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각연사 비로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관계망)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 구조는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세 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개, 2003.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016&cid=42840&categoryId=4285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 구조는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세 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개, 2003.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016&cid=42840&categoryId=42853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괴산 각연사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2/temple_gagye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2017년 11월 22일 (수) 23:35 판
괴산 각연사 비로전 (槐山 覺淵寺 毘盧殿) |
|
대표명칭 | 괴산 각연사 비로전 |
---|---|
한자표기 | 槐山 覺淵寺 毘盧殿 |
영문명칭 | Birojeon at Gagyeonsa Temple, Goesan |
지정번호 | 충북유형문화재 제125호 |
지정일 | 1982년 12월 17일 |
소장처 |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태성리 38) |
관련장소 | 괴산 각연사 |
|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覺淵寺)에 있는 조선시대 법당.
내용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건물. 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한 사찰이라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 건물이다.[1] 이곳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다.[2]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혜종 1)에 중수한 기록이 있고 1648년(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효종 6), 1899(광무 3)에 중수한 기록이 있다. 1975년에 보수하면서 중도리를 빼는 등 도리 상부를 완전히 변형하여 원형을 잃었다.[3]
초석은 신라시대 본래의 원형주좌와 신방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위에 원주를 올렸다. 건물 구조는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내·외2출목, 다포양식이다. 기둥에는 가벼운 배흘림이 있고 정면 세 칸에는 빗살합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 얹은 창방과 평방은 축부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내·외2출목의 두공을 주칸에 2구씩 배열하고 있다.[4]
지식 관계망
- 괴산 각연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 괴산 각연사 | A는 B에 있다 | |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괴산 각연사 비로전 | A는 B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괴산각연사비로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두산백과』online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개, 2003. 온라인참조: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괴산각연사비로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베개, 2003. 온라인참조: "괴산 각연사 비로전", 답사여행의 길잡이: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괴산 각연사 비로전",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