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답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도포 |한자표기= 道袍 |이칭별칭= |복식구분= 의복 |착용신분=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답호01 민속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도포
+
|대표명칭= 답호
|한자표기= 道袍
+
|한자표기= 褡𧞤
|이칭별칭=  
+
|이칭별칭= 더그레, 加文剌
|복식구분= 의복
+
|구분= 의복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신분= [[왕]], [[왕세자]], [[백관]], [[하급 관리]]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갓]], [[세조대]], [[광다회]]
 
|필드수= 7
 
 
}}
 
}}
  
==정의==
+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관리들이 상복 안에 입거나 사대부의 겉옷 위에 덧입던 옷으로 조선 중기까지는 직령과 같은 형태에 소매만 반수의 여씾만 17세기를 지나면서 소매가 없어진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ref>
+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왕]],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하였으며, [[단령]] 안에 입거나 [[철릭]], [[직령]] 등 포(袍) 위에 입는 소매가 없는 옷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ref> 또한 [[나장]]과 같은 하급 관리들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 할 때 상의 맨위에 입는 소매가 짧은 옷이다.<ref> 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65쪽.</ref>
  
==내용==
+
=='''내용'''==
===복식구성===
+
고려시대 [[답호|답호(褡穫)]]는 곧은 깃에 소매가 팔꿈치에 이르며, 옷 길이는 발목까지 오고 옆선에는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 고정된 다중 주름의 무가 달려있으며 옆트임이 있다. 조선시대에 [[답호]]는 고려시대와 같이 반수의(半袖衣)로 곧은 깃 교임형에 옆선에 무가 달렸고 옆트임이 있다. 기본형태는 [[직령]]과 같고 소매 길이가 [[직령]]보다 짧은 것이 다르다. [[직령]]과 유사한 형태의 [[답호]]는 [[임진왜란]] 직후부터 옷의 형태 변화가 나타나 소매가 사라지고 직사각형 무는 삼각형으로 바뀌게 된다. 이때의 [[답호]] 형태에 대해 [[사례편람|『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무수창의(無袖氅衣)'라고 하였는데, 말 그대로 '소매가 없는 [[창의]]'라는 옷이다. [[창의]]는 뒤가 트인 것이 특징이다. [[답호]]는 중국 원나라때 등장한 의복으로 우리나라 기록에는 고려시대 [[원간노걸대|『원간노걸대(原刊老乞大)』]]에 '대답호(大㧺胡), 답호(褡護), 답호(㧺胡), 답홀(㧺忽)'로 표기되어 있으며 '더그레'로 언해되어 있다. [[답호]]에는 [[광다회|광다회(廣多繪)]] 등의 실띠를 둘렀는데, 당상관 이상은 붉은 색을 사용하였고 그 이하는 청색 계통을 사용하였다. <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221쪽.</ref> [[나장]] 등의 하급 관리는 주로 [[철릭]] 위에 검은색 [[답호]]를 입는다.<ref>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65쪽.</ref>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의례용이나 외출시, 평상복[편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외출시나 의례용으로 착용 할 때는 갓을 썼고 그 외에는 다양한 편복용 관모(정자관, 사방건 등)를 썼다.
 
 
 
===형태===
 
깃은 곧고 소매가 넓으며 뒷자락이 이중으로 된 형태이다. 무와 등바대에 연결된 자락은 뒷중심이 터져 있어 활동이 편리하며 뒷길과 연결된 자락이 터진 부분을 가려주어 말을 탈 때 하의(下衣)가 보이지 않게 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3쪽.</ref>
 
 
 
