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8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한글고문헌 샘플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
|이미지= 한글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01 서문.jpg
 
|대표명칭=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대표명칭=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한자명칭=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한자명칭=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7번째 줄: 7번째 줄:
 
|작자=  
 
|작자=  
 
|작성시기=  
 
|작성시기=  
|간행시기= 1465년(세조11)경
+
|간행시기= 1465년
 
|간행처=  
 
|간행처=  
 
|기탁처=  
 
|기탁처=  
18번째 줄: 18번째 줄:
 
|수량= 1책
 
|수량= 1책
 
|표기문자= 한자, 한글
 
|표기문자= 한자, 한글
|필드수= 13
+
|필드수= 14
 
}}
 
}}
 
</noinclude>
 
</noinclude>
 
 
==정의==
 
==정의==
당나라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하고 [[종밀]]宗密이 풀이한 [[원각묘심]](圓覺妙心)의 수행 방법을 설명한 불교 경전이다.
+
북인도의 승려 [[불타다라 |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하고 당나라 승려 [[종밀|종밀(宗密)]]풀이한 원각묘심(圓覺妙心)의 수행 방법을 설명한 불교 경전이다.
  
 
==내용==
 
==내용==
당나라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하고 [[종밀]]宗密이 풀이한 [[원각묘심]](圓覺妙心)의 수행 방법을 설명한 불교 경전이다. 대방광원각경, 원각 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 원각경, 요의경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려 우왕 대에 원각경이 간행되었으나, 본 경전은 1465년(세조 11) [[원각사]]준공한 시점에 간행된 것이다.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이 경전은 고려 시대부터 널리 유통되었는데, 특히 장서각 소장본은 [[간경도감]]의 국역본을 저본으로 삼아 경문과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 편집해 인출한 금속활자본이다. 여기 사용된 활자는 을유년(1465)에 주조한 [[을유자]](乙酉字)로, 이 활자는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되었다. 조선이 불교 억제책을 시행했으므로 을유자는 더 이상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후 [[갑진자]](甲辰字)를 주조할 당시 을유자를 녹여 재사용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을유자로 간행된 자료가 희귀한 실정이며, [[장서각]] 소장본은 국어학 및 서지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35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F>
+
대방광원각경, 원각 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 원각경, 요의경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려 우왕 대에 원각경이 간행되었으나, 본 경전은 1465년(세조 11) [[서울 원각사 | 원각사]] 준공한 시점에 간행된 것이다.
 +
이 경전은 고려 시대부터 널리 유통되었는데, 특히 장서각 소장본은 [[간경도감]]의 국역본을 저본으로 삼아 경문과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 편집해 인출한 금속활자본이다. 여기 사용된 활자는 을유년(1465)에 주조한 [[을유자|을유자(乙酉字)]]로, 이 활자는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되었다. 조선이 불교 억제책을 시행했으므로 [[을유자]]는 더 이상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후 [[갑진자|갑진자(甲辰字)]]를 주조할 당시 [[을유자]]를 녹여 재사용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을유자]]로 간행된 자료가 희귀한 실정이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장서각]] 소장본은 국어학 및 서지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35쪽.</ref><!--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내용 및 한반도 전래===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풀이하면 '크고, 방정하고 광대한 [[원각|원각(圓覺)]]을 설명함이 모든 불교경전 중에서 으뜸이 되는 경' 이라는 뜻이다. 줄여서 『원각경』,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이라고도 한다. <ref>"[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443 원각경]",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br/>원각경은 불타다라가 693년 한역하였으며, 석가여래가 문수ㆍ보현ㆍ금강장ㆍ미륵ㆍ청정혜ㆍ위덕자재ㆍ변음ㆍ정제업장ㆍ보각ㆍ원각ㆍ현선수 등 12보살과의 문답을 통해 원각묘심(圓覺妙心)을 깨닫기 위한 수행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경전이다. 원각경에서 설명하는 교리에 대한 이해는 당나라 때의 선종과 화엄종의 교섭 경향과 관련된다. 화엄의 4대조인 징관은 수행자의 현실을 중시하여, 화엄학의 일면과 선종을 융통하는 교선일치적인 경향을 드러냈다. 이러한 징관의 사상에서 발전하여 화엄 5대조 [[종밀 | 종밀(宗密, 780~841)]]은 교와 선을 대등한 위치로 보았으며, 보다 철저한 [[교선일치설]]을 내세웠다. 종밀은 원각경의 가르침을 단순히 사상 뿐 아니라 실천 행위로 파악하려 하였다. 이러한 결과, 종밀은 원각경의 이론과 수행론 등을 해설한 『[[원각경도량수증의]](圓覺道場修證儀)』, 『[[원각경소]](圓覺經疏)』 를 저술하여 행자가 실제 수행해야 할 법과 좌선관법의 순서를 밝혔으며, 나아가 불교를 바탕으로 유교, 도교, 불교를 통합하였다. <ref>심인영, 「원각사지 10층석탑 4층 부조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2.</ref>
  
