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유씨 모산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유씨 모산종택과 기록유산)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공간정보
+
{{유물유적정보
|대표명칭 = 진주유씨 모산종택
+
|사진=Kyungsungdang.jpg
|명칭 = 진주유씨 모산종택(晉州柳氏 帽山宗宅)
+
|사진출처=
|이칭/별칭 = 경성당(竟成堂)  
+
|대표명칭= 진주유씨 모산종택
|유형 = 유적/건물
+
|한자표기= 晉州柳氏 帽山宗宅
|성격 = 종택
+
|영문명칭=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만수동천길29(부곡동)
+
|이칭= 경성당(竟成堂)  
|관련 문화재 =  
+
|유형= 유적/건물
|image = Kyungsungdang.jpg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만수동천길29(부곡동)
 +
|시대= 조선
 +
|지정번호=
 +
|지정일=
 +
|위도= 37.342499
 +
|경도= 126.872914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한산이씨 고행록]]
 
}}
 
}}
 +
==정의==
 +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경기도 안산에 지은 집이다. <ref>정진각,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872 진주유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개요==
+
==내용==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전통 가옥으로,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지은 집이다. 모산종택보다는 경성당(竟成堂)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br/>
+
===[[진주유씨 모산종택]]의 건립과 현재===
1850년 경 지어졌으나 현재는 사랑채만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으며 안채와 아래채, 헛간채, 행랑채 등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철거되거나 시멘트 건물로 대체되었다.<br/>
+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전통 가옥으로,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둘째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지은 집이다. 모산종택보다는 '경성당(竟成堂)'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경성당은 19세기 안산의 양반 주거 양식을 알 수 있는 문화적 자료일 뿐 아니라 종부의 삶을 대대로 담아낸 '고행록' 등 많은 고문서와 그림 등을 보관하고 있던 기록유산의 산실이기도 하다.<br/>
+
1850년 경 지어졌으나 현재는 사랑채만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으며 안채와 아래채, 헛간채, 행랑채 등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철거되거나 시멘트 건물로 대체되었다.  
2016년을 기준으로 진주유씨 27대손 고 유문형(柳文馨)의 부인이자 5대 종부(宗婦) 권보남(權寶南)이 저택을 지키고 있다.  
+
경성당은 19세기 안산의 양반 주거 양식을 알 수 있는 문화적 자료일 뿐 아니라 많은 고문서와 그림 등을 보관하던 기록유산의 산실이기도 하다.<ref>정진각,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872 진주유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2016년을 기준으로 진주유씨 27대손 고 [[유문형]](柳文馨)의 부인이자 5대 종부(宗婦) [[권보남]](權寶南)이 저택을 지키고 있다.<ref>구재원,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254750 안산 ‘경성당’ 5대 종부 권보남 여사 “조상의 지혜가 담긴 종가 건물 잘 지켜야죠”]", 『경기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ref>
  
==위치==
+
===[[진주유씨 모산종택]]과 기록유산===
<includeonly>
+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전시자료 중 진주유씨 모산종택에서 협조한 것으로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한산이씨 고행록]]」'이 있다.<br>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4.382876&longi=126.577319" frameborder="0" ></iframe>
+
고 [[유문형]]은 200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1천 616점에 달하는 옛 문서와 그림을 기탁하였다.<br/>
</includeonly>
+
그 중에서도 1718년(숙종 44) [[유명천]]의 부인 [[유명천 처 한산 이씨 |한산이씨]](1659∼1727)가 60세에 기록한 회고록 '「[[한산이씨 고행록 |고행록]]」'은 [[유명천 처 한산 이씨 |한산이씨]]의 다난했던 삶이 그대로 기록되어 있으며, 당시 남인 사대부가의 면모를 고스란히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f>김계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11/0200000000AKR20160711139200005.HTML?input=1195m 명문가 수백년 묵은 고문서 지켜온 맏며느리들]", 『연합뉴스』, 작성일: 2016년 07월 11일.</ref><br/>
  
<googlemap width="700" height="400" lat="34.382876" lon="126.577319" zoom="9"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지식 관계망==
37.342503, 126.872898, [[진주유씨 모산종택]]
+
* '''한산이씨 고행록 지식관계망'''
</googlemap>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Virtual Pavilion==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66/A06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12/A212.htm 전답매매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관련 항목==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해남 미황사 || 보유 문화재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9470000,36 해남 미황사 대웅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230000,36 해남 미황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240000,36 해남 미황사 명부전 목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1830000,36 해남 미황사 응진당],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250000,36 해남 미황사 응진당 목조 석가여래삼존상 및 나한상 일괄]
+
| [[한산이씨 고행록]] || [[진주유씨 모산종택]]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해남 미황사 || 관련 인물 || 의조(義照)
+
|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 [[진주유씨 모산종택]]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해남 미황사 || 관련 공간 || 달마산, 해남 대흥사
 
 
|}
 
|}
  
==갤러리==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0/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0/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gallery>
 
