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격진천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정보
+
{{유물유적정보
|대표명칭= 비격진천뢰
+
|사진=민족기록화 유물 비격진천뢰 01.jpg
|DB유형 = 민족기록화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2,08600000,11&imgfname=1614118.jpg&dirname=treasure&photoname=%EB%B9%84%EA%B2%A9%EC%A7%84%EC%B2%9C%EB%A2%B0(%E9%A3%9B%E6%93%8A%E9%9C%87%E5%A4%A9%E9%9B%B7)&photoid=1614118#pr2 비격진천뢰]",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한글표기 = 비격진천뢰
+
|대표명칭=비격진천뢰
|한자표기 = 飛擊震天雷
+
|한자표기=飛擊震天雷
|시대 = 조선
+
|영문명칭=
|분야 = 과학기술/무기 
+
|이칭=진천뢰, 비진천뢰
|제작시기 = 16세기 중반~17세기 전반
+
|유형=무기
|제작자 = 이장손
+
|시대=조선
|image = 비격진천뢰.jpg
+
|지정번호=보물 제860호
 +
|지정일=1986년 3월 14일
 +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경도=126.974905
 +
|위도=37.576795
 +
|수량=
 +
|관련인물=[[이장손]]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개요==
+
=='''정의'''==
 +
조선 중기 [[이장손]]이 만들어 임진왜란 때 사용되었던 화기(火器)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5447 비격진천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내용'''==
 +
===이장손이 발명===
 +
[[군기시]](軍器寺) 화포장(火砲匠)이었던 [[이장손]](李長孫)은 대완구(大碗口)라는 중화기를 만들었다. 대완구로 쏘는 작열탄이 비격진천뢰인데, [[임진왜란]] 때 공성화기(攻城火器)로서 위력을 발휘하였다. 위 아래는 둥글고, 허리는 퍼진 모양이며, 위 한가운데는 뚜껑인 개철을 덮을 수 있도록 방형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 신관(信管)과 같은 발화장치인 죽통을 넣을 수 있도록 구경 5.5cm 정도의 구멍이 있다. 허리 부분에는 화약을 넣기 위하여 지름 2.5㎝의 구멍을 내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5447 비격진천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
===일종의 시한폭탄===
[[강대운]]이 그린 민족기록화의 배경이 된 '[[진주성싸움]]'에서 사용된 조선중기에 개발된 화약무기이다.
+
비격진천뢰의 가장 큰 특징은 폭발하는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일종의 시한폭탄이라는 점이다. 즉 대나무 통 속에는 도화선인 약선을 감는 나선형의 목곡(木谷)이 들어가는데, 빨리 폭발시키려면 10곡(曲), 늦게 폭발시키려면 15곡으로 약선을 감아서 넣었다. 대나무 통의 도화선 끝은 덮개의 구멍을 통하여 밖으로 빼내어 발사할 때 불을 붙였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03&content_id=cp020812030001&search_left_menu=3 비격진천뢰]",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br/>
 +
발사할 때는 대나무 통을 넣고, 속에 화약과 사람과 말을 살상시키기 위한 예리한 삼각철편을 채우고 종이로 틈을 메운 다음 뚜껑인 개철로 입구를 단단히 막았다. 허리 부분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화약을 가득 채운 후 격목으로 구멍을 막고 [[대완구]][[중완구]]로 발사한다. 420m(300보) 정도 날아가 땅에 떨어진 뒤 도화선이 타들어가 폭발하게 되고 함께 넣은 철조각이 사방으로 튀어 사람이나 말을 다치게 하였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03&content_id=cp020812030001&search_left_menu=3 비격진천뢰]",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여러 전투에 사용===
{| class="wikitable"
+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선조 25) 왜병에게 쫓겨 경상북도 안강(安康)으로 진을 옮긴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박진 | 박진(1560~1597, 朴晋)]]이 경주싸움 때 경주 판관(判官) [[박의장]](朴毅長)을 선봉으로 하여 비격진천뢰를 써서 많은 성과를 올렸으며, 수군의 함포(艦砲)에도 이를 이용하여 많은 적의 함선을 부수었다. 보물 제860호로 지정되어 궁중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5447 비격진천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노드 || 관계 || 노드
+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진주성싸움"(강대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1/C031.htm "행주대첩"(오승우)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비격진천뢰]] || [[이장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비격진천뢰]] || [[진주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비격진천뢰]]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비격진천뢰]]||~에서 사용되었다||[[진주성싸움]]
+
| [[비격진천뢰]] || [[대완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유물]][[분류:조선]]
+
=='''시각자료'''==
 +
===영상===
 +
*"[http://www.k-heritage.tv/www/jsp/heritage/vod/oldView.jsp?bbIdx=558&lang=ko 조선의 비밀병기, 비격진천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79 비격진천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600000,11 비격진천뢰]",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5447 비격진천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03&content_id=cp020812030001&search_left_menu=3 비격진천뢰]",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2511&cid=51293&categoryId=51293 비격진천뢰]",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2017년 12월 27일 (수) 00:16 기준 최신판

