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오승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작가정보_김지선 |국문명 = 오승윤 |한자명 = 吳承潤 |영문명 = Oh Seung Yoon |출생 - 사망 = 1939 - 2006.01.13 |출생지 = 전남 화순 |국적 = 대한민...)
 
잔글 (전시)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오승윤
+
{{작가정보
|한자명 = 吳承潤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영문명 = Oh Seung Yoon
+
|사진출처= 
|출생 - 사망 = 1939 - 2006.01.13
+
|대표명칭 = 오승윤
|출생지 = 전남 화순
+
|한자표기 = 吳承潤
 +
|영문명칭 = Oh Seung Yoon
 +
|본명 =
 +
|호 = 
 +
|생년 =  1939년 -
 +
|몰년 =   2006년 1월 13일
 +
|출생지 = 황해도 개성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7521 십장생도]
+
|필드수 =
|이미지 출처 = <ref>[http://senior.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27/2014022700961.html 시니어조선 온라인서비스] (2017월 3월 12일 확인)</ref>
 
|image = 오승우.jpg
 
 
}}
 
}}
 +
=='''정의'''==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작가소개'''==
+
=='''내용'''==
[[오승윤]][[오지호]] 화백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조선 대학교 부속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나왔으며 홍익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의 아카데미 드 라그랑드 쇼미에르 등에서 공부했다. 특히 한국의 자연과 전통 문화 등을 표현한 구상 미술에 몰두했다.<br/>
+
오승윤은 화가 [[오지호]]의 둘째 아들로 1939년 황해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해방 후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화순으로 이사하였다. 의사를 꿈꾸었으나 전국학생실기대회에서 최고상을 받은 후 미술로 진로를  바꿨다. [[홍익대학교]]졸업하고 프랑스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 등에서 수학했다.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창설에 참여하여 교수로 재직하다가 프랑스에서 돌아온 교수직을 버리고 화업에 전념하였다. 1970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연 6회 특선하였고 추천작가, 초대작가로 활동하였다.  
1982년 전남 대학교 예술 대학을 창설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다가 그 전업 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1970년부터 국전 연 6회 특선을 수상하였고 1977년 국전 추천 작가와 1981년 초대 작가가 되었으며 1993년 한국 자연 대전 운영 위원장과 1992년 국립 현대 미술관 원로 작가 회화전 운영 위원, 1995년 대한 민국 미술 대전 심사 위원, 운영 위원을 역임하였다.<br/>
 
1996년 선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1998년 프랑스 파리 제 3회 살롱 쿠 드 쾰르 60인 초대전, 1999년 GALERIE ALEXANDRE LEADOUZE에서 개인전, 2000년 일본 삿포로에서 2000 한국 현대 미술 작가전, 2000년에 프랑스(REIMS), 일본(도쿄), 이태리(피렌체), 한국(광주)에서 동·서양의 끝없는 미의 신비를 향한 여행전을 개최하였다.<br/>
 
이어서 2002년 한·불 구상 회화전을 광주 신세계 갤러리, 2003년 살롱 도톤느전을 파리 도떼이유 전시장, 2004년 광주 비엔날레 한국 특급전에 참여하였다. 2008년 광주 시립 미술관에서 올해의 작가전 오승윤전이 개최되었다. 그러나 화상의 계약 위반으로 인해 우울증과 정신적 고통으로 스스로 세상을 등진 비운의 작가이다.<br/><ref>[http://hwasun.grandculture.net/Contents?local=hwasun&dataType=01&contents_id=GC05601181 오승윤, 디지털화순문화대전 온라인 서비스]</ref> (2017년 3월 12일 확인)
 
  
=='''학력'''==
+
===작품 세계===
*1964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
초기에 그는 단단한 묘사에 기초를 두고 우리나라의 자연과 전통을 소재로 한 사실적인 작풍을 구사하였다. 프랑스에서 돌아온 이후부터는 회화에 전념하면서 변화를 시도하여 전통적인 색채와 정신을 작품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오방색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의 색채를 활용하여 음양오행의 원소들과 기운을 독창적인 형태로 재현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일상의 이미지들을 재구성한 화면이 그것이다. 전통적인 우주의 질서와 정신세계를 종합하여 자신의 회화적 언어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그의 작품들은 국외에서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
 +
===학력===
 +
*1964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경력'''==
+
===경력===
*1974-1977 전남도전 심사위원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1977-1981 국전 추천ㆍ초대작가
+
* 전남도전,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1982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예술대학 교수
+
* [[전남대학교]] 교수
*1984 제4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1992 원로작가 회화전 운영위원
 
