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잔글 (갤러리)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5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정창섭
+
{{작가정보
|한자명 = 丁昌燮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영문명 = Chung Chang-sub
+
|사진출처= 
|출생 - 사망 = 1927.09.22 - 2011.02.24
+
|대표명칭 = 정창섭
 +
|한자표기 = 丁昌燮
 +
|영문명칭 = Chung Chang-sub
 +
|본명 =
 +
|호 =
 +
|생년 = 1927년 9월 22일
 +
|몰년 = 2011년 2월 24일
 
|출생지 = 충북 청주
 
|출생지 = 충북 청주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
|필드수 =
|이미지 출처 = <ref>[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603 "정창섭", 예술자료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5일 확인)</ref>
 
|image = 정창섭.JPG
 
 
}}
 
}}
=='''작가소개'''==
+
=='''정의'''==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로 꼽히는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교육 받고 자란 미술 1세대 화가로 한국적 전통의 종이와 미감을 접목한 추상미술로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모색해왔다.<br/>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은둔의 화가'로도 불리는 [[정창섭]] 화백은 서울대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서울대 미대 교수로 30여년간 재직하면서 평생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다. 1953년 제2회 국전에서 캔버스에 유채로 그린 '공방'(239×129㎝)으로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한 그는 1960년대 서양미술 사조였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722 앵포르멜] 회하에서 시작하여 한국 추상미술의 흐름으로 자리매김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412&cid=40942&categoryId=33050 모노크롬] 회화(단색화)를 이끌었던 주역 중 한 명이다. 서양화를 전공했지만 유화의 기름지고 끈적이는 성질이 불편했던 그는 1970년대부터 한지의 소재인 닥을 물감의 대체물로 이용하여 평생토록 일관되게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 이질적 개념이 합치되는 '물아합의'의 세계를 추구했다.<br/>
 
1970년대 '귀'연작을 시작으로 한국의 전통적 재료인 한지로 회귀한 [[정창섭]]은 1980년대 닥을 주재료로 '닥' 연작을 시작한다. 물에 불려 반죽을 만들고, 이것을 캔버스에 올린 뒤 손으로 펴고 두드린 후 이를 건조하면 닥 고유의 선과 주름이 나타나고, 원래 갖고 있던 색이 드러난다. 작업하는 과정작가의 손이 들어갔으나 시간을 두고 기다림으로써 결과적으로 특유의 형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손가락 틈새로 닥의 섬유질이 새어 나오기도 한다. 이 상태에서 건조하면 닥 고유의 선과 주름이 캔버스에 형성된다.<br/>
 
그의 마지막 연작 '묵고'는 정 화백의 대표작으로 1990년 처음 등장하였다. 이전의 연작들과는 다르게 좌우대칭의 엄격한 면의 분할과 구획, 그리고 단단하고 균일하게 다듬어진 마티에르로 인해 팽팽한 평면성이 긴장감을 더한다. 또한 '그리지 않은 단색화' 작가로 잘 알려진 정 화백의 이전 작품들과 다르게 다양한 색이 사용되었다.
 
  
=='''학력'''==
+
=='''내용'''==
*1951년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학사
+
1927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출생하였다.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미술교육을 받은 첫 세대이자 우리나라 현대미술에 있어서도 첫 세대 화가라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하였다. 그는 우리 화단의 본격적인 [[추상미술]]운동에 가담한 이래 전통과 현대라는 두 가치의 조화를 통해 자신의 회화세계를 세우려는 작업을 지속하였다.
  
