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작가정보 |국문명 = 최대섭 |한자명 = 崔大燮 |영문명 = Choi Dae-sub |출생 - 사망 = 1927. 10. 10 ~ 1991. 2. 18 |출생지 = 전북 남원 |국적 = 대한민국...)
 
잔글 (갤러리)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6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작가정보
 
{{작가정보
|국문명 = 최대섭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한자명 = 崔大燮
+
|사진출처= 
|영문명 = Choi Dae-sub
+
|대표명칭 = 정창섭
|출생 - 사망 = 1927. 10. 10 ~ 1991. 2. 18
+
|한자표기 = 丁昌燮
|출생지 = 전북 남원
+
|영문명칭 = Chung Chang-sub
 +
|본명 =
 +
|호 =
 +
|생년 = 1927년 9월 22일
 +
|몰년 = 2011년 2월 24일
 +
|출생지 = 충북 청주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image = 최대섭.jpg
+
|필드수 =
 
}}
 
}}
==작가 소개==
+
=='''정의'''==
최대섭은 1927년 전북 남원에서 출생하여 1955년 홍익대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영생고등학교 및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 군산대학교 미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그는 1950년 한국미술가협회 회원전 참여를 시작으로 일본, 대만, 인도, 브라질 등 국제전에 참여하였으며, 1974년 한국미술협회원 전국회의장상, 75년 제7회 까뉴국제회화제 국가상을 수상하였다.
+
=='''내용'''==
 +
1927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출생하였다.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미술교육을 받은 첫 세대이자 우리나라 현대미술에 있어서도 첫 세대 화가라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하였다. 그는 우리 화단의 본격적인 [[추상미술]]운동에 가담한 이래 전통과 현대라는 두 가치의 조화를 통해 자신의 회화세계를 세우려는 작업을 지속하였다.
  
최대섭의 독자적인 화풍이 정착된 시기는 그가 붓 대신 롤러를 사용하기 시작한 1970년 중반 무렵이며, 이후 오랫동안 그의 회화양식에 영향을 미쳤다. 캔버스와 수채물감을 포기하고 먹을 통한 전통 수묵화의 기법을 사용하여 화선지나 광목 위에 롤러로 면밀하고 규칙적인 반복을 되풀이하면서 그 반복이 가져다주는 미묘한 변화를 추구하였다.
+
===[[앵포르멜]] 운동에 참여===
 +
1950년대 후반 전쟁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시대상황 속에서 젊은 작가들은 미술계를 비롯한 기성체제에 대한 저항과 도전의식을 담은 실험적인 예술을 시도하였다. 불안하고 어두운 격정을 담은 추상표현주의 양식인 소위 '[[앵포르멜]](Informel) 회화'가 그것이다. 정창섭 또한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출발로 불리는 이 운동에 참여하였다.
  
==학력==
+
===[[모노크롬 회화]]의 영향===
*1955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
1970년대 들어 전통적인 정신성과 절제된 미의식을 추구한 '[[모노크롬 회화]]'가 화단의 한 주류가 되었다. 정창섭 또한 서양의 유화를 버리고 닥종이와 수성물감을 사용하여 동양의 수묵화와 같이 번지고 스미는 보다 '자연스러운' 조형을 시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전통 소재인 한지로 돌아온 그는 지속적으로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과 같은 이항적인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는 작품세계를 모색하였다.<br/>
 +
그의 작업방식은 물에 불린 한지를 바탕 위에 올려 손으로 주무르며 최소한의 절제된 표현을 남기는 것이다. 재료와의 직접적이고 섬세한 교감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표현 작업은 재료가 지닌 물질적 속성을 최대한 살려내고 작가의 의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양자가 화면 위에서 하나가 되도록 하는 조형적 의도를 담은 것이다.
  
