 능)으로 봉축하고, [[사육신]]의 관작을 회복시켜 그들의 후손을 채용할 것을 진언했으며, 임금의 덕과 당시의 잘못된 폐단에 대하여 논했다. 이듬해 전적과 형조·예조의 좌랑을 거쳐 정언(正言)이 되었고, 이어 홍문관수찬으로 지제교·경연검토관·춘추관기사관을 겸하였다. 1574년 부수찬을 거친 후 정언의 신분으로 변장(邊將)에게 초피덧저고리[貂裘]를 받은 우의정 [[노수신|노수신(盧守愼)]]을 탄핵하였다. 이듬해 이조·병조의 좌랑을 역임하고, 사가독서(賜暇讀書: 휴가를 얻어 독서에 전념)하였다. 1577년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종계변무|종계변무(宗系辨誣)]]를 위해 노력했으며, 돌아와 이듬해 홍문관교리가 되고, 이어서 장령·검상·사인 등을 역임하였다. 1580년 함경도순무어사(咸鏡道巡撫御史)로 함흥·삼수·길주·종성 등을 살피고 돌아와, 변장의 직무에 충실한 혜산첨사 [[김수|김수(金燧)]]를 당상관에 승품하고, 영건만호(永建萬戶) [[우응장|우응장(禹應長)]][[정현룡|정현룡(鄭見龍)·[[김광옥|김광옥(金光玉)]] 등을 선전관(宣傳官)에 기용할 것을 건의하였다. 1583년 사간이 되고, 이어서 황해도 순무어사로 다녀와 군기관리(軍器管理)소홀히 하고 창곡(倉穀)을 부실하게 한 황주목사 [[윤인함|윤인함(尹仁涵)]]의 파직을 건의하였다. 이듬해 나주목사로 부임하여 민원 처리에 노력하고, 오랫동안 끌어온 임씨(林氏)·나씨(羅氏) 사이의 송사(訟事)해결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또한 이곳 금성산(錦城山) 기슭에 대곡서원(大谷書院)을 세워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 등을 제향하고, 선비들을 학문에 전념하게 하였다. 1586년 [[나주사직단|나주사직단(社稷壇)]]의 화재에 책임을 지고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와 『[[주자서절요|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자성록|자성록(自省錄)]]』·『[[퇴계집]]』 등을 편집·간행하였다. 1588년 종부시첨정에 이어 봉상시정·경기추쇄경차관(京畿推刷敬差官)·예빈시정·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590년 통신부사(通信副使)로 일본에 파견 되었다. 이듬해 돌아와 일본의 국정을 보고할 때 “왜가 반드시 침입할 것”이라는 정사(正使) [[황윤길|황윤길(黃允吉)]]과는 달리 민심이 흉흉할 것을 우려해 왜가 군사를 일으킬 기색은 보이지 않는다고 상반된 견해를 밝혔다. 그 해 부호군에 이어 대사성이 되어 승문원부제조를 겸했고, 홍문관부제학을 역임하였다. 1592년 형조참의를 거쳐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로 재직하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전의 보고에 대한 책임으로 파직되었다. 서울로 소환되던 중, 허물을 씻고 공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을 간청하는 [[유성룡|유성룡(柳成龍)]] 등의 변호로 직산(稷山)에서 경상우도 초유사로 임명되어 다시 경상도로 향하였다. 의병장 곽재우(郭再祐)를 도와 의병활동을 고무하였고, 함양·산음(山陰)·단성·삼가(三嘉)·거창·합천 등지를 돌며 의병을 규합하였으며, 각 고을에 [[소모관|소모관(召募官)]]을 보내 의병을 모았다. 또한 관군과 의병 사이를 조화시켜 전투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였다. 그 해 8월 경상좌도 관찰사에 임명되었다가 곧 우도관찰사로 다시 돌아와 의병규합과 군량미확보에 전념하였다. 또한 진주목사 [[김시민|김시민(金時敏)]]으로 하여금 의병장들과 협력하여 왜군의 침입으로부터 [[진주성 전투|진주성]]을 보전하게 하였다. 1593년 경상우도 순찰사를 겸해 도내 각 고을에 왜군에 대한 항전을 독려하다 병으로 죽었다.