=='''경력'''==
+
===[[앵포르멜]] 운동에 참여===
*앙포르멜 운동 활동
+
1950년대 후반 전쟁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시대상황 속에서 젊은 작가들은 미술계를 비롯한 기성체제에 대한 저항과 도전의식을 담은 실험적인 예술을 시도하였다. 불안하고 어두운 격정을 담은 추상표현주의 양식인 소위 '[[앵포르멜]](Informel) 회화'가 그것이다. 정창섭 또한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출발로 불리는 이 운동에 참여하였다.
*1961년 파리비엔날레 선외 10인으로 선정
 
*1961년-1993년 서울대 미술대 회화과 교수
 
*1969년-1971년 문화재 전문위원
 
*1961년-1970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예술인 총연맹 예술윤리위원
 
*한국미술대전 운영위원
 
*한국미술협회 국제위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전시'''==
+
===[[모노크롬 회화]]의 영향===
* 1957년, 자유 초대 미술전, 서울
+
1970년대 들어 전통적인 정신성과 절제된 미의식을 추구한 '[[모노크롬 회화]]'가 화단의 주류가 되었다. 정창섭 또한 서양의 유화를 버리고 닥종이와 수성물감을 사용하여 동양의 수묵화와 같이 번지고 스미는 보다 '자연스러운' 조형을 시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전통 소재인 한지로 돌아온 그는 지속적으로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과 같은 이항적인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는 작품세계를 모색하였다.<br/>
* 1957년, 한국 현대작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그의 작업방식은 물에 불린 한지를 바탕 위에 올려 손으로 주무르며 최소한의 절제된 표현을 남기는 것이다. 재료와의 직접적이고 섬세한 교감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표현 작업은 재료가 지닌 물질적 속성을 최대한 살려내고 작가의 의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양자가 화면 위에서 하나가 되도록 하는 조형적 의도를 담은 것이다.  
* 1958년-1969년, 현대작가 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61년, 제2회 파리 비엔날레, 파리
 
* 1962년, 제1회 사이공 국제 비엔날레, 사이공
 
* 1962년, 한국 현대작가 33인전
 
* 1962년, 한국 현대작가 초대전, 마닐라
 
* 1962년, 국제 자유 미술전, 동경
 
* 1962년-1964년, 악듀엘전, 경복궁갤러리
 
* 1963년, 제3회 문화자유 초대전
 
* 1965년, 제1회 대한민국 국민미술전
 
* 1965년, 제8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상파울로
 
* 1965년, 극동작가 초대전, 뉴욕 메이시백화점
 
* 1966년, 제2회 한국 현대판화가 10인 초대전, 신세계미술관
 
* 1966년, 말레이시아 한국 현대미술전, 말레이시아
 
* 1966년, 제5회 문화자유 초대전
 
* 1966년-1972년, ISPAA전, 서울, 오사카
 
* 1968년, 한국 현대회화전, 동경 국립근대미술관
 
* 1969년, 제1회 까뉴 국제 회화제, 칸느
 
* 1969년, 제1회 피스토이아 국제 회화 비엔날레, 피스토이아
 
* 1969년-1972년, 한국 현대회화전, 인도, 아프가니스탄, 네팔 등
 
* 1970년, 단체전, 공간화랑
 
* 1972년, 한국 현대미술전, 동경 하루구화랑
 
* 1973년, 한국 현대미술전, 하와이 다운타운갤러리
 
* 1974년, 제3회 인도 트리엔날레, 인도
 
* 1974년, 제10회 아세아 현대미술전, 동경
 
* 1977년, 한국 현대미술대전 :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8년, 워크 온 페이퍼전, 견지화랑
 
* 1978년,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년, 중앙 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년, 한국미술-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79년, 한국 현대작가전, 뉴질랜드
 
* 1980년, 국제 판화 드로잉 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년, 제1회 국제미술교류전, 세종 문화회관
 
* 1981년, 현대작가 드로잉전, 동산방화랑, 아트코아화랑
 
* 1981년-1984년, 오늘의 작가전, 미술회관
 
* 1982년, 한국 현대미술 위상전, 교토 시립미술관
 
* 1982년-1983년, 현대종이의 조형-한국과 일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년, 한국 현대미술전, 밀라노
 
