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사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상)
(내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사옹원
+
|대표명칭= 별사옹
 
|한자표기= 別司甕
 
|한자표기= 別司甕
 
|영문명칭=
 
|영문명칭=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시대 [[사옹원]]에 소속되어 육류 요리를 담당하던 잡직이다.
+
조선시대 [[사옹원]]에 소속되어 육류 요리를 담당하던 잡직(雜職)이다.
  
 
==내용==
 
==내용==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잡직으로 일종으로 주로 육류요리를 담당하였다. 이는 1417년(태종 17) 5월 궁궐내 잡역부들의 명칭을 정할 때 종전의 한파오치(漢波吾赤)를 별사옹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다.
+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잡직의 일종으로 주로 육류요리를 담당하였다. 이는 1417년 5월 궁궐 내 잡역부들의 명칭을 정할 때 종전의 한파오치(漢波吾赤)를 [[별사옹]]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다.
몽고어 파오치는 고기를 썰거나 요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문소전(文昭殿)에 4명, 대전(大殿)에 14명(그 중 8명은 多人廳에 근무), 왕비전에 6명(2명은 다인청에 근무), 세자궁에 4명(2명은 다인청에 근무)이 배치되어 있었다.<ref>이영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27 별사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몽고어 파오치는 고기를 썰거나 요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문소전(文昭殿)에 4명, 대전(大殿)에 14명(그 중 8명은 다인청에 근무), 왕비전에 6명(2명은 다인청에 근무), 세자궁에 4명(2명은 다인청에 근무)이 배치되어 있었다.<ref>이영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27 별사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각종 잔치의 고기요리를 만들었기 때문에 잔치의 진행기록이나 잔치 후 상을 준 기록인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등 에서 생과방의 이름과, 이곳에서 일한 나인들의 이름이 언급된다.
+
각종 잔치의 고기요리를 만들었기 때문에 잔치의 진행기록이나 잔치 후 상을 준 기록인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등에서 생과방의 이름과, 이곳에서 일한 나인들의 이름이 언급된다.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10/A1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 ||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 A는 B에 언급된다 ||  
+
|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 [[별사옹]]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PAGENAME}} || [[사옹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별사옹]] || [[사옹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영상===
 
===영상===
44번째 줄: 51번째 줄: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한글고문서]][[분류:개념]][[분류:이혜영]]
+
[[분류:한글고문서]][[분류:개념]]

2017년 11월 22일 (수) 21:28 기준 최신판

별사옹
(別司甕)
대표명칭 별사옹
한자표기 別司甕



정의

조선시대 사옹원에 소속되어 육류 요리를 담당하던 잡직(雜職)이다.

내용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잡직의 일종으로 주로 육류요리를 담당하였다. 이는 1417년 5월 궁궐 내 잡역부들의 명칭을 정할 때 종전의 한파오치(漢波吾赤)를 별사옹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다. 몽고어 파오치는 고기를 썰거나 요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문소전(文昭殿)에 4명, 대전(大殿)에 14명(그 중 8명은 다인청에 근무), 왕비전에 6명(2명은 다인청에 근무), 세자궁에 4명(2명은 다인청에 근무)이 배치되어 있었다.[1] 각종 잔치의 고기요리를 만들었기 때문에 잔치의 진행기록이나 잔치 후 상을 준 기록인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등에서 생과방의 이름과, 이곳에서 일한 나인들의 이름이 언급된다.

지식관계망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별사옹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별사옹 사옹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이영춘, "별사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