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요작품)
(지식 관계망)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작가정보
 
{{작가정보
|국문명 = 최대섭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한자명 = 崔大燮
+
|사진출처= 
|영문명 = Choi Dae-sub
+
|대표명칭 = 김태
|출생 - 사망 = 1927. 10. 10 ~ 1991. 2. 18
+
|한자표기 = 金泰
|출생지 = 전북 남원
+
|영문명칭 = Kim Tae
 +
|본명 =
 +
|=
 +
|생년 = 1931년 3월 13일
 +
|몰년 =
 +
|출생지 = 함경남도 홍원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image = 최대섭.jpg
+
|필드수 =
 
}}
 
}}
==작가 소개==
+
=='''정의'''==
최대섭은 1927년 전북 남원에서 출생하여 1955년 홍익대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영생고등학교 및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 군산대학교 미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그는 1950년 한국미술가협회 회원전 참여를 시작으로 일본, 대만, 인도, 브라질 등 국제전에 참여하였으며, 1974년 한국미술협회원 전국회의장상, 75년 제7회 까뉴국제회화제 국가상을 수상하였다.
+
=='''내용'''==
 +
1931년 함남 홍원에서 출생하여 [[평양미술대학]] 재학 중 1.4후퇴 때 월남하였다. 전쟁 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다시 입학하여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통해 화단에 등단하였다.  
  
최대섭의 독자적인 화풍이 정착된 시기는 그가 붓 대신 롤러를 사용하기 시작한 1970년 중반 무렵이며, 이후 오랫동안 그의 회화양식에 영향을 미쳤다. 캔버스와 수채물감을 포기하고 먹을 통한 전통 수묵화의 기법을 사용하여 화선지나 광목 위에 롤러로 면밀하고 규칙적인 반복을 되풀이하면서 반복이 가져다주는 미묘한 변화를 추구하였다.
+
===작품 세계===
 +
[[앵포르멜|앵포르멜(Informel)]]을 필두로 다양한 사조의 전위적인 [[추상미술|추상화]]가 유행하던 무렵, 그는 그러한 흐름과는 비껴나 있었다. 우리의 감수성에 맞는 양식을 스스로 추구하고 실험하여 찾겠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래서 택한 출발점은 모든 미술의 시작인 사실과 구상이었다.<br/>
 +
그는 대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밖으로 보이는 외관 내부에 묻힌 본질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태도를 보인다. 시시각각 변하는 눈에 보이는 현상이 아니라 현상의 원인이자 변화하지 않는 실재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경향은 흔히 [[후기인상주의]] 화가인 [[폴 세잔]]의 태도에 비유되기도 한다.<br/>
 +
그의 작품은 강한 붓질로 화면에 묵직한 재질감을 주어, 안정된 수평 위주의 구조와 율동감을 드러낸다. 한편으로는 균형적인 색채의 구사를 통해 조형적으로 조화로운 화면을 시도한다. 이러한 결합은 거칠고 역동적인 힘과 색채가 어우러지는 회화적인 조형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그의 작품은 구축적이고 형식적인 경향을 벗어나 보다 자유스럽게 대상을 파악하는 유연한 화풍을 보여주었다.
  
==학력==
+
===학력===
*1955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
*[[평양 미술대학]] 수학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동 대학원 회화과 졸업
  
==경력==
+
===경력===
*1956-1965년 영생고등학교 및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
+
* [[한국미술협회]], 한국신미술협회, 한국가톨릭미술협회 회원
*1988년 군산대학교 미술과 교수
+
* [[서울대학교]] 교수
*1988년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감사
 
