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 송연진ㆍ이연희, 「조선후기 여성의 가체와 수식(首飾) 장신구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6. | * 송연진ㆍ이연희, 「조선후기 여성의 가체와 수식(首飾) 장신구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6. | ||
* 이승현, 「조선후기 떨잠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이승현, 「조선후기 떨잠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1월 15일 (수) 00:39 판
떨잠 (班子) |
|
대표명칭 | 떨잠 |
---|---|
한자표기 | 班子 |
구분 | 수식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착용성별 | 여성 |
정의
조선시대에 왕비, 왕세자빈, 외명부 등이 여성들이 예복을 입고, 대수, 어여머리, 큰머리 등의 머리모양을 할 때 머리의 앞쪽 중심과 좌우에 대칭으로 꽂는 장식으로, [1]
내용
착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옥판 위의 장식이 '떨리듯 흔들린다' 하여 떨잠이라 이름하였다. 원형이나 나비 모양으로 만든 옥판 위에, 옥과 진주 등으로 꾸민 새나 나비 장식이 부착된 용수철이 달려 있다. 옥판 아래에 달린 납작한 머리꽂이로 머리에 고정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후 | 떨잠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태자비 | 떨잠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비 | 떨잠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빈 | 떨잠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손빈 | 떨잠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떨잠 | 대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떨잠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친왕비 백옥나비떨잠.<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영친왕비 화조접문 떨잠상자.<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高美娟, 「韓國女性의 頭飾에 관한 硏究 -朝鮮時代를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琴基淑, 「韓國服飾에 表現된 흔들림과 떨림의 美」, 『服飾』 15권, 한국복식학회, 1990.
- 柳景子,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여성의 두식 –김홍도ㆍ신윤복의 풍속화 작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송연진, 「조선후기 여성 수식(首飾)의 장식적 요소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가체(加髢)와 떨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송연진ㆍ이연희, 「조선후기 여성의 가체와 수식(首飾) 장신구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6.
- 이승현, 「조선후기 떨잠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