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저고리(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저고리남성01 영친왕 고궁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저고리
 
|대표명칭= 저고리
 
|한자표기= 赤古里
 
|한자표기= 赤古里
 
|이칭별칭=  
 
|이칭별칭=  
|복식구분= 의복
+
|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 모든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저고리(남성)|저고리]], [[행전]]
 
|필드수= 7
 
 
}}
 
}}
  
==정의==
+
=='''정의'''==
조선시대 남자·여자 상의류를 총칭하는 용어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0쪽.</ref>
+
남자의 상의 종류를 총칭하는 용어로, 대한제국의 [[황제]], [[황태자]]와 조선의 [[왕]], [[왕세자]], [[백관]] 및 일반 백성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0쪽.</ref>
  
 +
=='''내용'''==
 +
겉옷으로도 입는 여자 [[저고리(여성)|저고리]]와 달리 남자 저고리는 포 안에 입는 내의(內衣)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변화가 적고 소박한 형태를 지니는 것이 특징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1쪽.</ref> 여자 [[저고리(여성)|저고리]]와 달리 시대에 따라 형태 변화가 크지 않고 깃의 형태만 칼깃에서 19세기 이후 점차 둥그레깃으로 변한다. 겨울에는 솜을 넣거나 누비로 만들기도 한다. [[저고리(남성)|저고리]]는 한 가지 색의 무늬가 없는 민저고리가 대부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0쪽.</ref>
  
==내용==
+
=='''지식 관계망'''==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한다.
 
 
 
===형태===
 
겉옷으로도 입는 여자 [[저고리(여성)|저고리]]와 달리 남자 저고리는 포 안에 입는 내의(內衣)의 셩격을 지니고 있어서 변화가 적고 소박한 형태를 지니는 것이 특징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1쪽.</ref> 여자저고리와 달리 시대에 따라 형태 변화가 크지 않고 깃의 형태만 칼깃에서 19세기 이후 점차 둥그레깃으로 변화한다. 겨울에는 솜을 넣거나 누비로 만들기도 한다. 남자 저고리는 한 가지 색으로 만든 민저고리가 대부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0쪽.</ref>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황제]]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황태자]]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손]]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 || A는 B에 착용한다
+
| [[백관]]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일반 백성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왕의 편복]]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손의 편복]]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저고리(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저고리(남성)  || [[바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저고리남성02 이진숭 민속박물관.jpg | 이진숭(李鎭嵩, 1702~1756)묘 출토 저고리.<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권준희ㆍ권영숙, 「조선시대 남성 분묘 출토 적삼 고찰 –송효상(宋效商, 1430-1490), 송희종(宋喜從, 16C 중후반)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더 읽을거리===
+
* 金文子, 「朝鮮時代 저고리 깃에 대한 硏究」,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 김미자, 「한국 유(襦)의 일본 전파와 변천에 관한 연구」, 『服飾』 51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01.
===유용한 정보===
+
* 白錦鉉, 「옷깃과 옷섶의 形態變化에 대한 硏究-朝鮮時代의 저고리와 袍-」, 『服飾』 6권, 한국복식학회, 1982.
 +
* 유정자, 「16-17C 저고리의 바느질기법에 관한 연구 –충북대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 李尙恩, 「朝鮮時代 異色配色 赤古里의 形態變化에 관한 硏究 -出土服飾을 中心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 이상은ㆍ조효순, 「朝鮮時代 赤古里에 關한 硏究」, 『한복문화』 제3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0.
 +
* 이은정, 「저고리 섶의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 이은주, 「李應台(1556~1586) 묘 출토 상의류의 분류와 구성법」, 『한복문화』 제5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02.
 +
* 정옥임, 「남자저고리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2) -깃 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7호 , 대한가정학회, 1999.
 +
* 정혜경ㆍ권영숙, 「조선시대 저고리의 구성원리에 관한 고찰-深衣 구성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8.
 +
* 황유선,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1월 19일 (일) 15:06 기준 최신판


저고리
(赤古里)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저고리
한자표기 赤古里
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 모든 남성
착용성별 남성



정의

남자의 상의 종류를 총칭하는 용어로, 대한제국의 황제, 황태자와 조선의 , 왕세자, 백관 및 일반 백성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한다.[1]

내용

겉옷으로도 입는 여자 저고리와 달리 남자 저고리는 포 안에 입는 내의(內衣)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변화가 적고 소박한 형태를 지니는 것이 특징이다.[2] 여자 저고리와 달리 시대에 따라 형태 변화가 크지 않고 깃의 형태만 칼깃에서 19세기 이후 점차 둥그레깃으로 변한다. 겨울에는 솜을 넣거나 누비로 만들기도 한다. 저고리는 한 가지 색의 무늬가 없는 민저고리가 대부분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백관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일반 백성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편복 저고리(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저고리(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손의 편복 저고리(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저고리(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저고리(남성) 바지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0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1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0쪽.
  4.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준희ㆍ권영숙, 「조선시대 남성 분묘 출토 적삼 고찰 –송효상(宋效商, 1430-1490), 송희종(宋喜從, 16C 중후반)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 金文子, 「朝鮮時代 저고리 깃에 대한 硏究」,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김미자, 「한국 유(襦)의 일본 전파와 변천에 관한 연구」, 『服飾』 51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01.
  • 白錦鉉, 「옷깃과 옷섶의 形態變化에 대한 硏究-朝鮮時代의 저고리와 袍-」, 『服飾』 6권, 한국복식학회, 1982.
  • 유정자, 「16-17C 저고리의 바느질기법에 관한 연구 –충북대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李尙恩, 「朝鮮時代 異色配色 赤古里의 形態變化에 관한 硏究 -出土服飾을 中心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이상은ㆍ조효순, 「朝鮮時代 赤古里에 關한 硏究」, 『한복문화』 제3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0.
  • 이은정, 「저고리 섶의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이은주, 「李應台(1556~1586) 묘 출토 상의류의 분류와 구성법」, 『한복문화』 제5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02.
  • 정옥임, 「남자저고리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2) -깃 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7호 , 대한가정학회, 1999.
  • 정혜경ㆍ권영숙, 「조선시대 저고리의 구성원리에 관한 고찰-深衣 구성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8.
  • 황유선,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