==부연설명==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본의 간행===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이 한반도로 전해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신라시대 승려인 혜거(惠居)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강의했다는 내용이 그의 전기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시대에 이미 전해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고려시대부터 본격적으로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에서는 [[세조]] 연간에 간경도감의 설치를 기점으로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간행되었다.<ref>김미경, 『《圓覺經》 版本의 系統과 書誌的 特徵에 관한 硏究』, 한성대학교, 2010.</ref> [[세조]]는 호불군주(好佛君主)를 자처하며 불사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불교 경전에 대한 이해도 높아 [[석보상절 | 『석보상절(釋譜詳節)』]] , [[월인천강지곡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간행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편찬 사업 경험은 즉위 후 간경도감을 설치하는 근간이 되었다. 세조는 재위 말기인 1465년 직접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언해하고 간경도감에서 간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기념하여 도성 내에 [[원각사]]를 창건하고 1467년 십층탑을 세워 탑 안에 원각경 언해본과 불사리를 봉인하였다.<ref>심인영, 「원각사지 10층석탑 4층 부조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2.</ref>
 +
<br/>현재 남아있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크게 네 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는데  1462년 [[교정도감]] 번각본, 1464년 함허특봉 주석본 및 번각본, 1465년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본 및 번각본이다. 이 자료는 1465년 간행한 초판본이다.<ref>김미경, 『《圓覺經》 版本의 系統과 書誌的 特徵에 관한 硏究』, 한성대학교, 2010.</ref>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풀이하면 ′크고, 방정하고 광대한 원각(圓覺)을 설명함이 모든 불타다라 중에서 으뜸이 되는 경′이라는 뜻이다. 줄여서 『원각경』,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이라고도 한다. <ref>[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443 국립중앙박물관 : 원각경]</ref>
+
{{연계자원정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이 한반도로 전해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신라시대 승려인 혜거(惠居)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강의했다는 내용이 그의 전기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시대에는 이미 전해져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고려시대부터 본격적으로 간행이 시작되었다. 조선조에는 억불정책으로 불경이 간행되지 않았다가 [[세조]] 연간(1455~1468) 간경도감의 설치를 기점으로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간행되었다.
+
|연계자원1=[[월인천강지곡]]
현재 남아있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크게 네 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는데  1462년 [[교정도감]] 번각본, 1464년 함허특봉 주석본 및 번각본, 1465년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본 및 번각본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자료는 1465년 [[원각사]]를 준공하면서 10층 석탑의 1층에 봉인하기 위해 간행한 것이다.<ref>김미경, 『『圓覺經』 版本의 系統과 書誌的 特徵에 관한 硏究』, 한성대학교, 2010</ref>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
|연계자원4=
간행 시기와 장소 등을 기록한 간기(刊記)를 보면 이 원각경은 담양의 추월산 용천사(秋月山 龍泉寺)에서 승려와 신도들의 공양을 받아 만력(萬曆) 계유(癸酉) 1573년 4월 초파일에 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현토 원각경(懸吐 圓覺經)″이라고 제목을 적은 표지는 최근에 만든 것이다.『원각경』에서는 지고한 깨달음의 원융불이(圓融不二)한 경지인 ′원각′을 돈교적(頓敎的)인 측면에서, 그 수행과 깨달음의 길을 단계적으로 점교적(漸敎的) 측면에서 가르치고 있어 불교 수행에 기본적인 방향을 지시하고 있는 중요한 경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
|연계자원5=
-->
+
}}
 