  
==전시==
+
===전시===
*1950-1965년 한국미술가협회 회원전 총 7회, 서울 및 지방
+
*1954-58  제3,4,5,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 경복궁미술관
*1950-1965년 개인전 총 3회
+
*1961-71  제1-10회 앙가쥬망동인전, 국립도서관전시실
*1963년 현대미술동인전, 국립중앙공보관
+
*1967년  민족기록화전
*1964년 현대작가연립전, 국립중앙공보관
+
*1973년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1965년 신작가협회전, 신문회관 화랑
+
*1974년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우에노모리화랑
*1968년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 미술관
+
*1978-81  한국카톨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1970년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 전, 미술회관
*1971-1980년 한국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서양화가의 눈으로 본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1974년 한국현대작가초대전, 동경 화랑
+
*1984-96  한국수채화작가회전, 미술회관
*1974년 제1회 서울비엔날레초대,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1974년 개인전, 명동 화랑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1974년 개관기념 초대전, 미술회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1974-1978년 앙데팡당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4  서울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1975년 75-5그룹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6  대한민국원로작가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1975년 제1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
*2000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1975년 추상작가 구상전, 아름 화랑
 
*1975년 한국현역작가 30인 초대전, 미로 화랑
 
*1975년 한국현역작가 초대전, 양지 화랑
 
*1975년 까뉴 국제회화제, 까뉴
 
*1975년 제2회 대구현대미술제, 계명대학
 
*1975-1980년 에꼴드서울전, 국립현대미술관
 
*1976년 민족기록화 구국위업전, 문공부
 
*1976년 제2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1976년 제12회 아시아 현대미술전, 동경 동경도미술관
 
*1976-1979년 광주, 부산, 대구, 전북 현대미술제
 
*1977년 한중현대작가초대전, 대만 대북역사박물관
 
*1977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문공부
 
*1977년 Asmall Self-Portrait, 동경 아트코아 갤러리
 
*1978년 한국미술 대상전 초대작가, 국립현대미술관
 
*1978년 제14회 아시아현대미술제, 동경 동경도 미술관
 
*1978년 한국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1978년 미술협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1978년 A Small Now Drowing`s, 동경
 
*1978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만민공동회의, 문공부
 
*1978년 제4회 인도 트리엔날레, 뉴델리
 
*1979년 한국현대작가 초대전, 미술회관
 
*1979년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1979년 중앙미술 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1979년 워크온페이퍼전, 진 화랑
 
*1979년 미술협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1979년 개인전, 동경 村松 화랑
 
*1980년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1980년 한국드로잉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0년 제6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1980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화약연구, 문공부
 
*1980년 개인전, 관훈 미술관
 
*1980년 `80 현대작가 36인 초대전, 관훈 미술관
 
*1980년 `80 국제 현대작가 미술제, 고베
 
*1980년 `80 국제 페스티벌, 아시아 현대미술전, 후쿠오카 미술관
 
*1980-1984년 `80 국제 임펙트 아트 페스티벌, 동경 교토 시립미술관
 
*1981년 드로잉 `81전, 국립현대미술관
 
*1982년 한국현대미술 위상전, 동경 교토 시립미술관
 
*1982-1985년 `82-`85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2-1983년 CABO FRIO국제전, 브라질
 
*1983년 에꼴드서울 종이조형전, 대만 대북 스프링 갤러리
 
*1983년 KNICK전, 헝가리
 
*1983-1990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4년 한국현대미술전, 대만 대북 시립미술관
 
*1985년 초대전, 중앙청역 전시관
 
*1985년 전북작가초대전
 
*1985년 KIS85 군산국제현대미술전, 전주
 
*1985년 `85 아시아현대작가초대전, 일본
 
*1986년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1987년 한국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1987년 `87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8년 현대회화 `70년대의 흐름, 워커힐 미술관
 
*1988년 `88 한국현대회화전, 대만
 
*1988년 `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수상==
+
=='''지식 관계망'''==
*1974년 제10회 한국미술협회원 전국회의장상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김태) 지식관계망]
*1975년 제7회 까뉴국제회화제 국가상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주요작품==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gallery>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html>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 [[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황룡사의 조영"(김태) 지식관계망]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 [[김태-육진개척]]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9/C019.htm "동녕부 오라산성의 공함"(김태) 지식관계망]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육진개척"(김태) 지식관계망]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 [[김태-황룡사의 조영-신라 건축가들의 활동]]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8/C028.htm "홍의장군 곽태우"(김태) 지식관계망]
</gallery>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5/C075.htm "신진자동차"(김태)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노드 || 관계 || 노드
+
|-
 +
| [[김태-황룡사의 조영]]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육진개척]]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신진자동차]]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 || [[평양미술대학]] ||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태]]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한국미술협회]]|| [[김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앙가주망]]|| [[김태]]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 [[김태]]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고려대장경]]
+
| [[김태]] || [[구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 [[김태]]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
  
