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박문수 초상(반신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박문수 초상(반신상).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박문수 초상(반신상).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11890100,34&queryText=&cultnm=%EB%B0%95%EB%AC%B8%EC%88%98%20%EC%B4%88%EC%83%81 박문수 초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대표명칭= 박문수 초상(반신상)
 
|대표명칭= 박문수 초상(반신상)
 
|한자명칭= 朴文秀 肖像
 
|한자명칭= 朴文秀 肖像
21번째 줄: 21번째 줄:
 
<박문수 초상>은 반신상으로 [[고령 박씨]] 종중에 전해 내려오다 현재는 [[천안박물관]]에 대여 전시 중이다. 홍색 [[단령]]을 입고 [[사모]]를 쓴 모습을 흉부까지만 그렸는데 얼굴의 모습과 표현법이 함께 전해오는 <[[박문수 공신도상]]>과 거의 유사하여 같은 시기인 1728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ref>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56쪽.</ref><br/>
 
<박문수 초상>은 반신상으로 [[고령 박씨]] 종중에 전해 내려오다 현재는 [[천안박물관]]에 대여 전시 중이다. 홍색 [[단령]]을 입고 [[사모]]를 쓴 모습을 흉부까지만 그렸는데 얼굴의 모습과 표현법이 함께 전해오는 <[[박문수 공신도상]]>과 거의 유사하여 같은 시기인 1728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ref>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56쪽.</ref><br/>
 
[[박문수]]의 [[반신상]]은 부산에 또 1점이 전해오는데 [[단령]]을 입고 1품관이 착용하는 [[서대]]를 착용했고 얼굴도 노년의 모습이다. 38세 무렵의 젊은 모습을 그린 <박문수 초상> 반신상과 그 모습이 비교가 된다.<br/>  
 
[[박문수]]의 [[반신상]]은 부산에 또 1점이 전해오는데 [[단령]]을 입고 1품관이 착용하는 [[서대]]를 착용했고 얼굴도 노년의 모습이다. 38세 무렵의 젊은 모습을 그린 <박문수 초상> 반신상과 그 모습이 비교가 된다.<br/>  
<박문수 초상>에는 상단에 그의 친구였던 [[박문수 초상(반신상) 조현명의 찬문|조현명의 찬문]]이 있어 교유관계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화법의 정교함이 두드러지는 뛰어난 작품이다.
+
<박문수 초상>에는 상단에 그의 친구였던 [[조현명의 박문수 초상(반신상) 찬문|조현명의 찬문]]이 있어 교유관계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화법의 정교함이 두드러지는 뛰어난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초상에 묘사된 모습===
<박문수 초상>은 홍색 [[단령]]을 입고 [[사모]]를 쓴 모습의 반신상으로 그림의 우측상단에는 분무공신으로 함께 녹훈되었던 [[조현명]]의 다음과 같은 [[박문수 초상(반신상) 조현명의 찬문|찬문]]이 있다.  
+
<박문수 초상>은 홍색 [[단령]]을 입고 [[사모]]를 쓴 모습의 반신상으로 그림의 우측상단에는 분무공신으로 함께 녹훈되었던 [[조현명]]의 다음과 같은 [[조현명의 박문수 초상(반신상) 찬문|찬문]]이 있다.  
 
{{blockquote
 
{{blockquote
 
|하늘에 기대어 부르짖고 칼을 들어 춤을 춘다. 이는 나의 벗 박성보를 이름이지.<br/>倚天而號, 提釖而舞, 此謂吾友朴成甫也.
 
|하늘에 기대어 부르짖고 칼을 들어 춤을 춘다. 이는 나의 벗 박성보를 이름이지.<br/>倚天而號, 提釖而舞, 此謂吾友朴成甫也.
 
|출처= 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ref>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ref>
 
|출처= 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ref>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ref>
 
}}
 
}}
이 [[박문수 초상(반신상) 조현명의 찬문|찬문]]의 내용은 초상화를 보고는 도무지 상상하기 어려운 모습으로 [[박문수]]를 아는 [[조현명]]이 초상화가 표현하지 못하는 [[박문수]]의 활약상을 단일한 문구로 보태어 넣었다.<ref>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ref><br/>
+
이 [[조현명의 박문수 초상(반신상) 찬문|찬문]]의 내용은 초상화를 보고는 도무지 상상하기 어려운 모습으로 [[박문수]]를 아는 [[조현명]]이 초상화가 표현하지 못하는 [[박문수]]의 활약상을 단일한 문구로 보태어 넣었다.<ref>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ref><br/>
 