* 1983년,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하나의 양상, 동경도미술관
 
* 1983년, 한국 전위 창작 7인전, 대북 일화랑
 
* 1983년, 한.미 판화 드로잉 교류전
 
* 1983년, 한국 현대미술 7인의 작업전, 진화랑
 
* 1983년-1995년, 에꼴 드 서울전, 관훈미술관
 
* 1983년 5월 18일-5월 27일, 개인전, 진화랑
 
* 1984년, 초대전, L.A아트코아센터
 
* 1984년, 오늘의 미술-수상작품에서 파트 1,83 컬렉션을 중심으로, 동경도미술관
 
* 1984년, 서울 현대미술제, 미술회관
 
* 1984년, 60년대의 한국미술, 앙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미술관
 
* 1984년, 한국 현대미술전, 대북 시립미술관
 
* 1984년, 한국 현대미술 8인의 흰색전, 프랑스문화원
 
* 1984년 9월 7일-21일, 개인전, 두손갤러리
 
* 1985년, SPACAE85전, 말레이지아
 
* 1985년, 한국양화 70년전
 
* 1985년, 초대전, 아트코아 센터
 
* 1985년,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년, 현대 한국인의 종이예술, 센추럴워싱턴대학
 
* 1985년, 개인전, 우에다갤러리
 
* 1985년, 개인전, 두손화랑
 
* 1985년, 개인전, 청탑화랑
 
* 1985년 12월 21일-12월 30일, 초대 개인전, 청탑화랑, 동경 상전갤러리
 
* 1986년, '86 서울.아시아현대미술전
 
* 1986년,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 금석한국 고미술과 한국 현대미술전, 교토
 
* 1986년, 살롱 데자르띠스뜨프랑세, 파리 그랑팔레
 
* 1987년, 한국 현대미술 4인전, 삿포로
 
* 1987년, 제8회 오늘의 작가전, 관훈미술관
 
* 1988년, 현대회화 70년대의 흐름, 워커힐미술관
 
* 1988년, 한국미술의 모더니즘 : 1970-79전, 현대미술관
 
* 1988년, 국제 현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 아트.국제현대미술관 한국의 4인전, 동경화랑
 
* 1989년, 중국 현대미술전, 북경 궁성박물관
 
* 1989년, 단체전, 북경 궁성박물관
 
* 1989년, 히로시마의 마음전, 광도 현대미술관
 
* 1990년, 90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년, 현실과 발언 10년전, 관훈미술관
 
* 1990년, 탈장르의 기수전, 현대무역센타
 
* 1990년, 1945-1990 판문점과 브란덴부르그전, 시공화랑
 
* 1990년, 한국 현대미술-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0년, 90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1년, 오늘의 작가 9인전, 진화랑
 
* 1991년, 한국 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I부전, 한원갤러리
 
* 1991년, 제2회 도쿄 아트 엑스포
 
* 1991년, 충북 아트 페스티발-제1부 : 원로작가전, 창갤러리
 
* 1991년, 충북 미술작품 순회전, 청주 국립박물관 외 5곳 순회
 
* 1991년, 현대미술 5인전, 한국미술관
 
* 1991년, 한국 현대미술 초대전, 선재 현대미술관
 
* 1991년, 한국 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갤러리
 
* 1991년, 리버풀 테이트 갤러리 출품작가 6인전, 나비스화랑
 
* 1991년,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로, 동경미술관
 
* 1991년, 현대미술 25인전, 현대화랑
 
* 1992년, 자연과 함께, 테이트화랑
 
* 1992년, 한국 현대미술전, 선재 현대미술관
 
* 1993년, 한국 현대미술 12인전, 궁성현미술관
 
* 1993년-1995년, Nicaf Yokohama-국제 현대미술, 요코하마 등
 
* 1993년 11월 3일-22일, 개인전, 호암갤러리
 
* 1994년, 서울 국제 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현대 한국회화전, 호암갤러리
 
* 1994년, 한국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개인전, 동경화랑
 
* 1995년,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5년, 앱소루트 L.A. 인터내셔널 비엔날레 인비테이셔널 1995, 마크무어갤러리
 