 
<!--
 
==부연==
 
원각사
 
 
 
세조
 
 
 
불교정책
 
-->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에 관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A010/A0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s://dh.aks.ac.kr/~encyves/Graph/A006/A006.htm 월인천강지곡에 관한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불타다라 || {{PAGENAME}} || A는 B를 저술했다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불타다라]] || A는 B에 의해 한역되었다 || A ekc:translator B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종밀]] || A는 B에 의해 주석되었다 || A ekc:annotator B
 +
|-
 +
|[[원각경소]] || [[종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종밀]] || [[원각경도량수증의]]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원각경도량수증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원각경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A는 B의 언해본이다 || A edm:isDerivativeOf B
 
|-
 
|-
|종밀 || {{PAGENAME}} || A는 B를 저술했다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 [[을유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을유자 || A는 B를 사용했다 ||  
+
|[[세조]] || [[원각사수다라요의경 언해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세조]] || {{PAGENAME}} || A는 B의 편찬을 명했다 || 1465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 [[세조]] || 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 || A ekc:translator B
 
|-
 
|-
|{{PAGENAME}} || [[원각사]] || A는 B에 포함된다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 [[간경도감]]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간경도감]] || {{PAGENAME}} || A는 B를 저술했다 || 1465
+
|[[간경도감]] || [[원각사수다라요의경 언해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 [[원각사지 10층 석탑]]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원각사]] || [[원각사지 10층 석탑]]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1465년 || 세조의 명으로 {{PAGENAME}}이 간행되었다
+
|1465년 || [[세조]]의 명으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가 간행되었다
 +
|-
 +
|1454년 || [[세조]]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언해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127.054364||37.392258 || {{PAGENAME}}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다.
+
| 37.571530 || 126.988168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를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봉인했다
 +
|-
 +
| 37.392258 || 127.054364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다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단행본
+
===갤러리===
*#김형광, 『(이야기)조선야사』, 서울 : 시아, 2000
+
<gallery>
*#서울시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문화재」 4 (서울: 서울특별시, 2003)
+
파일:한글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01 서문.jpg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서문
*#남희근 『원각경강의』, 마하연, 2012
+
파일:한글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02 권상.jpg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한글고문헌]]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형광, 『(이야기)조선야사』, 시아, 2000.
 +
**서울시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문화재』4, 서울특별시, 2003.
 +
**남희근, 『원각경강의』, 마하연, 2012.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2024년 4월 12일 (금) 09:33 기준 최신판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한글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01 서문.jpg
한자명칭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영문명칭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간행시기 1465년
소장처 장서각
청구기호 C4-139A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514호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7.3×18.2㎝
판본 금속활자본(을유자)
수량 1책
표기문자 한자, 한글


