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두루마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착용신분)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두루마기3 경기도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경기도박물관(http://musenet.ggcf.kr/) 소장
 
|대표명칭= 두루마기
 
|대표명칭= 두루마기
 
|한자표기= 周衣
 
|한자표기= 周衣
 
|이칭별칭=  
 
|이칭별칭=  
|복식구분= 의복
+
|구분= 의복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갓]]
 
|필드수= 7
 
 
}}
 
}}
  
==정의==
+
=='''정의'''==
두루마기는 '터진 곳 없이 막혔다'는 의미의 '두루막이'에서 비롯된 옷의 명칭과 같이<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62쪽.</ref> 트임이 없는 형태의 포이다.
+
조선 후기의 [[왕]]과 [[왕세자]], [[백관]],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평상시에 착용한 포(袍)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62쪽.</ref>
 +
 +
=='''내용'''==
 +
깃이 곧고 소매가 좁으며 트임이 없는 형태의 포이다. 두루[周] 막혀 '터진 곳 없이 막혔다'는 의미의 '두루막이'에서 유래되었다. 남성용 두루마기의 경우 양반 이상의 계층에서는 겉옷의 받침옷으로 입고 서민층에서는 겉옷으로 입었다.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21) [[갑신의제개혁|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을 통해 신분에 관계없이 흑색 [[두루마기]]가 남성의 통상 예복이 되었다. 겨울에는 솜을 넣거나 누비로 만들기도 했으며, 갓과 함께 착용한다. 개화기 이후 남성과 여성이 두루 두루마기를 착용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5쪽.</ref>
  
==내용==
+
=='''지식 관계망'''==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과 하층의 신분들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외출복이나 평상복[편복]으로 착용하였다.
 
 
 
===형태===
 
깃이 곧고 소매가 좁은 형태의 옷으로 옷자락의 둘레가 트임 없이 두루[주(周)] 막힌 옷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겨울에는 솜을 넣거나 누비로 만들기도 했다. 남성용 두루마기의 경우 양반 이상의 계층에서는 겉옷의 받침옷으로 입고 서민층에서는 겉옷으로 입었으나.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21) 의복제도 개쳑을 통해 신분에 관계없이 흑색 두루마기가 남성의 통상 예복이 되었다. 갓과 함께 착용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5쪽.</ref>
 
 
 
===기타===
 
개화기 이후 남성과 여성이 두루 두루마기를 착용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5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황제]] || 두루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황태자]] || 두루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왕]] || 두루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왕세자]] || 두루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백관]] || 두루마기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PAGENAME}}''' ||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황제의 편복]] ||  두루마기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황태자의 편복]] ||  두루마기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의 편복]] ||  두루마기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 || A는 B에 착용한다
+
| [[왕세자의 편복]] ||  두루마기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백관의 편복]] ||  두루마기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 궁중기록화 복식 두루마기1 고궁박물관.jpg|영친왕이 착용한 무명으로 만든 두루마기.<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
파일: 궁중기록화 복식 두루마기2 고궁박물관.jpg|영친왕이 착용한 두루마기.<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gallery>
 
</gallery>
  
59번째 줄: 59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더 읽을거리===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김신애, 「조선시대 남자 포에 나타난 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유용한 정보===
+
* 이경은, 「두루마기 구성의 변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삭학위논문, 2014.
 +
* 이현아, 「1884년 甲申衣制改革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1월 19일 (일) 13:20 기준 최신판


두루마기
(周衣)
경기도박물관(http://musenet.ggcf.kr/) 소장
대표명칭 두루마기
한자표기 周衣
구분 의복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 후기의 왕세자, 백관, 대한제국 황제황태자가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평상시에 착용한 포(袍)이다.[1]

내용

깃이 곧고 소매가 좁으며 트임이 없는 형태의 포이다. 두루[周] 막혀 '터진 곳 없이 막혔다'는 의미의 '두루막이'에서 유래되었다. 남성용 두루마기의 경우 양반 이상의 계층에서는 겉옷의 받침옷으로 입고 서민층에서는 겉옷으로 입었다.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21)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을 통해 신분에 관계없이 흑색 두루마기가 남성의 통상 예복이 되었다. 겨울에는 솜을 넣거나 누비로 만들기도 했으며, 갓과 함께 착용한다. 개화기 이후 남성과 여성이 두루 두루마기를 착용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두루마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두루마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두루마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두루마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 두루마기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편복 두루마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편복 두루마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편복 두루마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두루마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두루마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62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5쪽.
  3.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4.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김신애, 「조선시대 남자 포에 나타난 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이경은, 「두루마기 구성의 변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삭학위논문, 2014.
  • 이현아, 「1884년 甲申衣制改革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