==참고==
+
=='''시각자료'''==
[http://monthlyart.com/dicwho/%EC%B5%9C%EB%8C%80%EC%84%AD-2/ '최대섭' 월간미술]
+
===가상현실===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태_태종대.jpg|태종대, 1975, 캔버스에 유채, 45.5x52.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384 태종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김태-탁상정물.jpg|卓上靜物(탁상정물)D, 1982, 캔버스에 유채, 개인 소장<ref>"[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424519&coll_id=8628&type=visual 탁상정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김태_삼월의 한계령.jpg|삼월의 한계령, 1984, 캔버스에 유채, 9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093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김태-신진자동차]]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 [[김태-육진개척]]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 [[김태-황룡사의 조영]]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gallery>
 +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77 김태, 금성출판사, 1977.
 +
#* 『김태교수 작품전』, 서울대학교, 1996.
 +
 
 +
===유용한 정보===
 +
# "[http://monthlyart.com/dicwho/%EA%B9%80%ED%83%9C-2/ 김태]",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331 김태]",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고운석,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2384612943174007 〈예술혼 산책〉 구상화가 김태(金泰)]", 『굿뉴스피플』, 2009년 03월 31일.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분류:작가]]
 

2017년 12월 29일 (금) 13:22 기준 최신판


김태(金泰)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김태
한자표기 金泰
영문명칭 Kim Tae
생몰년 1931년 3월 13일-
출생지 함경남도 홍원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31년 함남 홍원에서 출생하여 평양미술대학 재학 중 1.4후퇴 때 월남하였다. 전쟁 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다시 입학하여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통해 화단에 등단하였다.

작품 세계

앵포르멜(Informel)을 필두로 다양한 사조의 전위적인 추상화가 유행하던 무렵, 그는 그러한 흐름과는 비껴나 있었다. 우리의 감수성에 맞는 양식을 스스로 추구하고 실험하여 찾겠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래서 택한 출발점은 모든 미술의 시작인 사실과 구상이었다.
그는 대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밖으로 보이는 외관 내부에 묻힌 본질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태도를 보인다. 시시각각 변하는 눈에 보이는 현상이 아니라 그 현상의 원인이자 변화하지 않는 실재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경향은 흔히 후기인상주의 화가인 폴 세잔의 태도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의 작품은 강한 붓질로 화면에 묵직한 재질감을 주어, 안정된 수평 위주의 구조와 율동감을 드러낸다. 한편으로는 균형적인 색채의 구사를 통해 조형적으로 조화로운 화면을 시도한다. 이러한 결합은 거칠고 역동적인 힘과 색채가 어우러지는 회화적인 조형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그의 작품은 구축적이고 형식적인 경향을 벗어나 보다 자유스럽게 대상을 파악하는 유연한 화풍을 보여주었다.

학력

경력

전시

  • 1954-58 제3,4,5,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 경복궁미술관
  • 1961-71 제1-10회 앙가쥬망동인전, 국립도서관전시실
  • 1967년 민족기록화전
  • 1973년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우에노모리화랑
  • 1978-81 한국카톨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 전, 미술회관
  • 1981 서양화가의 눈으로 본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96 한국수채화작가회전, 미술회관
  • 1985 현대미술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 1996 대한민국원로작가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0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황룡사의 조영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육진개척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신진자동차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 평양미술대학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태 서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한국미술협회 김태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앙가주망 김태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김태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태 구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태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태종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탁상정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3.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77 김태, 금성출판사, 1977.
    • 『김태교수 작품전』, 서울대학교, 1996.

유용한 정보

  1. "김태",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2. "김태",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3. 고운석, "〈예술혼 산책〉 구상화가 김태(金泰)", 『굿뉴스피플』, 2009년 03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