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함께 보기)
(지식 관계망)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김태
+
{{작가정보
|한자명 = 金泰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영문명 = Kim Tae
+
|사진출처= 
|출생 - 사망 = 1931.03.13 -
+
|대표명칭 = 김태
|출생지 = 강원 함남
+
|한자표기 = 金泰
 +
|영문명칭 = Kim Tae
 +
|본명 =
 +
|호 =
 +
|생년 =  1931년 3월 13일
 +
|몰년 = 
 +
|출생지 = 함경남도 홍원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필드수 =
|작가 사진 출처 =
 
|image =
 
 
}}
 
}}
=='''개요'''==
+
=='''정의'''==
최대섭은 1927년 전북 남원에서 출생하여 1955년 홍익대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영생고등학교 및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 군산대학교 미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그는 1950년 한국미술가협회 회원전 참여를 시작으로 일본, 대만, 인도, 브라질 등 국제전에 참여하였으며, 1974년 한국미술협회원 전국회의장상, 75년 제7회 까뉴국제회화제 국가상을 수상하였다.
+
=='''내용'''==
 +
1931년 함남 홍원에서 출생하여 [[평양미술대학]] 재학 중 1.4후퇴 때 월남하였다. 전쟁 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다시 입학하여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통해 화단에 등단하였다.  
  
최대섭의 독자적인 화풍이 정착된 시기는 그가 붓 대신 롤러를 사용하기 시작한 1970년 중반 무렵이며, 이후 오랫동안 그의 회화양식에 영향을 미쳤다. 캔버스와 수채물감을 포기하고 먹을 통한 전통 수묵화의 기법을 사용하여 화선지나 광목 위에 롤러로 면밀하고 규칙적인 반복을 되풀이하면서 반복이 가져다주는 미묘한 변화를 추구하였다.
+
===작품 세계===
 +
[[앵포르멜|앵포르멜(Informel)]]을 필두로 다양한 사조의 전위적인 [[추상미술|추상화]]가 유행하던 무렵, 그는 그러한 흐름과는 비껴나 있었다. 우리의 감수성에 맞는 양식을 스스로 추구하고 실험하여 찾겠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래서 택한 출발점은 모든 미술의 시작인 사실과 구상이었다.<br/>
 +
그는 대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밖으로 보이는 외관 내부에 묻힌 본질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태도를 보인다. 시시각각 변하는 눈에 보이는 현상이 아니라 현상의 원인이자 변화하지 않는 실재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경향은 흔히 [[후기인상주의]] 화가인 [[폴 세잔]]의 태도에 비유되기도 한다.<br/>
 +
그의 작품은 강한 붓질로 화면에 묵직한 재질감을 주어, 안정된 수평 위주의 구조와 율동감을 드러낸다. 한편으로는 균형적인 색채의 구사를 통해 조형적으로 조화로운 화면을 시도한다. 이러한 결합은 거칠고 역동적인 힘과 색채가 어우러지는 회화적인 조형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그의 작품은 구축적이고 형식적인 경향을 벗어나 보다 자유스럽게 대상을 파악하는 유연한 화풍을 보여주었다.
  
 +
===학력===
 +
*[[평양 미술대학]] 수학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동 대학원 회화과 졸업
  