* 1995년, 서울 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5년, 한국 현대미술 파리전, 코르들리에미술관
 
* 1995년, 한국의 자연 : 명상-표출, 박여숙화랑
 
* 1995년, 국내외 작가 52인전, 현대갤러리
 
* 1996년 2월 1일-25일, 1970년대 한국의 모노크롬, 현대갤러리
 
* 1996년 5월 15일-6월 30일,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미술관
 
* 1996년, 블랙 앤 화이트, 서미갤러리
 
* 1996년, 개인전, 현대갤러리
 
* 1996년 7월, 서울대 개교50주년 기념 미술대학 동창전, 서울대학교 박물관
 
* 1996년 10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한국현대미술전, 서울대학교 박물관
 
* 1996년 11월 5일-11월 20일, 개인전, 갤러리현대
 
* 1997년 6월 11일-18일, 97 바젤국제아트페어, 스위스 바젤
 
* 1997년 5월, 한국현대미술 7인전, 마산문화방송 아트홀
 
* 1997년 6월, 한국미술의 지평을 열면서, 갤러리우덕
 
* 1998년, 정부 소장 미술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8년, 아름다운 성찬, 국립현대미술관
 
* 1998년 5월 15일-9월 6일, 침묵의 화가, 몽벨리야르미술관
 
* 1998년, 제6회 호주 아트페어, 멜버른
 
* 1999년, 개인전, 시공화랑
 
* 1999년, 개인전, 동경화랑
 
* 1999년, 한국미술 50년 : 1950-1999, 현대갤러리
 
* 1999년 10월 19일-10월 30일, 개인전, 박여숙화랑
 
* 2000년, 정신으로서의 평면, 부산시립미술관
 
* 2000년, 제3회 광주 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 2000년, 정신의 풍경, M갤러리
 
* 2000년, 스스로 自 그러할 然, 포스코미술관
 
* 2000년, 조선조 백자와 현대미술전, 박여숙화랑
 
* 2000년 10월 4일, 현대미술 12인전, 서화갤러리
 
* 2000년, 한국 현대미술의 시원, 국립현대미술관
 
* 2000년 2월 18일-3월 5일, 새천년의 지평전, 갤러리현대
 
* 2000년 3월 17일-5월 14일,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 2001년 9월 4일, 개인전, 표갤러리
 
* 2002년 2월 3일-28일, 시카고 아트페어, 박여숙화랑
 
* 2003년, 쾰른 아트페어, 박여숙화랑
 
* 2003년, 한-일 현대회화전, 진화랑
 
* 2003년 4월 1일-12일, 개인전, 유로갤러리
 
* 2004년, 개인전, 조현갤러리
 
* 2004년 9월 25일-10월 31일,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
 
  
=='''수상'''==
+
===한국적 [[추상미술]] 성립===
*서울대 미술대 졸업미술전람회 총장상
+
이후 그는 사각의 엄격한 면 분할과 재료의 질감이 만들어내는 조형적 긴장감, 그리고 단일한 금욕적 색채로 대변되는 그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심화하였다. 이렇게 추상이라는 서구의 조형원리에 전통적인 미의식을 조화시키려 한 정창섭의 작품은 한국적인 [[추상미술|추상회화]] 성립의 의미 있는 결과 가운데 하나라 할 것이다.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1955년, 제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1962년, 제1회 사이공 국제 비엔날레 동상 및 ESSO상 베트남
 
