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관계망)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이 나무는 가지가 축 처진 소나무의 한 품종으로, 높이는 6m, 가슴 높이 둘레는 2.9m, 밑동의 둘레는 3.45m이다. 가지의 길이는 동쪽이 8.4m, 서쪽이 9.2m, 남쪽이 10.3m, 북쪽이 10m이다.<ref>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나무는 가지가 축 처진 소나무의 한 품종으로, 높이는 6m, 가슴 높이 둘레는 2.9m, 밑동의 둘레는 3.45m이다. 가지의 길이는 동쪽이 8.4m, 서쪽이 9.2m, 남쪽이 10.3m, 북쪽이 10m이다.<ref>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희귀한 모습을 한 이 나무는 낮게 옆으로 퍼지는 모습 때문에 한때 반송(盤松)<ref>키가 작고 가지가 옆으로 퍼진 소나무.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5431500 반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 국립국어원.</html></ref>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나, 이 나무는 3m 정도의 높이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처진소나무로 본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B%8F%84_%EC%9A%B4%EB%AC%B8%EC%82%AC_%EC%B2%98%EC%A7%84%EC%86%8C%EB%82%98%EB%AC%B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pedia.</ref>  
+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희귀한 모습을 한 이 나무는 낮게 옆으로 퍼지는 모습 때문에 한때 반송(盤松)<ref>키가 작고 가지가 옆으로 퍼진 소나무.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5431500 반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나, 이 나무는 3m 정도의 높이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처진소나무로 본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B%8F%84_%EC%9A%B4%EB%AC%B8%EC%82%AC_%EC%B2%98%EC%A7%84%EC%86%8C%EB%82%98%EB%AC%B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임진왜란과 6·25 전쟁 때에도 수차례 방화로 많은 건물들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으나, 이 처진소나무만은 재앙을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나무에 칡덩굴이 감겨 있어서 불길의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임진왜란 때 운문사 처진소나무는 상당히 컸다고 전해지며,<ref>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나무의 나이는 약 400년 정도로 추정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B%8F%84_%EC%9A%B4%EB%AC%B8%EC%82%AC_%EC%B2%98%EC%A7%84%EC%86%8C%EB%82%98%EB%AC%B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pedia.</ref>  
+
[[임진왜란]]과 [[한국전쟁|6·25 전쟁]] 때에도 수차례 방화로 많은 건물들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으나, 이 처진소나무만은 재앙을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나무에 칡덩굴이 감겨 있어서 불길의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임진왜란]] 때 운문사 처진소나무는 상당히 컸다고 전해지며,<ref>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나무의 나이는 약 400년 정도로 추정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B%8F%84_%EC%9A%B4%EB%AC%B8%EC%82%AC_%EC%B2%98%EC%A7%84%EC%86%8C%EB%82%98%EB%AC%B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를 언제 심었는지 그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ref>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소나무는 고승(古僧)이 시들어진 나뭇가지를 꺾어서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6,01800000,37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청도 운문사|운문사]]에서는 매년 봄에 이 나무에 12말의 막걸리를 물 12말에 타서 뿌려주는 행사를 계속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9523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淸道雲門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doopedia.</ref>
+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를 언제 심었는지 그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ref>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소나무는 고승(古僧)이 시들어진 나뭇가지를 꺾어서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6,01800000,37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청도 운문사|운문사]]에서는 매년 봄에 이 나무에 12말의 막걸리를 물 12말에 타서 뿌려주는 행사를 계속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9523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淸道雲門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청도 운문사 지식관계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70%;"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3/temple_Unmu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 [[청도 운문사]] || A는 B에 있다 ||  
+
|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 [[청도 운문사]] || A는 B에 있다 ||  
|-
 
 
|}
 
|}
  
61번째 줄: 67번째 줄:
 
* 대구지방환경청, 『대구·경북의 천연 기념물 -식물을 대상으로』, 대구지방환경청, 2004.
 
* 대구지방환경청, 『대구·경북의 천연 기념물 -식물을 대상으로』, 대구지방환경청, 2004.
 
* 박상진,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 김영사, 2004.
 
* 박상진,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 김영사, 2004.
* 靈鷲沙門, 「운문사(雲門寺)의 반송(盤松)이라」, 취산보림 vol.2, 1921, 29-31쪽.
 
 
* 이창복, 『원색 대한 식물 도감』, 향문사, 2006.
 
* 이창복, 『원색 대한 식물 도감』, 향문사, 2006.
 
* 이창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287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창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287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임원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354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B%8F%84_%EC%9A%B4%EB%AC%B8%EC%82%AC_%EC%B2%98%EC%A7%84%EC%86%8C%EB%82%98%EB%AC%B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pedia.
+
* "[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B%8F%84_%EC%9A%B4%EB%AC%B8%EC%82%AC_%EC%B2%98%EC%A7%84%EC%86%8C%EB%82%98%EB%AC%B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6,01800000,37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6,01800000,37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9523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淸道雲門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doopedia.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9523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淸道雲門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보물]]
 
[[분류:보물]]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11월 22일 (수) 22:49 기준 최신판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淸道 雲門寺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영문명칭 Weeping Pine Tree of Unmunsa Temple, Cheongdo
한자 淸道 雲門寺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
문화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180호
문화재 지정일 1966년 08월 25일
소유자 청도 운문사
관리자 청도군
크기 높이 6m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소나무.[1]

내용

이 나무는 가지가 축 처진 소나무의 한 품종으로, 높이는 6m, 가슴 높이 둘레는 2.9m, 밑동의 둘레는 3.45m이다. 가지의 길이는 동쪽이 8.4m, 서쪽이 9.2m, 남쪽이 10.3m, 북쪽이 10m이다.[2]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희귀한 모습을 한 이 나무는 낮게 옆으로 퍼지는 모습 때문에 한때 반송(盤松)[3]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나, 이 나무는 3m 정도의 높이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처진소나무로 본다.[4]

임진왜란6·25 전쟁 때에도 수차례 방화로 많은 건물들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으나, 이 처진소나무만은 재앙을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나무에 칡덩굴이 감겨 있어서 불길의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임진왜란 때 운문사 처진소나무는 상당히 컸다고 전해지며,[5] 나무의 나이는 약 400년 정도로 추정된다.[6]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를 언제 심었는지 그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7] 이 소나무는 고승(古僧)이 시들어진 나뭇가지를 꺾어서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8] 운문사에서는 매년 봄에 이 나무에 12말의 막걸리를 물 12말에 타서 뿌려주는 행사를 계속하고 있다.[9]

지식 관계망

  • 청도 운문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청도 운문사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이창복,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임원현,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키가 작고 가지가 옆으로 퍼진 소나무. "반송",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위키백과』online.
  5. 임원현,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위키백과』online.
  7. 임원현, "청도 운문사 처진 소나무",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9.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淸道雲門寺─)",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