김태는 1931 함남에서 출생하여 195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
===경력===
3, 4, 5, 7회 국전에 입선하였고, 10여회의 개인전과 예술의 전당 개관기념전 초대출품,
+
* [[한국미술협회]], 한국신미술협회, 한국가톨릭미술협회 회원
한국수채화작가회전 회원출품등을 하였다.
+
* [[서울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
===전시===
 +
*1954-58  제3,4,5,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 경복궁미술관
 +
*1961-71  제1-10회 앙가쥬망동인전, 국립도서관전시실
 +
*1967년  민족기록화전
 +
*1973년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우에노모리화랑
 +
*1978-81  한국카톨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 전, 미술회관
 +
*1981  서양화가의 눈으로 본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96  한국수채화작가회전, 미술회관
 +
*1985  현대미술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
*1996  대한민국원로작가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0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김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황룡사의 조영"(김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9/C019.htm "동녕부 오라산성의 공함"(김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육진개척"(김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8/C028.htm "홍의장군 곽태우"(김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5/C075.htm "신진자동차"(김태)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김태-황룡사의 조영]]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육진개척]]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신진자동차]]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 || [[평양미술대학]] ||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태]]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한국미술협회]]|| [[김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앙가주망]]|| [[김태]]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김태]]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태]] || [[구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태]]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평양미술학교를 다녔던 김태는 학력이 인정되지 않아 입학시험을 치르고 신입생이 되어야 했다.
+
===갤러리===
1951년 9월에 치렀던 학과시험은 국어, 영어, 수학이었으며 실기시험은 데생과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수채화였다. 이때는 부산, 대구 등지에서도 입학시험이 동시에 있었다.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태_태종대.jpg|태종대, 1975, 캔버스에 유채, 45.5x52.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384 태종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회화과는 3학년으로 올라갈 때 전공을 동양화, 서양화로 나누었으므로 김
+
파일:김태-탁상정물.jpg|卓上靜物(탁상정물)D, 1982, 캔버스에 유채, 개인 소장<ref>"[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424519&coll_id=8628&type=visual 탁상정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ref>
태의 경우 서양화 담당인 송병돈에게 지도를 많이 받았는데 그는 서양화 학과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태_삼월의 한계령.jpg|삼월의 한계령, 1984, 캔버스에 유채, 9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093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주임이었다. 당시 수업광경을 보면 회화과는 이젤에 캔버스를 올려놓고 유채화
+
</gallery>
를 그리고 있다.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84쪽.
+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김태-신진자동차]]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 [[김태-육진개척]]  
오전에는 실기 등 공부를 하고 오후에는 군사훈련을 하는 전시 학교에서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물감은 거의 없었다.(그림17) 우리나라에서 생산되
+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 [[김태-황룡사의 조영]]  
던 수채화 도구로 그리고 유화물감은 비쌌지만 일본에서 들어온 국제시장에 들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어온 유화그림 도구 등이 약간 있을 정도였다. 학생들 거개는 물감을 만들어 썼
 
다. 예를 들어 징크화이트는 약국에서 파는 아연화분말을 개서 화이트로 사용
 
하는 식이었다. 도안과 학생들은 포스터칼라물감으로 그림을 그렸다.72 김태는
 
미군부대 주변에 있었으므로 일본여행 다녀온 미군에게 부탁해서 사용하기도
 
[그림17]
 
하였고 시중에는 미군 PX용품으로 주문한 물감들이 유통되고 있었다. 김태는
 
UNESCO에서 지원한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 교육용으로 유화물감, 박스, 캔버
 
스를 나누어 주었는데 물감은 영국의 윈저앤뉴턴(Winsor & Newton)사의 것으
 
로 모두 미국에서 온 것이었다고 전한다.
 
1952년 12월 15일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제4회 미술전이 개최되었다. 서
 
대신동 부산대학 강당에서 개최된 전람회는 전쟁 중에도 학생들의 의기를 모아
 
작품을 생산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였다.73 김태는 북에서 남으로 피난올 때
 
흥남부두의 풍경이 너무도 생생하여 그것을 그렸고 또 송도 가교사에서 내려다
 
본 아름다운 풍경을 그린 두 점을 출품하였다.(그림18, 19)
 
한편 1953년 부산에서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미술인 전체를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88-289쪽.
 
 
 
=='''생애'''==
 
1931. 3. 13 함남에서 출생
 
 
 
 
 
=='''학력'''==
 
*195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57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57년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서양화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경력'''==
 
현재 한국미술협회 회원
 
한국신미술협회 회원
 
한국수채화작가회전 회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1996년 8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한국미술협회 회원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서양화
 
한국미술협회 회원한국신미술회 회원한국카톨릭미술협회 회원
 
 
 
 
 
 
 
 
 
=='''작품세계'''==
 
김태는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완전히 자기의 구상적인 본질을 지키면서
 
자기 예술에 정진하고 있는 사람 중에 한 사람이다.  
 