<gallery>
파일:미황사대웅전.jpg | 대웅전
+
파일:경성당_사랑채.jpg | 사랑채
파일:미황사대웅전내부.jpg | 대웅전 내부
+
파일:경성당_안채.jpg | 안채
파일:미황사사적비.JPG | 미황사 사적비
+
파일:경성당_현판.jpg | 현판
파일:미황사응진당.jpg | 응진당
 
파일:미황사응진당내부.jpg  | 응진당 내부
 
파일:괘불탱.jpg | 미황사 괘불탱
 
 
</gallery>
 
</gallery>
<ref>출처: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문화재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118&cid=46648&categoryId=46648 민백 '미황사']</ref>
 
  
==기여==
+
===영상===
 +
*'''청문당·경성당, 안산 조선시대 전통가옥(이관희, 게시일: 2013.11.29.)'''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hXavZLizEG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iframe>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youtu.be/hXavZLizEG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3Q8NyF0IAa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김누리]]: 처음 작성
+
==주석==
 +
<references/>
  
==주석==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정진각,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872 진주유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용한 정보===
 +
*구재원,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254750 안산 ‘경성당’ 5대 종부 권보남 여사 “조상의 지혜가 담긴 종가 건물 잘 지켜야죠”]", 『경기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
 +
*김계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11/0200000000AKR20160711139200005.HTML?input=1195m 명문가 수백년 묵은 고문서 지켜온 맏며느리들]", 『연합뉴스』, 작성일: 2016년 07월 11일.
 
<references/>
 
<references/>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유적건조물]]
+
[[분류:문화유산]]
[[분류:종택]]
+
[[분류:장소]]

2017년 11월 25일 (토) 02:49 기준 최신판

진주유씨 모산종택
(晉州柳氏 帽山宗宅)
Kyungsungdang.jpg
대표명칭 진주유씨 모산종택
한자표기 晉州柳氏 帽山宗宅
이칭 경성당(竟成堂)
유형 유적/건물
시대 조선
관련유물유적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한산이씨 고행록


정의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경기도 안산에 지은 집이다. [1]

내용

진주유씨 모산종택의 건립과 현재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전통 가옥으로,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둘째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지은 집이다. 모산종택보다는 '경성당(竟成堂)'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1850년 경 지어졌으나 현재는 사랑채만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으며 안채와 아래채, 헛간채, 행랑채 등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철거되거나 시멘트 건물로 대체되었다. 경성당은 19세기 안산의 양반 주거 양식을 알 수 있는 문화적 자료일 뿐 아니라 많은 고문서와 그림 등을 보관하던 기록유산의 산실이기도 하다.[2]
2016년을 기준으로 진주유씨 27대손 고 유문형(柳文馨)의 부인이자 5대 종부(宗婦) 권보남(權寶南)이 저택을 지키고 있다.[3]

진주유씨 모산종택과 기록유산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전시자료 중 진주유씨 모산종택에서 협조한 것으로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한산이씨 고행록」'이 있다.
유문형은 200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1천 616점에 달하는 옛 문서와 그림을 기탁하였다.
그 중에서도 1718년(숙종 44) 유명천의 부인 한산이씨(1659∼1727)가 60세에 기록한 회고록 '「고행록」'은 한산이씨의 다난했던 삶이 그대로 기록되어 있으며, 당시 남인 사대부가의 면모를 고스란히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4]

지식 관계망

  • 한산이씨 고행록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한산이씨 고행록 진주유씨 모산종택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진주유씨 모산종택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청문당·경성당, 안산 조선시대 전통가옥(이관희, 게시일: 2013.11.29.)

주석

  1. 정진각, "진주유씨",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진각, "진주유씨",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구재원, "안산 ‘경성당’ 5대 종부 권보남 여사 “조상의 지혜가 담긴 종가 건물 잘 지켜야죠”", 『경기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
  4. 김계연, "명문가 수백년 묵은 고문서 지켜온 맏며느리들", 『연합뉴스』, 작성일: 2016년 07월 11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정진각, "진주유씨",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