*1992 서울미술대전 추진위원
 
*1993 한국자연대전 운영위원장
 
  
=='''전시'''==
+
===전시===
*1970 [개인전] 광주
+
* 1969  한국현대작가전, 공보부
*1977 [개인전] 광주 전일미술관
+
* 1977 한국서양화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78 [개인전] 광주 전일미술관
+
* 1985  [[르 살롱]] 한국특별전, 파리 그랑팔레
*1979 [개인전] 서울 신문회관
+
*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1980 [개인전] 광주 현대화랑 초대
+
* 1990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 예술의전당
*1984 [개인전] 서울 롯데미술관
+
* 1990  자연과 인간, 국립현대미술관 
*1984 [개인전] 파리
+
* 1993  한국의 풍속화가, 대전엑스포문예회관
*1996 [개인전] 서울 선화랑
+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 1995  유네스코 한국50인전, 파리 유네스코본부
 +
* 1998  아름다운 성찬, 국립현대미술관
 +
* 2001  남북평화미술축전, 세종문화회관
 +
* 2002  파리국제트리엔날레 현대미술전
 +
* 2004  광주비엔날레
 +
* 2005  북경비엔날레
 +
* 2008  올해의 작가전, 광주시립미술관
  
*1983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수상===
*1984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 1969  제4회 전남도전 최고상
*1985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 1970  제5회 [[목우회]] 공모전 최고상,
*1987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 1975  제25회 국전 문공부장관상
*1990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 1996  몬테카를로 국제현대미술전 EJA특별상
*1992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 2004  UN IAEWP 세계평화교육자상
  
*1986 [단체전]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지식 관계망'''==
*1988 [단체전] 동서양화20인초대전 (광주 남봉미술관)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1/C041.htm "동학교주 전봉준(오승윤)" 지식관계망]'''
*1990 [단체전]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92서울미술대전(1992, 서울시립미술관), SALON D'AUTOMNE 초대출품(1993, 파리), 한국자연대전(1993, 서울시립미술관),  UNESCO 한국50인전(파리 UNESCO본부), 서울국제현대미술제(1994, 국립현대미술관), A. BONNEFOIT / 오승윤 2인전(서울ㆍ광주 신세계갤러리), 선묘와 색채의 향연(1996, 광주 신세계갤러리), 아름다운 성찬(1998, 국립현대미술관), 정부 소장미술품 특별전(1998, 국립현대미술관), A. BONNEFOIT / FABIO CALVETTI / 오승윤 / SUGIYAMA-YU 3인 순회전(2000-01, 이탈리아, 프랑스, 한국, 일본), 한일현대미술전(2001, 일본), 한불작가구상회화특별전(2002, 서울ㆍ광주ㆍ인천ㆍ부산ㆍ대구), SALON DE PRINTEMPS(2003)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수상'''==
 
*1969 제5회 목우회 공모전 최고상
 
*1969 제5회 전남도전 최고상
 
*1975 제25회 국전 문공부장관상
 
*2004 UN IAEWP 세계평화교육자상
 
 
 
=='''주요작품'''==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파일:오승우-법당내부.jpg|[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07 법당내부, 1957년, 국전 특선]
 
</gallery>
 
 
 
 
 
=='''민족기록화'''==
 
<gallery>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오승윤-구미전자공업]]
 
</gallery>
 
 
 
 
 
=='''그래프'''==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오승윤.htm 임시]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오승윤.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1/C04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9/C079.htm "구미전자공업(오승윤)" 지식관계망]'''
=='''관련 항목'''==
+
*'''[http://dh.aks.ac.kr/Encyves/Graph/C803/C803.htm "르 살롱" 지식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관계정보===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오승윤]]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오승윤]]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오승윤]] || [[홍익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오승윤]] ||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 ||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오승윤]]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A는 B를 그렸다
+
| [[목우회]] || [[오승윤]]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A는 B를 그렸다
+
| [[오승윤]]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오지호]] || A는 B의 아들이다
+
| [[오승윤]] || [[구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오승윤]] || A는 B의 형제이다
+
| [[오승윤]] || [[르 살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http://naa.go.kr 대한민국예술원] || A는 B의 회원이다
+
| [[오승윤]] || [[오지호]] || A는 B의 아들이다 || A ekc:hasFather B
 