==경력==
+
===한국적 [[추상미술]] 성립===
*1956-1965년 영생고등학교 및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
+
이후 그는 사각의 엄격한 면 분할과 재료의 질감이 만들어내는 조형적 긴장감, 그리고 단일한 금욕적 색채로 대변되는 그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심화하였다. 이렇게 추상이라는 서구의 조형원리에 전통적인 미의식을 조화시키려 한 정창섭의 작품은 한국적인 [[추상미술|추상회화]] 성립의 의미 있는 결과 가운데 하나라 할 것이다.
*1988년 군산대학교 미술과 교수
 
*1988년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감사
 
  
==전시==
+
===학력===
*1950-1965년 한국미술가협회 회원전 총 7회, 서울 및 지방
+
*1951년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1950-1965년 개인전 총 3회
 
*1963년 현대미술동인전, 국립중앙공보관
 
*1964년 현대작가연립전, 국립중앙공보관
 
*1965년 신작가협회전, 신문회관 화랑
 
*1968년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 미술관
 
*1970년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1971-1980년 한국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1974년 한국현대작가초대전, 동경 화랑
 
*1974년 제1회 서울비엔날레초대, 국립현대미술관
 
*1974년 개인전, 명동 화랑
 
*1974년 개관기념 초대전, 미술회관
 
*1974-1978년 앙데팡당전, 국립현대미술관
 
*1975년 75-5그룹전, 국립현대미술관
 
*1975년 제1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1975년 추상작가 구상전, 아름 화랑
 
*1975년 한국현역작가 30인 초대전, 미로 화랑
 
*1975년 한국현역작가 초대전, 양지 화랑
 
*1975년 까뉴 국제회화제, 까뉴
 
*1975년 제2회 대구현대미술제, 계명대학
 
*1975-1980년 에꼴드서울전, 국립현대미술관
 
*1976년 민족기록화 구국위업전, 문공부
 
*1976년 제2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1976년 제12회 아시아 현대미술전, 동경 동경도미술관
 
*1976-1979년 광주, 부산, 대구, 전북 현대미술제
 
*1977년 한중현대작가초대전, 대만 대북역사박물관
 
*1977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문공부
 
*1977년 Asmall Self-Portrait, 동경 아트코아 갤러리
 
*1978년 한국미술 대상전 초대작가, 국립현대미술관
 
*1978년 제14회 아시아현대미술제, 동경 동경도 미술관
 
*1978년 한국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1978년 미술협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1978년 A Small Now Drowing`s, 동경
 
*1978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만민공동회의, 문공부
 
*1978년 제4회 인도 트리엔날레, 뉴델리
 
*1979년 한국현대작가 초대전, 미술회관
 
*1979년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1979년 중앙미술 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1979년 워크온페이퍼전, 진 화랑
 
*1979년 미술협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1979년 개인전, 동경 村松 화랑
 
*1980년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1980년 한국드로잉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0년 제6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1980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화약연구, 문공부
 
*1980년 개인전, 관훈 미술관
 
*1980년 `80 현대작가 36인 초대전, 관훈 미술관
 
*1980년 `80 국제 현대작가 미술제, 고베
 
*1980년 `80 국제 페스티벌, 아시아 현대미술전, 후쿠오카 미술관
 
*1980-1984년 `80 국제 임펙트 아트 페스티벌, 동경 교토 시립미술관
 
*1981년 드로잉 `81전, 국립현대미술관
 
*1982년 한국현대미술 위상전, 동경 교토 시립미술관
 
*1982-1985년 `82-`85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2-1983년 CABO FRIO국제전, 브라질
 
*1983년 에꼴드서울 종이조형전, 대만 대북 스프링 갤러리
 
*1983년 KNICK전, 헝가리
 
*1983-1990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4년 한국현대미술전, 대만 대북 시립미술관
 
*1985년 초대전, 중앙청역 전시관
 
*1985년 전북작가초대전
 
*1985년 KIS85 군산국제현대미술전, 전주
 
*1985년 `85 아시아현대작가초대전, 일본
 
*1986년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1987년 한국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1987년 `87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8년 현대회화 `70년대의 흐름, 워커힐 미술관
 