말하자면 그가 바라다보는 자연이나 작품의 대상은 그들 자연이나 대상이 이루고 있는
 
분위기가 아니라 그 분위기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가장 본질적인 구조 그 자체인 것이다.  
 
 
 
화가 김태는 구상적인 표현을 빌리면서 가장 현대적인 조형을 시도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의 작품의 경향은 붓의 움직임을 수평으로 자리잡고
 
그곳에다 힘찬 텃치로서 화면에 묵직한 마띠에르를 형성하고 있다.  
 
 
 
마치 바위의 피부나 같은 거친 힘의 상태가 그곳에는 있다.  
 
그와 같은 조야(粗野)한 미감은 조화잡힌 색감에 의해서 세련된 화면으로 된다.  
 
그리하여 힘의 상태와 아름다움의 경지가 하나의 화면 위에서 실현되기도 한다.
 
 
 
 
 
==민족기록화와 작가==
 
 
 
 
 
=='''전시'''==
 
*1954년-1958년, 제3,4,5,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입선, 경복궁미술관
 
*1961년-1971년, 제1-10회 앙가쥬망동인전, 국립도서관전시실
 
*1963년, 한국미술협회창립기념전
 
*1967년, 민족기록화전
 
*1970년, 서울미술대학 미술관개관기념전, 서울미술대학교 가설미술관
 
*1973년, 한국현역작가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1974년,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우에노모리화랑
 
*1974년 12월 12일-12월 18일, 개인전, 양지화랑
 
*1975년, 김형구&김태 2인전, 신세계화랑
 
*1976년, 서양화100인전 문화화랑
 
*1976년, 개관기념전, 명동화랑
 
*1977년, 한국현대미술대전;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1977년 11월 23일-30일, 개인전, 문화화랑
 
*1977년, 개인전, 대구 이목화랑
 
*1977년, 카톨릭미술전, 신세계미술관
 
*1978년, 강원&오승우&김태 3인전, 광주 현대화랑
 
*1978년, 서양화중견작가, 신세계미술관
 
*1978년-1981년, 한국카톨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1979년,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 , 미술회관
 
*1979년, 개인전, 광주 현대화랑
 
*1979년, 세종미술초대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관
 
*1979년, 한국수채화9인전, 샘터화랑
 
*1979년, 유화가33인담채화전, 신세계미술관
 
*1980년, 개인전, 대구 이목화랑
 
*1980년-1981년, 제1-2회 한국현대미술대전, 미술회관등
 
*1981년, 한국미술 '81 전, 국립현대미술관
 
*1981년, 서양화가의 눈으로 본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1982년 5월 11일-16일, 개인전, 신세계미술관
 
*1982년-1985년, '82-'85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4년-1996년, 한국수채화작가회전, 미술회관
 
*1985년 5월 22일-29일, 개인전, 예화랑
 
*1985년, 현대미술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1986년-1991년, '86-'91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1986년,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1987년-1990년, '87, '90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8년,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1990년, 한국일보기획 "백두산으로 가는길" 전, 롯데미술관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1991년 5월 1일-5월 11일, 개인전, 선화랑
 
*1992년, '92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93년, 전관개관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1994년, '94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1994년,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1994년, 서울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1994년, 서울미술 신춘서양화초대전, 서울갤러리
 
*1995년, 가고싶다.보고싶다.그곳에展-DMZ특별전, 선화랑
 
*1996년, 대한민국원로작가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1996년 9월 18일-10월 4일, 개인전 1952-1972, 서울대학교박물관 현대미술전시실
 
*1997년 4월 16일-4월 30일, 개인전, 모란갤러리
 
*2000년 2월 29일,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주요작품'''==
 
* 민족기록화
 
<gallery>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 [[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75년作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 [[김태-육진개척]] 75년作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76년作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 [[김태-황룡사의 조영-신라 건축가들의 활동]] 77년作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79년作
 
 
</gallery>
 
</gallery>
  
* 민족기록화 외 작품
+
===영상===
  
=='''노드 및 관계'''==
+
=='''주석'''==
{| class="wikitable"
+
<references/>
! 노드 || 관계 || 노드
 
|-
 
|[[김태]]||creates||[[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김태]]의 작품이다.
 