정의

북인도의 승려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하고 당나라 승려 종밀(宗密)이 풀이한 원각묘심(圓覺妙心)의 수행 방법을 설명한 불교 경전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대방광원각경, 원각 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 원각경, 요의경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려 우왕 대에 원각경이 간행되었으나, 본 경전은 1465년(세조 11) 원각사 준공한 시점에 간행된 것이다. 이 경전은 고려 시대부터 널리 유통되었는데, 특히 장서각 소장본은 간경도감의 국역본을 저본으로 삼아 경문과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 편집해 인출한 금속활자본이다. 여기 사용된 활자는 을유년(1465)에 주조한 을유자(乙酉字)로, 이 활자는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되었다. 조선이 불교 억제책을 시행했으므로 을유자는 더 이상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후 갑진자(甲辰字)를 주조할 당시 을유자를 녹여 재사용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을유자로 간행된 자료가 희귀한 실정이며, 장서각 소장본은 국어학 및 서지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내용 및 한반도 전래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풀이하면 '크고, 방정하고 광대한 원각(圓覺)을 설명함이 모든 불교경전 중에서 으뜸이 되는 경' 이라는 뜻이다. 줄여서 『원각경』,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이라고도 한다. [2]
원각경은 불타다라가 693년 한역하였으며, 석가여래가 문수ㆍ보현ㆍ금강장ㆍ미륵ㆍ청정혜ㆍ위덕자재ㆍ변음ㆍ정제업장ㆍ보각ㆍ원각ㆍ현선수 등 12보살과의 문답을 통해 원각묘심(圓覺妙心)을 깨닫기 위한 수행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경전이다. 원각경에서 설명하는 교리에 대한 이해는 당나라 때의 선종과 화엄종의 교섭 경향과 관련된다. 화엄의 4대조인 징관은 수행자의 현실을 중시하여, 화엄학의 일면과 선종을 융통하는 교선일치적인 경향을 드러냈다. 이러한 징관의 사상에서 발전하여 화엄 5대조 종밀(宗密, 780~841)은 교와 선을 대등한 위치로 보았으며, 보다 철저한 교선일치설을 내세웠다. 종밀은 원각경의 가르침을 단순히 사상 뿐 아니라 실천 행위로 파악하려 하였다. 이러한 결과, 종밀은 원각경의 이론과 수행론 등을 해설한 『원각경도량수증의(圓覺道場修證儀)』, 『원각경소(圓覺經疏)』 를 저술하여 행자가 실제 수행해야 할 법과 좌선관법의 순서를 밝혔으며, 나아가 불교를 바탕으로 유교, 도교, 불교를 통합하였다. [3]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본의 간행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이 한반도로 전해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신라시대 승려인 혜거(惠居)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강의했다는 내용이 그의 전기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시대에 이미 전해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고려시대부터 본격적으로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에서는 세조 연간에 간경도감의 설치를 기점으로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간행되었다.[4] 세조는 호불군주(好佛君主)를 자처하며 불사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불교 경전에 대한 이해도 높아 『석보상절(釋譜詳節)』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간행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편찬 사업 경험은 즉위 후 간경도감을 설치하는 근간이 되었다. 세조는 재위 말기인 1465년 직접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언해하고 간경도감에서 간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기념하여 도성 내에 원각사를 창건하고 1467년 십층탑을 세워 탑 안에 원각경 언해본과 불사리를 봉인하였다.[5]
현재 남아있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크게 네 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는데 1462년 교정도감 번각본, 1464년 함허특봉 주석본 및 번각본, 1465년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본 및 번각본이다. 이 자료는 1465년 간행한 초판본이다.[6]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월인천강지곡


지식 관계망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불타다라 A는 B에 의해 한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종밀 A는 B에 의해 주석되었다 A ekc:annotator B
원각경소 종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종밀 원각경도량수증의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경도량수증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경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A는 B의 언해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을유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세조 원각사수다라요의경 언해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세조 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 A ekc:translator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간경도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간경도감 원각사수다라요의경 언해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원각사지 10층 석탑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원각사 원각사지 10층 석탑 A는 B가 있는 곳이다 A dcterms:hasPart B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465년 세조의 명으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가 간행되었다
1454년 세조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언해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1530 126.988168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원각사지 10층 석탑에 봉인했다
37.392258 127.054364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35쪽.
  2. "원각경",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국립중앙박물관.
  3. 심인영, 「원각사지 10층석탑 4층 부조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2.
  4. 김미경, 『《圓覺經》 版本의 系統과 書誌的 特徵에 관한 硏究』, 한성대학교, 2010.
  5. 심인영, 「원각사지 10층석탑 4층 부조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2.
  6. 김미경, 『《圓覺經》 版本의 系統과 書誌的 特徵에 관한 硏究』, 한성대학교, 2010.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형광, 『(이야기)조선야사』, 시아, 2000.
    • 서울시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문화재』4, 서울특별시, 2003.
    • 남희근, 『원각경강의』, 마하연,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