비격진천뢰
(飛擊震天雷)
"비격진천뢰", 문화재검색, 『문화재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비격진천뢰
한자표기 飛擊震天雷
이칭 진천뢰, 비진천뢰
유형 무기
시대 조선
지정번호 보물 제860호
지정일 1986년 3월 14일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관련인물 이장손



정의

조선 중기 이장손이 만들어 임진왜란 때 사용되었던 화기(火器)이다.[1]

내용

이장손이 발명

군기시(軍器寺) 화포장(火砲匠)이었던 이장손(李長孫)은 대완구(大碗口)라는 중화기를 만들었다. 대완구로 쏘는 작열탄이 비격진천뢰인데, 임진왜란 때 공성화기(攻城火器)로서 위력을 발휘하였다. 위 아래는 둥글고, 허리는 퍼진 모양이며, 위 한가운데는 뚜껑인 개철을 덮을 수 있도록 방형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 신관(信管)과 같은 발화장치인 죽통을 넣을 수 있도록 구경 5.5cm 정도의 구멍이 있다. 허리 부분에는 화약을 넣기 위하여 지름 2.5㎝의 구멍을 내었다.[2]

일종의 시한폭탄

비격진천뢰의 가장 큰 특징은 폭발하는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일종의 시한폭탄이라는 점이다. 즉 대나무 통 속에는 도화선인 약선을 감는 나선형의 목곡(木谷)이 들어가는데, 빨리 폭발시키려면 10곡(曲), 늦게 폭발시키려면 15곡으로 약선을 감아서 넣었다. 대나무 통의 도화선 끝은 덮개의 구멍을 통하여 밖으로 빼내어 발사할 때 불을 붙였다.[3]
발사할 때는 대나무 통을 넣고, 속에 화약과 사람과 말을 살상시키기 위한 예리한 삼각철편을 채우고 종이로 틈을 메운 다음 뚜껑인 개철로 입구를 단단히 막았다. 허리 부분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화약을 가득 채운 후 격목으로 구멍을 막고 대완구중완구로 발사한다. 420m(300보) 정도 날아가 땅에 떨어진 뒤 도화선이 타들어가 폭발하게 되고 함께 넣은 철조각이 사방으로 튀어 사람이나 말을 다치게 하였다.[4]

여러 전투에 사용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선조 25) 왜병에게 쫓겨 경상북도 안강(安康)으로 진을 옮긴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박진(1560~1597, 朴晋)이 경주싸움 때 경주 판관(判官) 박의장(朴毅長)을 선봉으로 하여 비격진천뢰를 써서 많은 성과를 올렸으며, 수군의 함포(艦砲)에도 이를 이용하여 많은 적의 함선을 부수었다. 보물 제860호로 지정되어 궁중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비격진천뢰 이장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비격진천뢰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비격진천뢰 행주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비격진천뢰 대완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비격진천뢰",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비격진천뢰",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비격진천뢰",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4. "비격진천뢰",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5. "비격진천뢰",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이강칠, "비격진천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비격진천뢰",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비격진천뢰",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비격진천뢰",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비격진천뢰", 『e뮤지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