*1988년 `88 한국현대회화전, 대만
 
*1988년 `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수상==
+
===경력===
*1974년 제10회 한국미술협회원 전국회의장상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1975년 제7회 까뉴국제회화제 국가상
+
*문화재 전문위원, 한국미술협회 고문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주요작품==
+
===전시===
<gallery>
+
*1957  한국현대작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1961  제2회 파리비엔날레, 파리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 | [[최대섭-고려대장경]]
+
*1965  제8회 상파울로비엔날레, 상파울로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 국립근대미술관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1969  제1회 까뉴 국제회화제, 까뉴
</gallery>
+
*1974  제3회 인도트리엔날레, 뉴델리
 +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하나의 양상, 동경도미술관
 +
*1984  60년대의 한국미술, 앙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미술관
 +
*1990  한국 현대미술-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1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로, 동경미술관
 +
*1992  한국 현대미술전, 선재현대미술관
 +
*1995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6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미술관
 +
*2000  제3회 광주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
*2000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
*2004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
 +
 
 +
===수상===
 +
*1953, 55 제2, 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
*1962  제1회 사이공국제비엔날레 동상 및 ESSO상
 +
*1980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
*1987  제3회 중앙문화대상 예술상, 중앙일보사
 +
*1993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지식 관계망'''==
{| class="wikitable"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6/C006.htm "화랑도의 수련"(정창섭) 지식관계망]
! 노드 || 관계 || 노드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정약용과 저술"(정창섭)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3/C043.htm "태백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6/C00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3/C04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태백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고려대장경]]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 [[정창섭]]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창섭]]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현대미술가협회]]|| [[정창섭]]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한국미술협회]]|| [[정창섭]]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정창섭]] || [[앵포르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창섭]] || [[모노크롬 회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창섭]] || [[추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
  
==참고==
+
=='''시각자료'''==
[http://monthlyart.com/dicwho/%EC%B5%9C%EB%8C%80%EC%84%AD-2/ '최대섭' 월간미술]
+
===가상현실===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정창섭-묵고.JPG |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 소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7090&cid=46717&categoryId=46765 묵고 No.9606]", 미술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닥.jpg|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624 닥 No. 85099]",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묵고9680.jpg| 묵고(默考) 9608,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727 묵고 No.9608]",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gallery>
 +
 
 +
===영상===
 +
*'''[sojinsu1]정창섭 "묵고"전(2015), 조현화랑 페로탱갤러리, Chung Chang-Sup "meditation", Johyun Gallery & Galerie Perrotin(게시일: 2015년 9월 25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afG2IJRD9F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12 박득순, 금성출판사, 1982.
 +
#*『박득순화집』, 동아일보사, 1990.
 +
 
 +
===유용한 정보===
 +
# "[http://monthlyart.com/dicwho/%EC%A0%95%EC%B0%BD%EC%84%AD-2/ 정창섭]",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603 정창섭]",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고미석,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30000000165/3/70030000000165/20110225/35112017/1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동아일보』<sup>online</sup></online></html>, 2011년 02월 25일.
 +
# 박현주, "[http://www.fnnews.com/news/201008052036110012?t=y (26)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 정창섭 화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파이낸셜뉴스』<sup>online</sup></online></html>, 2010년 08월 05일. 
 +
# 김경갑,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22960831 닥종이로 만든 단색화...정창섭 화백 유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경제』<sup>online</sup></online></html>, 2016년 03월 01일.
 +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분류:작가]]
+
[[분류:민족/교열완료]]

2017년 12월 24일 (일) 20:22 기준 최신판


정창섭(丁昌燮)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정창섭
한자표기 丁昌燮
영문명칭 Chung Chang-sub
생몰년 1927년 9월 22일-2011년 2월 24일
출생지 충북 청주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27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출생하였다.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미술교육을 받은 첫 세대이자 우리나라 현대미술에 있어서도 첫 세대 화가라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하였다. 그는 우리 화단의 본격적인 추상미술운동에 가담한 이래 전통과 현대라는 두 가치의 조화를 통해 자신의 회화세계를 세우려는 작업을 지속하였다.