*1980년,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문예진흥원
 
*1987년, 제3회 중앙 문화대상-예술상 중앙일보사
 
*1993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주요작품'''==
+
===학력===
<gallery>
+
*1951년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 | [[최대섭-고려대장경]]
+
===경력===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gallery>
+
*문화재 전문위원, 한국미술협회 고문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
===전시===
 +
*1957  한국현대작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61  제2회 파리비엔날레, 파리
 +
*1965  제8회 상파울로비엔날레, 상파울로
 +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 국립근대미술관
 +
*1969  제1회 까뉴 국제회화제, 까뉴
 +
*1974  제3회 인도트리엔날레, 뉴델리
 +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하나의 양상, 동경도미술관
 +
*1984  60년대의 한국미술, 앙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미술관
 +
*1990  한국 현대미술-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1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로, 동경미술관
 +
*1992  한국 현대미술전, 선재현대미술관
 +
*1995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6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미술관
 +
*2000  제3회 광주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
*2000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
*2004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
  
=='''민족기록화'''==
+
===수상===
<gallery>
+
*1953, 55 제2, 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1962  제1회 사이공국제비엔날레 동상 및 ESSO상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1980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1987  제3회 중앙문화대상 예술상, 중앙일보사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1993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gallery>
 
  
=='''관련 항목'''==
+
=='''지식 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6/C006.htm "화랑도의 수련"(정창섭) 지식관계망]
!항목A||width="33%"|항목B||width="33%"|관계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정약용과 저술"(정창섭)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3/C043.htm "태백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6/C00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3/C04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태백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창섭]]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A는 B를 그렸다
+
| [[현대미술가협회]]|| [[정창섭]]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A는 B를 그렸다
+
| [[한국미술협회]]|| [[정창섭]]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정창섭-태백산전투]]||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앵포르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정창섭-인천항도크]]||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모노크롬 회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추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그래프'''==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정창섭-묵고.JPG |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 소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7090&cid=46717&categoryId=46765 묵고 No.9606]", 미술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닥.jpg|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624 닥 No. 85099]",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정창섭_묵고9680.jpg| 묵고(默考) 9608,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3727 묵고 No.9608]",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사이트
+
*'''[sojinsu1]정창섭 "묵고"(2015), 조현화랑 페로탱갤러리, Chung Chang-Sup "meditation", Johyun Gallery & Galerie Perrotin(게시일: 2015년 9월 25일)'''
**[http://monthlyart.com/dicwho/%EC%A0%95%EC%B0%BD%EC%84%AD-2/ "정창섭", 월간미술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6일 확인)
+
<html>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30000000165/3/70030000000165/20110225/35112017/1 고미석,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일보』, 2011. 02. 25.] (2017년 3월 16일 확인)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afG2IJRD9F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tp://www.fnnews.com/news/201008052036110012?t=y 박현주, "(26)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 정창섭 화백", 『파이낸셜뉴스』, 2010. 08. 05.] (2017년 3월 16일 확인)
+
</html>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22960831 닥종이로 만든 단색화...정창섭 화백 유작전, 『한국경제』, 2016. 03. 01.] (2017년 3월 16일 확인)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603 "정창섭", 예술자료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5일 확인)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12 박득순, 금성출판사, 1982.
 +
#*『박득순화집』, 동아일보사, 1990.
 +
 
 +
===유용한 정보===
 +
# "[http://monthlyart.com/dicwho/%EC%A0%95%EC%B0%BD%EC%84%AD-2/ 정창섭]",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603 정창섭]",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고미석,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30000000165/3/70030000000165/20110225/35112017/1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동아일보』<sup>online</sup></online></html>, 2011년 02월 25일.
 +
# 박현주, "[http://www.fnnews.com/news/201008052036110012?t=y (26)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 정창섭 화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파이낸셜뉴스』<sup>online</sup></online></html>, 2010년 08월 05일. 
 +
# 김경갑,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22960831 닥종이로 만든 단색화...정창섭 화백 유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경제』<sup>online</sup></online></html>, 2016년 03월 01일.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
[[분류:민족/교열완료]]

2017년 12월 24일 (일) 20:22 기준 최신판


정창섭(丁昌燮)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정창섭
한자표기 丁昌燮
영문명칭 Chung Chang-sub
생몰년 1927년 9월 22일-2011년 2월 24일
출생지 충북 청주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27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출생하였다.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미술교육을 받은 첫 세대이자 우리나라 현대미술에 있어서도 첫 세대 화가라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하였다. 그는 우리 화단의 본격적인 추상미술운동에 가담한 이래 전통과 현대라는 두 가치의 조화를 통해 자신의 회화세계를 세우려는 작업을 지속하였다.