 
 
=='''관련 항목'''==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monthlyart.com/dicwho/%EA%B9%80%ED%83%9C-2/ 월간미술 "김태"]
+
===인용 및 참조===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2384612943174007]
+
#단행본
*[http://qrart.kr/bbs_detail.php?bbs_num=235&num=&tb=board_new]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77 김태, 금성출판사, 1977.
*[http://da-arts.knaa.or.kr/jwork/boardClientView.do?boardID=12e329a5b9a4&boardCD=12d12175e368&boardRef=0&boardDepth=1&searchField=&searchWord=&mode=&returnUrl=&menuId=&category=] - 작품평론
+
#* 『김태교수 작품전』, 서울대학교, 1996.
*[http://www.daarts.or.kr/retrieve/454289]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2384612943174007]
 
*[http://blog.naver.com/hslee1943/120005993134]
 
*[http://blog.naver.com/sikyongsik/120018080452]
 
*[http://blog.naver.com/boggi04/60102178513]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83810/1/2011_7.pdf] ->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61-295쪽.
 
*[http://blog.naver.com/boggi04/60102178513] 은사로 모시는
 
 
 
=='''각주'''==
 
  
=='''함께 보기'''==
+
===유용한 정보===
*정명목 서용선 진행, 「작가와의 대담」, 『김태, 1952–197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1996.
+
# "[http://monthlyart.com/dicwho/%EA%B9%80%ED%83%9C-2/ 김태]",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331 김태]",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고운석,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2384612943174007 〈예술혼 산책〉 구상화가 김태(金泰)]", 『굿뉴스피플』, 2009년 03월 31일.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분류:작가]]
 

2017년 12월 29일 (금) 13:22 기준 최신판


김태(金泰)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김태
한자표기 金泰
영문명칭 Kim Tae
생몰년 1931년 3월 13일-
출생지 함경남도 홍원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31년 함남 홍원에서 출생하여 평양미술대학 재학 중 1.4후퇴 때 월남하였다. 전쟁 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다시 입학하여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통해 화단에 등단하였다.

작품 세계

앵포르멜(Informel)을 필두로 다양한 사조의 전위적인 추상화가 유행하던 무렵, 그는 그러한 흐름과는 비껴나 있었다. 우리의 감수성에 맞는 양식을 스스로 추구하고 실험하여 찾겠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래서 택한 출발점은 모든 미술의 시작인 사실과 구상이었다.
그는 대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밖으로 보이는 외관 내부에 묻힌 본질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태도를 보인다. 시시각각 변하는 눈에 보이는 현상이 아니라 그 현상의 원인이자 변화하지 않는 실재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경향은 흔히 후기인상주의 화가인 폴 세잔의 태도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의 작품은 강한 붓질로 화면에 묵직한 재질감을 주어, 안정된 수평 위주의 구조와 율동감을 드러낸다. 한편으로는 균형적인 색채의 구사를 통해 조형적으로 조화로운 화면을 시도한다. 이러한 결합은 거칠고 역동적인 힘과 색채가 어우러지는 회화적인 조형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그의 작품은 구축적이고 형식적인 경향을 벗어나 보다 자유스럽게 대상을 파악하는 유연한 화풍을 보여주었다.

학력

경력

전시

  • 1954-58 제3,4,5,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 경복궁미술관
  • 1961-71 제1-10회 앙가쥬망동인전, 국립도서관전시실
  • 1967년 민족기록화전
  • 1973년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우에노모리화랑
  • 1978-81 한국카톨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 전, 미술회관
  • 1981 서양화가의 눈으로 본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96 한국수채화작가회전, 미술회관
  • 1985 현대미술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 1996 대한민국원로작가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0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황룡사의 조영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육진개척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신진자동차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 평양미술대학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태 서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한국미술협회 김태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앙가주망 김태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김태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태 구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태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태종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탁상정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3.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77 김태, 금성출판사, 1977.
    • 『김태교수 작품전』, 서울대학교, 1996.

유용한 정보

  1. "김태",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2. "김태",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3. 고운석, "〈예술혼 산책〉 구상화가 김태(金泰)", 『굿뉴스피플』, 2009년 03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