앵포르멜 운동에 참여

1950년대 후반 전쟁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시대상황 속에서 젊은 작가들은 미술계를 비롯한 기성체제에 대한 저항과 도전의식을 담은 실험적인 예술을 시도하였다. 불안하고 어두운 격정을 담은 추상표현주의 양식인 소위 '앵포르멜(Informel) 회화'가 그것이다. 정창섭 또한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출발로 불리는 이 운동에 참여하였다.

모노크롬 회화의 영향

1970년대 들어 전통적인 정신성과 절제된 미의식을 추구한 '모노크롬 회화'가 화단의 한 주류가 되었다. 정창섭 또한 서양의 유화를 버리고 닥종이와 수성물감을 사용하여 동양의 수묵화와 같이 번지고 스미는 보다 '자연스러운' 조형을 시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전통 소재인 한지로 돌아온 그는 지속적으로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과 같은 이항적인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는 작품세계를 모색하였다.
그의 작업방식은 물에 불린 한지를 바탕 위에 올려 손으로 주무르며 최소한의 절제된 표현을 남기는 것이다. 재료와의 직접적이고 섬세한 교감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표현 작업은 재료가 지닌 물질적 속성을 최대한 살려내고 작가의 의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양자가 화면 위에서 하나가 되도록 하는 조형적 의도를 담은 것이다.

한국적 추상미술 성립

이후 그는 사각의 엄격한 면 분할과 재료의 질감이 만들어내는 조형적 긴장감, 그리고 단일한 금욕적 색채로 대변되는 그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심화하였다. 이렇게 추상이라는 서구의 조형원리에 전통적인 미의식을 조화시키려 한 정창섭의 작품은 한국적인 추상회화 성립의 의미 있는 결과 가운데 하나라 할 것이다.

학력

경력

전시

  • 1957 한국현대작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61 제2회 파리비엔날레, 파리
  • 1965 제8회 상파울로비엔날레, 상파울로
  •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 국립근대미술관
  • 1969 제1회 까뉴 국제회화제, 까뉴
  • 1974 제3회 인도트리엔날레, 뉴델리
  •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하나의 양상, 동경도미술관
  • 1984 60년대의 한국미술, 앙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미술관
  • 1990 한국 현대미술-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1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로, 동경미술관
  • 1992 한국 현대미술전, 선재현대미술관
  • 1995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6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미술관
  • 2000 제3회 광주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 2000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 2004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

수상

  • 1953, 55 제2, 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 1962 제1회 사이공국제비엔날레 동상 및 ESSO상
  • 1980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 1987 제3회 중앙문화대상 예술상, 중앙일보사
  • 1993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태백산전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인천항도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 서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창섭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현대미술가협회 정창섭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한국미술협회 정창섭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정창섭 앵포르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창섭 모노크롬 회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창섭 추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sojinsu1]정창섭 "묵고"전(2015), 조현화랑 페로탱갤러리, Chung Chang-Sup "meditation", Johyun Gallery & Galerie Perrotin(게시일: 2015년 9월 25일)

주석

  1. "묵고 No.9606", 미술작품,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닥 No. 85099",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묵고 No.9608",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12 박득순, 금성출판사, 1982.
    • 『박득순화집』, 동아일보사, 1990.

유용한 정보

  1. "정창섭",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2. "정창섭",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online, 예술자료원.
  3. 고미석,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일보』online, 2011년 02월 25일.
  4. 박현주, "(26)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 정창섭 화백", 『파이낸셜뉴스』online, 2010년 08월 05일.
  5. 김경갑, "닥종이로 만든 단색화...정창섭 화백 유작전", 『한국경제』online, 2016년 03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