+
===가계와 탄생===
정치적으로 김성일은 동인(東人)에 가담하였고, 1590년 [[정여립|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사한 [[최영경|최영경(崔永慶)]]의 신원(伸寃)을 위하여 서인(西人)의 영수 [[정철|정철(鄭澈)]]을 규탄하였으며, 그 후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갈릴 때 [[유성룡]]·[[김우옹|김우옹(金宇顒)]] 등과 입장을 같이하여 남인을 이루었다. <ref>이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485 김성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1일.</ref>
+
1786년 전라남도 무안에서 출생하였으며 속성은 장씨이다. [[의순]]의 가계(家係)에 대해서는 상세히 알 수가 없지만, 어머니가 큰 별이 품 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잉태하였다고 한다.<ref>"[http://www.bubryun.com/board1/view.asp?idx=71&page=5&search=&KeyStr=&tbName=sinhaengBase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법련사』<sup>online</sup></online></html>.</ref><br/>
 +
===출가수행===
 +
5세(1790년)에 강변에서 놀다가 급류에 떨어져 죽을 고비에 다다랐을 때 부근을 지나는 승려가 건져주어 살게 되었다. 그 승려가 출가할 것을 권하여 16세에 [[나주 운흥사|나주 운흥사(雲興寺)]]에서 [[민성|민성(敏聖)]]의 제자로 승려가 되었다.<br/>
 +
열아홉(1804년)이 되는 해에 영암 [[월출산]]에 혼자 올라가 산세가 기이하고 아름다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취해 있던중에 바다에서 떠오르는 달을 보고 깨친 바 있어 가슴에 맺힌 것이 시원하게 풀리니 가는 곳마다 꺼릴것이 없었다고 하였다. 그후 [[해남 대흥사|해남 대흥사(大興寺)]]에서 [[완호|완호(玩虎)]]를 만나 [[구족계]]를 받았으며 '초의(艸衣)'라는 법호 역시 이때 받은 것이다.<ref>"[http://www.bubryun.com/board1/view.asp?idx=71&page=5&search=&KeyStr=&tbName=sinhaengBase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법련사』<sup>online</sup></online></html>.</ref><br/>
 +
22세 때부터 전국의 선지식(善知識)들을 찾아가 삼장(三藏)을 배우고 유학·도교 등 여러 교학에 통달하였으며, 범서(梵書)에도 능통하였다. 또한 탱화(幀畵)를 잘 그려서 당나라 [[오도자|오도자(吳道子)]]의 경지에 이르렀다. <ref>"[http://www.bubryun.com/board1/view.asp?idx=71&page=5&search=&KeyStr=&tbName=sinhaengBase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법련사』<sup>online</sup></online></html>.</ref><br/>
  
