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육진개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조선
+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
|소장처= [[전쟁기념관]]
 
|필드수=7
 
|필드수=7
 
}}
 
}}
 +
=='''정의'''==
 +
[[조선 세종]] 시기 [[육진 개척]]을 위해 [[김종서]] 장군의 군대가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ref>"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0&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설명'''==
해당 작품은 [[삼일운동]]을 준비하는 데 앞장선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1919년 3월 1일 [[태화관]]에서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모습이다.<br/>
+
===작품 소재===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3시까지 4인을 기다리다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오후 4시경에 행사를 끝냈다.<br/>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right|450px]]
작품 정면에 앉아있는 [[손병희]]를 기준으로 시계 오른쪽 방향으로
+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김종서(金宗瑞, 1390~1453)]]를 함길도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이징옥(李澄玉)]]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449년까지 십여 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육진(六鎭)]]<ref>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ref>을 설치하였다.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는 [[두만강]] 인근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br/>
<gallery>
+
 
파일:민족대표_손병희.JPG|<center>천도교-[[손병희]]</center>
+
해당 작품은 '''②⑤ [[김종서]]'''와 '''④ [[이징옥]]'''이 [[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②⑤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④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gallery>
+
 
로 추정된다.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①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①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imagemap>Image:최대섭-독립선언-1976s.jpg|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김태 「육진개척」 1975|800px|center
poly 437 44 424 51 418 71 424 86 408 97 388 131 388 149 390 170 390 179 444 178 474 177 488 171 493 162 494 151 496 131 485 106 485 95 472 86 460 73 460 55 444 41 444 42 [[손병희]]
+
poly 330 112 324 126 312 134 297 142 296 145 308 148 305 158 293 165 284 193 265 187 280 208 286 231 293 213 301 209 318 221 320 234 348 232 324 200 344 205 356 203 352 193 333 193 336 183 345 184 353 171 370 159 372 166 380 148 393 81 389 79 377 139 368 146 365 149 344 152 336 133 333 113 333 113 [[김종서]]
 +
poly 225 140 225 150 220 158 208 176 197 198 201 214 208 223 232 230 240 223 232 200 241 202 229 189 233 185 258 177 256 169 236 172 233 157 232 149 228 149 228 149 [[이징옥]]
 +
poly 1 123 144 113 133 120 160 114 153 123 4 132 4 132 [[두만강]]
 
</imagemap>
 
</imagemap>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_스케치.jpg|<center>[[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center><ref>국가기록원 아카이브, '민족기록화'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8&gubun=search#1 검색](3월 9일 확인)</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육진개척_국가기록원1.jpg|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4&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gallery>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조선 관련 작품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육진개척"(김태) 지식관계망''']
<gallery>
+
<html>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
</html>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파일:박득순-동의보감(허준)-1978s.jpg|[[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정창섭-정약용과 저술]]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gallery>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김태-육진개척]]||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육진개척]]  || [[김종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김태-육진개척]]  || [[이징옥]]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김태-육진개척]] || [[육진 개척]]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김태]] ||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
|[[김태-육진개척]]  || [[두만강]]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 ]]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김태-육진개척]]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
 
|-
|{{PAGENAME}} ||[[ ]]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김종서]] || [[육진 개척]]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이징옥]] ||[[육진 개척]]||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세종]] || [[육진 개척]]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세종]]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조선 세조]] || [[계유정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계유정난]]  || [[김종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계유정난]] || [[사육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징옥]] || [[조선 세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1975년 || [[김태]]가 [[김태-육진개척]]을 제작하였다.
 
|-
 
|-
 +
|1434년-1444년 || [[육진 개척]]이 시행되었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 ]] || 37.5719465  || 126.9845616
+
|37.537122 || 126.977156 || [[전쟁기념관]]이 [[김태-육진개척]]을 소장하고 있다
 
|}
 
|}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gallery>
  
=='''참고문헌'''==
+
=='''시각자료'''==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center>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육진개척_국가기록원1.jpg|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34100&dsid=000000000004&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게시일: 2015년 4월 5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gqaj8KM67c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168 육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12&cid=41826&categoryId=41826 육진]",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26 기준 최신판


육진개척
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조선 세종 시기 육진 개척을 위해 김종서 장군의 군대가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1]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金宗瑞, 1390~1453)를 함길도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李澄玉)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449년까지 십여 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六鎭)[2]을 설치하였다.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는 두만강 인근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

해당 작품은 ②⑤ 김종서이징옥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②⑤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김종서이징옥두만강김태 「육진개척」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육진개척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육진개척 김종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이징옥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육진 개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두만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종서 육진 개척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징옥 육진 개척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육진 개척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조선 세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세조 계유정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김종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사육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징옥 조선 세조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태김태-육진개척을 제작하였다.
1434년-1444년 육진 개척이 시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7122 126.977156 전쟁기념관김태-육진개척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게시일: 2015년 4월 5일)

주석

  1.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
  3.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김성준, "육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육진",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