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각적 안내)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제작연도= 1979년 | |제작연도= 1979년 | ||
|규격= 300호(197x290.9cm) | |규격= 300호(197x290.9cm) | ||
− | |유형= | + | |유형= 학술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
|필드수=8 | |필드수=8 | ||
}} | }} | ||
− | ==''' | + | =='''정의'''== |
− | + |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작품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right|450px]] |
− | + | [[김정호|김정호(金正浩, 1804추정~1866추정)]]는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는 방식<ref>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ref>으로『[[대동여지도|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제작하였다.<ref>"김정호는...한 것이다."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ref> 본 그림의 배경인 [[지리산]]을 예로 들면 [[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br/> | |
− |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천리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
+ | 작품 중앙에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⑤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나무 탁자 위에는 '''⑤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③ [[천리경|천리경(千里鏡:지금의 망원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 | |||
+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으로 추정된다.<ref>작품 오른쪽 하단에 세로로 "지리산에서의 김정호"라고 명시되어 있다.</ref>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 ||
− | == | + |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29번째 줄: | 37번째 줄: | ||
</imagemap> | </imagemap>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김태)" 지식관계망]''' |
− | + | <html> | |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html>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김태]]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지리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대동여지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청구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청구도]] ||[[ | + | | [[청구도]] || [[청구도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청구도제]] || [[최한기]]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김정호]]|| [[ | + | | [[최한기]]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김정희]] || [[최한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최한기]] || [[ | + | | [[최한기]] || [[지구전후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김정호]]||[[ | + | | [[지구전후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금당초고]] || [[김정호]]||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 [[금당초고]] || [[신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신헌]]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 | ||
− | |[[신헌]] | | ||
− | |||
− | |[[김정호 | ||
− | |||
− | |||
|- | |- | ||
− | | [[ | + | | [[신헌]] || [[최한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 | | [[김정희]]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정약용]]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신헌]] || [[의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 | | [[의순]] || [[김정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9년 || [[김태]]가 | + | |1979년 || [[김태]]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그렸다 |
|- | |- | ||
− | | | + | | 1861년 || [[김정호]]가 목판본 22첩 [[대동여지도]]를 간행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6.3608313 || 127.3832193|| | + | |36.3608313 || 127.3832193||[[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이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소장하고 있다 |
|- | |- | ||
|} | |}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학술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박득순-동의보감(허준)-1978s.jpg|1539-1615년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
+ |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1762-1836년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
+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1866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
+ | </gallery>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 | +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5/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html> | + | </html><br/>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5/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
+ | </gallery> | ||
+ | |||
+ | ===영상===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김정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인용 및 참조===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웹 자원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308&index_id=cp03080116&content_id=cp030801160001&search_left_menu=2 목제 곱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 이기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김정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19일.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308&index_id=cp03080116&content_id=cp030801160001&search_left_menu=2 목제 곱자]", 조선후기 시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34 기준 최신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
작가 | 김태 |
---|---|
제작연도 | 1979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학술 |
분류 | 유화 |
소장처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김정호(金正浩, 1804추정~1866추정)는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는 방식[1]으로『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제작하였다.[2] 본 그림의 배경인 지리산을 예로 들면 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
작품 중앙에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⑤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나무 탁자 위에는 ⑤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③ 천리경(千里鏡:지금의 망원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으로 추정된다.[5]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정호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대동여지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지리산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대동여지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청구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청구도 | 청구도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청구도제 | 최한기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최한기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김정희 | 최한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최한기 | 지구전후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구전후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금당초고 | 김정호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금당초고 | 신헌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신헌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신헌 | 최한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김정희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약용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신헌 | 의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의순 | 김정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9년 | 김태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그렸다 |
1861년 | 김정호가 목판본 22첩 대동여지도를 간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3608313 | 127.3832193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이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539-1615년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1762-1836년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 ↑ "김정호는...한 것이다."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작품 오른쪽 하단에 세로로 "지리산에서의 김정호"라고 명시되어 있다.
- ↑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