앵포르멜 운동에 참여

1950년대 후반 전쟁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시대상황 속에서 젊은 작가들은 미술계를 비롯한 기성체제에 대한 저항과 도전의식을 담은 실험적인 예술을 시도하였다. 불안하고 어두운 격정을 담은 추상표현주의 양식인 소위 '앵포르멜(Informel) 회화'가 그것이다. 정창섭 또한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출발로 불리는 이 운동에 참여하였다.

모노크롬 회화의 영향

1970년대 들어 전통적인 정신성과 절제된 미의식을 추구한 '모노크롬 회화'가 화단의 한 주류가 되었다. 정창섭 또한 서양의 유화를 버리고 닥종이와 수성물감을 사용하여 동양의 수묵화와 같이 번지고 스미는 보다 '자연스러운' 조형을 시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전통 소재인 한지로 돌아온 그는 지속적으로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과 같은 이항적인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는 작품세계를 모색하였다.
그의 작업방식은 물에 불린 한지를 바탕 위에 올려 손으로 주무르며 최소한의 절제된 표현을 남기는 것이다. 재료와의 직접적이고 섬세한 교감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표현 작업은 재료가 지닌 물질적 속성을 최대한 살려내고 작가의 의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양자가 화면 위에서 하나가 되도록 하는 조형적 의도를 담은 것이다.

한국적 추상미술 성립

이후 그는 사각의 엄격한 면 분할과 재료의 질감이 만들어내는 조형적 긴장감, 그리고 단일한 금욕적 색채로 대변되는 그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심화하였다. 이렇게 추상이라는 서구의 조형원리에 전통적인 미의식을 조화시키려 한 정창섭의 작품은 한국적인 추상회화 성립의 의미 있는 결과 가운데 하나라 할 것이다.

학력

경력

전시

  • 1957 한국현대작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61 제2회 파리비엔날레, 파리
  • 1965 제8회 상파울로비엔날레, 상파울로
  •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 국립근대미술관
  • 1969 제1회 까뉴 국제회화제, 까뉴
  • 1974 제3회 인도트리엔날레, 뉴델리
  •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하나의 양상, 동경도미술관
  • 1984 60년대의 한국미술, 앙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미술관
  • 1990 한국 현대미술-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1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로, 동경미술관
  • 1992 한국 현대미술전, 선재현대미술관
  • 1995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6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미술관
  • 2000 제3회 광주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 2000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 2004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

수상

  • 1953, 55 제2, 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 1962 제1회 사이공국제비엔날레 동상 및 ESSO상
  • 1980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 1987 제3회 중앙문화대상 예술상, 중앙일보사
  • 1993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태백산전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인천항도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 서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창섭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현대미술가협회 정창섭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한국미술협회 정창섭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정창섭 앵포르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창섭 모노크롬 회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창섭 추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sojinsu1]정창섭 "묵고"전(2015), 조현화랑 페로탱갤러리, Chung Chang-Sup "meditation", Johyun Gallery & Galerie Perrotin(게시일: 2015년 9월 25일)

주석

  1. "묵고 No.9606", 미술작품,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닥 No. 85099",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묵고 No.9608",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12 박득순, 금성출판사, 1982.
    • 『박득순화집』, 동아일보사, 1990.

유용한 정보

  1. "정창섭",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2. "정창섭",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online, 예술자료원.
  3. 고미석,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일보』online, 2011년 02월 25일.
  4. 박현주, "(26)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 정창섭 화백", 『파이낸셜뉴스』online, 2010년 08월 05일.
  5. 김경갑, "닥종이로 만든 단색화...정창섭 화백 유작전", 『한국경제』online, 2016년 03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