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유씨 모산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공간정보 |대표명칭 = 진주유씨 모산종택 |명칭 = 진주유씨 모산종택(晉州柳氏 帽山宗宅) |이칭/별칭 = 경성당(竟成堂) |유형 = 유적/건물...)
 
(진주유씨 모산종택과 기록유산)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공간정보
+
{{유물유적정보
|대표명칭 = 진주유씨 모산종택
+
|사진=Kyungsungdang.jpg
|명칭 = 진주유씨 모산종택(晉州柳氏 帽山宗宅)
+
|사진출처=
|이칭/별칭 = 경성당(竟成堂)  
+
|대표명칭= 진주유씨 모산종택
|유형 = 유적/건물
+
|한자표기= 晉州柳氏 帽山宗宅
|성격 = 종택
+
|영문명칭=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만수동천길29(부곡동)
+
|이칭= 경성당(竟成堂)  
|관련 문화재 =  
+
|유형= 유적/건물
|image = Kyungsungdang.jpg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만수동천길29(부곡동)
 +
|시대= 조선
 +
|지정번호=
 +
|지정일=
 +
|위도= 37.342499
 +
|경도= 126.872914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한산이씨 고행록]]
 
}}
 
}}
 +
==정의==
 +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경기도 안산에 지은 집이다. <ref>정진각,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872 진주유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개요==
+
==내용==
 +
===[[진주유씨 모산종택]]의 건립과 현재===
 +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전통 가옥으로,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둘째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지은 집이다. 모산종택보다는 '경성당(竟成堂)'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
1850년 경 지어졌으나 현재는 사랑채만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으며 안채와 아래채, 헛간채, 행랑채 등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철거되거나 시멘트 건물로 대체되었다.
 +
경성당은 19세기 안산의 양반 주거 양식을 알 수 있는 문화적 자료일 뿐 아니라 많은 고문서와 그림 등을 보관하던 기록유산의 산실이기도 하다.<ref>정진각,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872 진주유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2016년을 기준으로 진주유씨 27대손 고 [[유문형]](柳文馨)의 부인이자 5대 종부(宗婦) [[권보남]](權寶南)이 저택을 지키고 있다.<ref>구재원,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254750 안산 ‘경성당’ 5대 종부 권보남 여사 “조상의 지혜가 담긴 종가 건물 잘 지켜야죠”]", 『경기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ref>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해남 대흥사|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749년(경덕왕 8) 의조(義照)가 창건하였다.<br/>
+
===[[진주유씨 모산종택]]과 기록유산===
주요 문화재로는 보물 947호인 대웅보전, 보물 1183호인 응진당과 명부전 등이 있다.<br/>
+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전시자료 중 진주유씨 모산종택에서 협조한 것으로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한산이씨 고행록]]」'이 있다.<br>
대웅전 내부에는 삼존불이 모셔져 있고 후불탱화(後佛幀畫)가 걸려 있으며, 법당 뒤편의 목궤에 넣어둔 괘불(掛佛)은 오래된 것으로 몹시 상하였다.
+
고 [[유문형]]은 200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1천 616점에 달하는 옛 문서와 그림을 기탁하였다.<br/>
이 절의 부도군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는데, 한 곳은 26기(基)의 부도와 설봉당(雪峯堂)·송파(松坡)·금하(錦河)·낭암(朗巖)·벽하(碧霞) 등 대사비(大師碑) 5기가 있다. 다른 한 곳에도 5기의 부도가 있으나 전부 도굴되어 흩어져 있다.<br/>
+
그 중에서도 1718년(숙종 44) [[유명천]]의 부인 [[유명천 처 한산 이씨 |한산이씨]](1659∼1727)가 60세에 기록한 회고록 '「[[한산이씨 고행록 |고행록]]」'은 [[유명천 처 한산 이씨 |한산이씨]]의 다난했던 삶이 그대로 기록되어 있으며, 당시 남인 사대부가의 면모를 고스란히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f>김계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11/0200000000AKR20160711139200005.HTML?input=1195m 명문가 수백년 묵은 고문서 지켜온 맏며느리들]", 『연합뉴스』, 작성일: 2016년 07월 11일.</ref><br/>
또한, 미황사 사적비는 1692년(숙종 18) 민암(閔黯, 1634∼1692)이 세운 것으로서 초서로 된 높이 3m의 비인데, 옥개석 위에 용을 얹어 조각하였다. 미황사의 내력을 기록한 비로 추정되나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br/>
 
이 밖에 절 뒷산 사자봉에는 ‘토말(土末)’이라 쓰인 비석이 있어 우리 나라 육지의 끝을 나타내고 있다.<br/>
 
  
템플스테이와 어린이 한문학당, 자원봉사 등의 프로그램을 일반인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추수철이 되면 보물 제 1342호로 지정된 미황사 괘불을 중심으로 행사를 열기도 한다.<br/>
+
==지식 관계망==
괘불은 옥외에서 큰 행사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운반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 불화를 이르는데, 미황사 괘불은 특히 풍년과 비를 가져다주는 부처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믿음이 지금에까지 이어져 마을 주민들이 모여 1년간 농사지은 수확물들을 공양하고 서로 나누는 장으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
* '''한산이씨 고행록 지식관계망'''
 
 
이 밖에도 연말연초에는 해넘이 해맞이 행사를 여는 등 역사문화재이자 종교단체로서 지역주민, 외부인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br/>
 
<ref>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118&cid=46648&categoryId=466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미황사'], [http://www.mihwangsa.com/ 미황사 공식 홈페이지]</ref>
 