==시각자료==
+
===활동===
 +
그는 [[정약용|정약용(丁若鏞)]], [[홍현주|홍현주(洪顯周)]], [[김정희|김정희(金正喜)]], [[신위|신위(申緯)]]등과 교유하였을 뿐 아니라, 24세(1809년)에 [[강진 백련사]]에 머물면서 [[정약용]]을 스승으로 모시고 유학(儒學), 시문(詩文) 및 제다법을 배웠다고 한다. 그는 스승인 [[정약용]]의 명에따라 [[백운동도|「백운동도」]]와 [[다산도|「다산도」]]를 그렸는데, [[정약용]]은 초의의 그림과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하여 [[백운첩|『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br/>
  
===사진===
+
초의는 수행생활 못지않게 차(茶)에 대한 조예가 깊었는데, 차서(茶書) [[동다송|『동다송(東茶頌)』]]을 저술하여 차를 재배, 법제하는 방법 등 [[다도(茶道)]]의 이론적인 면과 실제적인 면을 크게 정리하고 발전시켰다. 1828년에는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다신전|『다신전(茶神傳)』]]을 저술하였다. [[다신전]]은 찻잎따기, 차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차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br/>
<gallery>
+
 
파일:한글팀_김성일_01_김성일_필적.jpg | [[김성일 필적]]
+
의순은 일생을 통하여 선(禪)과 교(敎)를 겸하여 수도하고 중생을 제도하였다.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해남 대흥사]]의 동쪽 계곡으로 들어가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40여 년 동안 홀로 지관(止觀)을 닦고, [[다선삼매|다선삼매(茶禪三昧)]]에 들기도 하였다.<br/>
</gallery>
 
  
===영상===
+
===입적===
*'''[안동MBC뉴스] [R]'학봉' 초상화.. '400년 한지'에 부활(게시일: 2017. 2. 16.)'''
+
1866년 나이 80세, 법랍 65세에 [[의순]]은 [[일지암]]에서 서쪽을 향하여 가부좌를 하고 앉아 홀연히 입적(入寂)하였다. [[의순]]이 입적한 지 오래되도록 방안에 기이한 향기가 가득하며 안색이 평상시와 같았다고 한다.
  
 +
=='''지식 관계망'''==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8A69gAKJdv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31/E031.htm 김정호 그래프]'''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체징||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정약용]] || [[의순]]||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혜장]] || [[의순]]||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의순]] || [[김정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의순]] || [[홍현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체징||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의순]] || [[신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염거|염거(廉居)]]||체징||A는 B의 스승이다 ||
+
| [[의순]]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체징||[[형미|형미(逈微)]]||A는 B의 스승이다 ||
+
| [[의순]] || [[해남 대흥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체징||[[장흥 보림사]]||A는 B를 창건하였다 || 861년
+
| [[의순]] || [[강진 백련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장흥 보림사]]||[[가지산문]]||A는 B에 포함된다 ||
+
|   [[백운동도]] ||[[의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김영|김영(金穎)]]||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883년
+
| [[다산도]] ||[[의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김원(신라)|김원(金薳)]], [[김언경|김언경(金彦卿)]]||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백운첩]] || [[백운동도]]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현창|현창(賢暢)]]||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백운첩]] || [[다산도]]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다신전]] || [[의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538||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다
+
| [[동다송]] ||[[의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1568||증광문과 병과로 급제했다
+
| [[의순]] || [[다선삼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1592||진중성 전투에서 활약하다 사망하였다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가상현실===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2/S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35.189787||128.077976||{{PAGENAME}}은 경상남도 진주성에서 싸우다가 죽었다
+
</html><br/>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2/S002.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의순_선사의영정.jpg|의순의 영정<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
===영상===
 +
*'''[MBC]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게시일: 2016년 5월)'''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player.vimeo.com/video/168606390?byline=0&portrait=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참고문헌==
+
=='''주석'''==
*사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학봉집(鶴峰集)』
 
*#『징비록(懲毖錄)』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
#웹 자원
 +
#* "[http://www.bubryun.com/board1/view.asp?idx=71&page=5&search=&KeyStr=&tbName=sinhaengBase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법련사』<sup>online</sup></online></html>.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576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유용한 정보===
 +
# 정동효, 윤백현, 이영희, 『차생활문화대전』, 홍익재,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4273&cid=42752&categoryId=42754 다도]", 차생활문화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조선]][[분류:승려]]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2017년 12월 22일 (금) 14:58 기준 최신판

의순(意恂)
김위석,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의순
한자표기 意恂
생몰년 1786년-1866년
본관 인동(仁同)
이칭 초의선사
초의(草衣), 당호 일지암(一枝庵)
중부(仲孚)
출생지 전라남도 무안
시대 조선
대표저서 초의집(草衣集),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대표직함 해남 대흥사 제13대 대종사
성격 승려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이다.