===기타===
 
[[대창의|창의]]를 받침옷으로 입고, [[갓]] 등의 관모를 쓰고, 허리에는 [[광다회]]나 [[세조대]]를 띤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3쪽.</ref><br/>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의복제도 개혁을 통해 넓은 소매 의복을 폐지하면서 대부분의 포류들을 [[두루마기|두루마기(남성)]]로 대체하는데 1900년 유림들의 저항으로 소매가 넓은 포 중 도포만을 허용하게 됨에 따라 다시 도포를 의례복으로 착용하게 되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48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 || 답호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 || 답호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손]] || 답호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 || A는 B에 착용한다
+
| [[백관]] || 답호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나장]] || 답호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
| [[왕의 상복]] ||  답호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상복]] ||  답호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상복]] ||  답호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공복]] || 답호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답호 || [[곤룡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답호 || [[단령]]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답호 || [[철릭]]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답호02 민속박물관.jpg | 추성수(楸城守, 1498~1561)묘 출토 답호.<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답호03 군노복 석주선박물관.jpg | 19세기 하급 관리인 군노가 착용한 답호.<ref>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ref>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더 읽을거리===
+
* 金美子, 「直領에 관한 硏究」,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 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유용한 정보===
+
* 李鳳淑, 「답호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 李珠英, 「朝鮮時代 無袖衣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 朴豆伊, 「半臂의 源流와 變遷에 관한 硏究 -韓國과 中國의 半臂를 中心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 박두이, 「背子의 樣式變遷에 관한 考察」, 『服飾』 19권, 한국복식학회, 1992.
 +
* 변지연,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이은형,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 조효순, 「조선조 風俗畵에 나타난 男子의 基本服飾 연구 (Ⅱ)」, 『한복문화』 2권 1호, 한복문화학회, 1999.
 +
* 홍나영, 「後短 方領半臂에 관한 고찰」, 『服飾』 44권, 한국복식학회, 1999.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1월 19일 (일) 12:29 기준 최신판


답호
(褡𧞤)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답호
한자표기 褡𧞤
이칭별칭 더그레, 加文剌
구분 의복
착용신분 , 왕세자, 백관, 하급 관리
착용성별 남성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하였으며, 단령 안에 입거나 철릭, 직령 등 포(袍) 위에 입는 소매가 없는 옷이다.[1] 또한 나장과 같은 하급 관리들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 할 때 상의 맨위에 입는 소매가 짧은 옷이다.[2]

내용

고려시대 답호(褡穫)는 곧은 깃에 소매가 팔꿈치에 이르며, 옷 길이는 발목까지 오고 옆선에는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 고정된 다중 주름의 무가 달려있으며 옆트임이 있다. 조선시대에 답호는 고려시대와 같이 반수의(半袖衣)로 곧은 깃 교임형에 옆선에 무가 달렸고 옆트임이 있다. 기본형태는 직령과 같고 소매 길이가 직령보다 짧은 것이 다르다. 직령과 유사한 형태의 답호임진왜란 직후부터 옷의 형태 변화가 나타나 소매가 사라지고 직사각형 무는 삼각형으로 바뀌게 된다. 이때의 답호 형태에 대해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무수창의(無袖氅衣)'라고 하였는데, 말 그대로 '소매가 없는 창의'라는 옷이다. 창의는 뒤가 트인 것이 특징이다. 답호는 중국 원나라때 등장한 의복으로 우리나라 기록에는 고려시대 『원간노걸대(原刊老乞大)』에 '대답호(大㧺胡), 답호(褡護), 답호(㧺胡), 답홀(㧺忽)'로 표기되어 있으며 '더그레'로 언해되어 있다. 답호에는 광다회(廣多繪) 등의 실띠를 둘렀는데, 당상관 이상은 붉은 색을 사용하였고 그 이하는 청색 계통을 사용하였다. [3] 나장 등의 하급 관리는 주로 철릭 위에 검은색 답호를 입는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답호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답호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 답호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백관 답호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나장 답호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왕의 상복 답호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상복 답호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답호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공복 답호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답호 곤룡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답호 단령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답호 철릭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
  2. 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65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221쪽.
  4. 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65쪽.
  5.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6.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金美子, 「直領에 관한 硏究」,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 李鳳淑, 「답호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李珠英, 「朝鮮時代 無袖衣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朴豆伊, 「半臂의 源流와 變遷에 관한 硏究 -韓國과 中國의 半臂를 中心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박두이, 「背子의 樣式變遷에 관한 考察」, 『服飾』 19권, 한국복식학회, 1992.
  • 변지연,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이은형,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조효순, 「조선조 風俗畵에 나타난 男子의 基本服飾 연구 (Ⅱ)」, 『한복문화』 2권 1호, 한복문화학회, 1999.
  • 홍나영, 「後短 方領半臂에 관한 고찰」, 『服飾』 44권, 한국복식학회, 1999.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