 
 
==배치도==
 
 
<html>
 
<html>
<iframe width="50%" height="800px" src="http://t067.danah.kr/mihwangsa/story/html/map.html"></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66/A06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ref>출처: [http://www.mihwangsa.com/ 미황사 공식 홈페이지]</ref>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12/A212.htm 전답매매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위치==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includeonly>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4.382876&longi=126.577319" frameborder="0" ></iframe>
 
</includeonly>
 
 
 
<googlemap width="700" height="400" lat="34.382876" lon="126.577319" zoom="9"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4.382876, 126.577319, [[해남 미황사]]
 
</googlemap>
 
 
 
==Virtual Pavilion==
 
 
 
*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해남 미황사 || 보유 문화재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9470000,36 해남 미황사 대웅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230000,36 해남 미황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240000,36 해남 미황사 명부전 목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1830000,36 해남 미황사 응진당],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250000,36 해남 미황사 응진당 목조 석가여래삼존상 및 나한상 일괄]
+
| [[한산이씨 고행록]] || [[진주유씨 모산종택]]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해남 미황사 || 관련 인물 || 의조(義照)
+
|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 [[진주유씨 모산종택]]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해남 미황사 || 관련 공간 || 달마산, 해남 대흥사
 
 
|}
 
|}
  
==갤러리==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0/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0/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gallery>
 
<gallery>
파일:미황사대웅전.jpg | 대웅전
+
파일:경성당_사랑채.jpg | 사랑채
파일:미황사대웅전내부.jpg | 대웅전 내부
+
파일:경성당_안채.jpg | 안채
파일:미황사사적비.JPG | 미황사 사적비
+
파일:경성당_현판.jpg | 현판
파일:미황사응진당.jpg | 응진당
 
파일:미황사응진당내부.jpg  | 응진당 내부
 
파일:괘불탱.jpg | 미황사 괘불탱
 
 
</gallery>
 
</gallery>
<ref>출처: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문화재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118&cid=46648&categoryId=46648 민백 '미황사']</ref>
 
  
==기여==
+
===영상===
 +
*'''청문당·경성당, 안산 조선시대 전통가옥(이관희, 게시일: 2013.11.29.)'''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hXavZLizEG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iframe>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youtu.be/hXavZLizEG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3Q8NyF0IAa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김누리]]: 처음 작성
+
==주석==
 +
<references/>
  
==주석==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정진각,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ansan&dataType=01&contents_id=GC02500872 진주유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안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용한 정보===
 +
*구재원,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254750 안산 ‘경성당’ 5대 종부 권보남 여사 “조상의 지혜가 담긴 종가 건물 잘 지켜야죠”]", 『경기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
 +
*김계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11/0200000000AKR20160711139200005.HTML?input=1195m 명문가 수백년 묵은 고문서 지켜온 맏며느리들]", 『연합뉴스』, 작성일: 2016년 07월 11일.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명승]]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유적건조물]]
+
[[분류:문화유산]]
[[분류:사찰]]
+
[[분류:장소]]

2017년 11월 25일 (토) 02:49 기준 최신판

진주유씨 모산종택
(晉州柳氏 帽山宗宅)
Kyungsungdang.jpg
대표명칭 진주유씨 모산종택
한자표기 晉州柳氏 帽山宗宅
이칭 경성당(竟成堂)
유형 유적/건물
시대 조선
관련유물유적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한산이씨 고행록


정의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경기도 안산에 지은 집이다. [1]

내용

진주유씨 모산종택의 건립과 현재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전통 가옥으로, 진주유씨 21세손인 유신의 둘째 아들 유중서(柳重序)가 지은 집이다. 모산종택보다는 '경성당(竟成堂)'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1850년 경 지어졌으나 현재는 사랑채만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으며 안채와 아래채, 헛간채, 행랑채 등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철거되거나 시멘트 건물로 대체되었다. 경성당은 19세기 안산의 양반 주거 양식을 알 수 있는 문화적 자료일 뿐 아니라 많은 고문서와 그림 등을 보관하던 기록유산의 산실이기도 하다.[2]
2016년을 기준으로 진주유씨 27대손 고 유문형(柳文馨)의 부인이자 5대 종부(宗婦) 권보남(權寶南)이 저택을 지키고 있다.[3]

진주유씨 모산종택과 기록유산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전시자료 중 진주유씨 모산종택에서 협조한 것으로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한산이씨 고행록」'이 있다.
유문형은 200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1천 616점에 달하는 옛 문서와 그림을 기탁하였다.
그 중에서도 1718년(숙종 44) 유명천의 부인 한산이씨(1659∼1727)가 60세에 기록한 회고록 '「고행록」'은 한산이씨의 다난했던 삶이 그대로 기록되어 있으며, 당시 남인 사대부가의 면모를 고스란히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4]

지식 관계망

  • 한산이씨 고행록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한산이씨 고행록 진주유씨 모산종택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진주유씨 모산종택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청문당·경성당, 안산 조선시대 전통가옥(이관희, 게시일: 2013.11.29.)

주석

  1. 정진각, "진주유씨",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진각, "진주유씨",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구재원, "안산 ‘경성당’ 5대 종부 권보남 여사 “조상의 지혜가 담긴 종가 건물 잘 지켜야죠”", 『경기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
  4. 김계연, "명문가 수백년 묵은 고문서 지켜온 맏며느리들", 『연합뉴스』, 작성일: 2016년 07월 11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정진각, "진주유씨", 『디지털안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