|-
 
|-
|{{PAGENAME}} ||[http://www.mokwoohoe.com 목우회] || A는 B의 회원이다
+
| [[오승윤]] || [[오승우]] || A는 B와 형제이다 || A ekc:hasBrother B
 
|-
 
|-
|{{PAGENAME}} ||[[구상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사이트
+
===갤러리===
[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00 "오승우",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소개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0일 확인)<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465#10 "오승우", 예술자료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0일 확인)<br/>
+
파일:오승윤-대한.jpg| 대한, 1973, 캔버스에 유채, 19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1890 대한]",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tp://people.artmusee.com/ohsw 오승우 작가 개인홈페이지]<br/>
+
파일:오승윤-해녀도.jpg|해녀도, 1985, 캔버스에 유채, 192.5x33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ref>"[http://211.252.37.150/search_artwork/search/collectionDetail.php?artwork_no=PA-0191&lang=ko 해녀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광주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tp://museum.muan.go.kr/home/museum 무안군 오승우기념관] <br/>
+
파일:오승윤-회상.jpg|회상, 1995,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4097 회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tp://jeonlado.com/v3/detail.php?number=13466&thread=23r03r11 전라도닷컴, 변길현의 미미다방(18)-화가 오승우]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오승윤_바람과물의역사.jpg| 바람과 물의 역사, 2004, 캔버스에 유채, 210x610cm (삼면화)<ref>다다, "[http://blog.naver.com/jojako/40207215188 오승윤展]", <html><online style="color:purple">『jojako님의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02월 24일.</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파일: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사이트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466 오승윤]",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http://www.namdoart.net/bbs/bbs/board.php?bo_table=artist01&wr_id=64 오승윤]", 우리시대의 작가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광주미술문화연구소』<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2017년 12월 24일 (일) 21:33 기준 최신판


오승윤(吳承潤)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오승윤
한자표기 吳承潤
영문명칭 Oh Seung Yoon
생몰년 1939년 --2006년 1월 13일
출생지 황해도 개성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오승윤은 화가 오지호의 둘째 아들로 1939년 황해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해방 후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화순으로 이사하였다. 의사를 꿈꾸었으나 전국학생실기대회에서 최고상을 받은 후 미술로 진로를 바꿨다.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 등에서 수학했다.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창설에 참여하여 교수로 재직하다가 프랑스에서 돌아온 후 교수직을 버리고 화업에 전념하였다. 1970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연 6회 특선하였고 추천작가, 초대작가로 활동하였다.

작품 세계

초기에 그는 단단한 묘사에 기초를 두고 우리나라의 자연과 전통을 소재로 한 사실적인 작풍을 구사하였다. 프랑스에서 돌아온 이후부터는 회화에 전념하면서 변화를 시도하여 전통적인 색채와 정신을 작품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오방색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의 색채를 활용하여 음양오행의 원소들과 기운을 독창적인 형태로 재현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일상의 이미지들을 재구성한 화면이 그것이다. 전통적인 우주의 질서와 정신세계를 종합하여 자신의 회화적 언어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그의 작품들은 국외에서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학력

경력

전시

  • 1969 한국현대작가전, 공보부
  • 1977 한국서양화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르 살롱 한국특별전, 파리 그랑팔레
  •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 예술의전당
  • 1990 자연과 인간, 국립현대미술관
  • 1993 한국의 풍속화가, 대전엑스포문예회관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5 유네스코 한국50인전, 파리 유네스코본부
  • 1998 아름다운 성찬, 국립현대미술관
  • 2001 남북평화미술축전, 세종문화회관
  • 2002 파리국제트리엔날레 현대미술전
  • 2004 광주비엔날레
  • 2005 북경비엔날레
  • 2008 올해의 작가전, 광주시립미술관

수상

  • 1969 제4회 전남도전 최고상
  • 1970 제5회 목우회 공모전 최고상,
  • 1975 제25회 국전 문공부장관상
  • 1996 몬테카를로 국제현대미술전 EJA특별상
  • 2004 UN IAEWP 세계평화교육자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오승윤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오승윤-구미전자공업 오승윤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오승윤 홍익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오승윤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오승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목우회 오승윤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오승윤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승윤 구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승윤 르 살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승윤 오지호 A는 B의 아들이다 A ekc:hasFather B
오승윤 오승우 A는 B와 형제이다 A ekc:hasBrother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대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해녀도",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3. "회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4. 다다, "오승윤展", 『jojako님의 블로그』online, 작성일: 2014년 02월 24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사이트
    • "오승윤",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 "오승윤", 우리시대의 작가들, 『광주미술문화연구소』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