내용

가계와 탄생

1786년 전라남도 무안에서 출생하였으며 속성은 장씨이다. 의순의 가계(家係)에 대해서는 상세히 알 수가 없지만, 어머니가 큰 별이 품 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잉태하였다고 한다.[1]

출가수행

5세(1790년)에 강변에서 놀다가 급류에 떨어져 죽을 고비에 다다랐을 때 부근을 지나는 승려가 건져주어 살게 되었다. 그 승려가 출가할 것을 권하여 16세에 나주 운흥사(雲興寺)에서 민성(敏聖)의 제자로 승려가 되었다.
열아홉(1804년)이 되는 해에 영암 월출산에 혼자 올라가 산세가 기이하고 아름다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취해 있던중에 바다에서 떠오르는 달을 보고 깨친 바 있어 가슴에 맺힌 것이 시원하게 풀리니 가는 곳마다 꺼릴것이 없었다고 하였다. 그후 해남 대흥사(大興寺)에서 완호(玩虎)를 만나 구족계를 받았으며 '초의(艸衣)'라는 법호 역시 이때 받은 것이다.[2]
22세 때부터 전국의 선지식(善知識)들을 찾아가 삼장(三藏)을 배우고 유학·도교 등 여러 교학에 통달하였으며, 범서(梵書)에도 능통하였다. 또한 탱화(幀畵)를 잘 그려서 당나라 오도자(吳道子)의 경지에 이르렀다. [3]

활동

그는 정약용(丁若鏞), 홍현주(洪顯周), 김정희(金正喜), 신위(申緯)등과 교유하였을 뿐 아니라, 24세(1809년)에 강진 백련사에 머물면서 정약용을 스승으로 모시고 유학(儒學), 시문(詩文) 및 제다법을 배웠다고 한다. 그는 스승인 정약용의 명에따라 「백운동도」「다산도」를 그렸는데, 정약용은 초의의 그림과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하여 『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

초의는 수행생활 못지않게 차(茶)에 대한 조예가 깊었는데, 차서(茶書) 『동다송(東茶頌)』을 저술하여 차를 재배, 법제하는 방법 등 다도(茶道)의 이론적인 면과 실제적인 면을 크게 정리하고 발전시켰다. 1828년에는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다신전(茶神傳)』을 저술하였다. 다신전은 찻잎따기, 차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차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

의순은 일생을 통하여 선(禪)과 교(敎)를 겸하여 수도하고 중생을 제도하였다.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해남 대흥사의 동쪽 계곡으로 들어가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40여 년 동안 홀로 지관(止觀)을 닦고, 다선삼매(茶禪三昧)에 들기도 하였다.

입적

1866년 나이 80세, 법랍 65세에 의순일지암에서 서쪽을 향하여 가부좌를 하고 앉아 홀연히 입적(入寂)하였다. 의순이 입적한 지 오래되도록 방안에 기이한 향기가 가득하며 안색이 평상시와 같았다고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약용 의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혜장 의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의순 김정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의순 홍현주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의순 신위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의순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의순 해남 대흥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A edm:isRelatedTo B
의순 강진 백련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백운동도 의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다산도 의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백운첩 백운동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백운첩 다산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다신전 의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동다송 의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의순 다선삼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MBC]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게시일: 2016년 5월)

주석

  1.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법련사』online.
  2.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법련사』online.
  3.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법련사』online.
  4. 김위석,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2. 웹 자원
    • "초의선사 생애와 사상", 기초교리, 『법련사』online.
    • 김위석,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의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유용한 정보

  1. 정동효, 윤백현, 이영희, 『차생활문화대전』, 홍익재, 2012. 온라인 참조: "다도", 차생활문화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