얼굴은 젊은 모습으로 수염이 그리 많지 않으며 단아한 인상이면서도 예리한 눈매와 곧게 선 콧날, 굳게 다문 입술에서 명석한 [[박문수]]의 풍모가 잘 전해진다.<ref>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56쪽.</ref>
 
얼굴은 젊은 모습으로 수염이 그리 많지 않으며 단아한 인상이면서도 예리한 눈매와 곧게 선 콧날, 굳게 다문 입술에서 명석한 [[박문수]]의 풍모가 잘 전해진다.<ref>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56쪽.</ref>
  
43번째 줄: 43번째 줄:
 
| [[박문수 초상(반신상)]] || [[천안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박문수 초상(반신상)]] || [[천안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박문수 초상(반신상)]] || [[박문수 초상(반신상) 조현명의 찬문|조현명의 찬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박문수 초상(반신상)]] || [[조현명의 박문수 초상(반신상) 찬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박문수 초상(반신상) 조현명의 찬문|조현명의 찬문]] ||  [[조현명]]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조현명의 박문수 초상(반신상) 찬문]] ||  [[조현명]]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조현명]] || [[박문수]]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조현명]] || [[박문수]]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72번째 줄: 72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박문수 초상(반신상).jpg|[[박문수 초상(반신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11890100,34&queryText=&cultnm=%EB%B0%95%EB%AC%B8%EC%88%98%20%EC%B4%88%EC%83%81 박문수 초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주석'''==
 
=='''주석'''==
88번째 줄: 92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4일 (금) 02:21 기준 최신판


박문수 초상(반신상)
"박문수 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한자명칭 朴文秀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728년경
소장처 천안박물관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189-1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59.9×45.3㎝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박문수(1691~1756)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박문수 초상>은 반신상으로 고령 박씨 종중에 전해 내려오다 현재는 천안박물관에 대여 전시 중이다. 홍색 단령을 입고 사모를 쓴 모습을 흉부까지만 그렸는데 얼굴의 모습과 표현법이 함께 전해오는 <박문수 공신도상>과 거의 유사하여 같은 시기인 1728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1]
박문수반신상은 부산에 또 1점이 전해오는데 단령을 입고 1품관이 착용하는 서대를 착용했고 얼굴도 노년의 모습이다. 38세 무렵의 젊은 모습을 그린 <박문수 초상> 반신상과 그 모습이 비교가 된다.
<박문수 초상>에는 상단에 그의 친구였던 조현명의 찬문이 있어 교유관계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화법의 정교함이 두드러지는 뛰어난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박문수 초상>은 홍색 단령을 입고 사모를 쓴 모습의 반신상으로 그림의 우측상단에는 분무공신으로 함께 녹훈되었던 조현명의 다음과 같은 찬문이 있다.

Quote-left.png 하늘에 기대어 부르짖고 칼을 들어 춤을 춘다. 이는 나의 벗 박성보를 이름이지.
倚天而號, 提釖而舞, 此謂吾友朴成甫也.
Quote-right.png
출처: 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2]


찬문의 내용은 초상화를 보고는 도무지 상상하기 어려운 모습으로 박문수를 아는 조현명이 초상화가 표현하지 못하는 박문수의 활약상을 단일한 문구로 보태어 넣었다.[3]
얼굴은 젊은 모습으로 수염이 그리 많지 않으며 단아한 인상이면서도 예리한 눈매와 곧게 선 콧날, 굳게 다문 입술에서 명석한 박문수의 풍모가 잘 전해진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문수 초상(반신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박문수 초상(반신상) 박문수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박문수 초상(반신상) 천안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박문수 초상(반신상) 조현명의 박문수 초상(반신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현명의 박문수 초상(반신상) 찬문 조현명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조현명 박문수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사모 박문수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단령 박문수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94년 1월 5일 박문수 초상(반신상)이 보물 제1189-1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64110 127.1630570 박문수 초상(반신상)천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56쪽.
  2. 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
  3. 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81쪽.
  4.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56쪽.
  5. "박문수 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웹 자원
    • 조선미, "박문수 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