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인물정보 임시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시수 |한자표기= 李時秀 |영문명칭= |본관= 연안(延安) |이칭= |시호= 충정(忠正) |호= 급...)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임시
+
{{인물정보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16번째 줄: 16번째 줄:
 
|시대 = 조선
 
|시대 = 조선
 
|국적=
 
|국적=
|대표저서= [[이시수속북정시]]
+
|대표저서= [[이시수속북정시|『이시수속북정시』]]
 
|대표직함= 영의정, 우의정, 영중추부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대표직함= 영의정, 우의정, 영중추부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배우자= [[윤원동]]의 딸 해평 윤씨
 
|배우자= [[윤원동]]의 딸 해평 윤씨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
=='''정의'''==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관으로 [[정순왕후]]가 계속 수렴청정하려 할 때 반대한 인물이다.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도제조, [[정조국장도감의궤]]』의 총호사, [[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도제조<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34&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6%80%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6%80%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2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6%80%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 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ref>,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 도제조<ref>[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ref>,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4 감조관<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33&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ref>을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
 
 +
=='''내용'''==
 +
[[정순왕후]]가 계속 수렴청정하려 할 때 반대한 인물이다.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도제조,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총호사, [[현경혜빈부궁도감의궤|『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 도제조<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34&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6%80%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6%80%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2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7%A5%94%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6%80%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 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 도제조<ref>"[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현경혜빈양례도감의궤|『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4』]] 감조관<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33&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4]",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을 역임하였다.
  
==내용==
 
 
===관직===
 
===관직===
1771년(영조 47) 진사시에 합격하고 177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0(정조 4) 홍문관 부교리일 때 [[홍국영|홍국영(洪國榮)]]을 탄핵하였다. 1786년(정조 10) 좌승지,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91년(정조 15) 황해도 관찰사 때 투서사건으로 파직되었다가 성균관 대사성으로 복직되었다. 이후 공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 호조판서 등의 직책을 역임하였다. [[순조]]가 즉위한 뒤에는 우의정과 영의정을 지냈다. 1804년(순조 4)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다시 하려 하자 반대하여 물러나게 하였다. 1812년(순조 12) 영중추부사로 있으면서 진주 겸 주청사로 청에 다녀왔다. 작품으로 중국을 여행하면서 지은 시인 [[이시수속북정시|이시수속북정시(李時秀續北征詩)]]』가 있다.  
+
1771년(영조 47) 진사시에 합격하고 177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0(정조 4) 홍문관 부교리일 때 [[홍국영|홍국영(洪國榮)]]을 탄핵하였다. 1786년(정조 10) 좌승지,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91년(정조 15) 황해도 관찰사 때 투서사건으로 파직되었다가 성균관 대사성으로 복직되었다. 이후 공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 호조판서 등의 직책을 역임하였다. [[순조]]가 즉위한 뒤에는 우의정과 영의정을 지냈다. 1804년(순조 4)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다시 하려 하자 반대하여 물러나게 하였다. 1812년(순조 12) 영중추부사로 있으면서 진주 겸 주청사로 청에 다녀왔다. 작품으로 중국을 여행하면서 지은 시인 [[이시수속북정시|『이시수속북정시(李時秀續北征詩)]]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996&cid=40942&categoryId=34298 이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사후===
 
===사후===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 묘가 있다. 본래는 아버지 [[이복원|이복원(李復元)]]의 묘 앞에 있었다가 뒤편으로 이장하였다. 정경부인 해평 윤씨와 합장되었다. 1822년(순조 22) 시호를 받았다. 1836년(헌종 2) [[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1822년(순조 22) 시호를 받았다. 1836년(헌종 2) [[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 묘가 있다. 본래는 아버지 [[이복원|이복원(李復元)]]의 묘 앞에 있었다가 뒤편으로 이장하였다. 정경부인 해평 윤씨와 합장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996&cid=40942&categoryId=34298 이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이시수]]||[[정조국장도감의궤]]||A는 B를 담당했다 ||  
+
| 이시수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시수]]||[[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A는 B를 담당했다 ||  
+
| 이시수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복원]]||[[이시수]]||A는 B의 아버지이다 ||  
+
| [[이복원]] || 이시수||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안수곤]]||[[이시수]]||A는 B의 외조부이다 ||  
+
| [[안수곤]] || 이시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순흥 안씨]]||[[이시수]]||A는 B의 어머니이다 ||  
+
| [[순흥 안씨]] || 이시수||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윤원동]]||[[이시수]]||A는 B의 장인이다 ||  
+
| [[윤원동]] || 이시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해평 윤씨]]||[[이시수]]||A는 B의 아내이다 ||  
+
| 이시수|| [[해평 윤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이광우]]||[[이시수]]||A는 B의 장남이다 ||  
+
| 이시수|| [[이광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이시수]]||[[이시수속북정시]]||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이시수속북정시]] || 이시수||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시수]]||[[유릉]]||A는 B에 배향되었다 ||  
+
| 이시수 || [[유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시수 || [[백관]] ||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1800년 || 이시수는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 를 담당하였다
 +
|-
 +
| 1812년 || 이시수는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를 담당하였다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631657 || 127.208450 || 이시수는 [[순종]]의 묘인 [[유릉]]에 배향되었다
 +
|}
  
==시각자료==
+
=='''주석'''==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gallery>
 
 
 
===영상===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정조실록』
 
* 『정조실록』
84번째 줄: 95번째 줄:
 
* 『헌종실록』
 
* 『헌종실록』
 
* 『한국계행보』
 
* 『한국계행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2577&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996&cid=40942&categoryId=34298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19488&cid=40942&categoryId=33690 두산백과]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http://blog.naver.com/hahnguibok/20203183150 충정공 급건 이시수]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996&cid=40942&categoryId=34298 이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유용한 정보===
+
* 韓貴福, "[http://blog.naver.com/hahnguibok/20203183150 이시수 묘비]", 블로그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분류:인물]]
 

2017년 10월 29일 (일) 16:39 기준 최신판

이시수(李時秀)
대표명칭 이시수
한자표기 李時秀
생몰년 1745년-1821년
본관 연안(延安)
시호 충정(忠正)
급건(及健)
치가(稚可)
시대 조선
대표저서 『이시수속북정시』
대표직함 영의정, 우의정, 영중추부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배우자 윤원동의 딸 해평 윤씨
좌의정 이복원
안수곤의 딸 순흥 안씨
자녀 이광우
능묘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내용

정순왕후가 계속 수렴청정하려 할 때 반대한 인물이다.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도제조, 『정조국장도감의궤』의 총호사, 『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 도제조[1],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 도제조[2],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4』 감조관[3]을 역임하였다.

관직

1771년(영조 47) 진사시에 합격하고 177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0(정조 4) 홍문관 부교리일 때 홍국영(洪國榮)을 탄핵하였다. 1786년(정조 10) 좌승지,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91년(정조 15) 황해도 관찰사 때 투서사건으로 파직되었다가 성균관 대사성으로 복직되었다. 이후 공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 호조판서 등의 직책을 역임하였다. 순조가 즉위한 뒤에는 우의정과 영의정을 지냈다. 1804년(순조 4)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다시 하려 하자 반대하여 물러나게 하였다. 1812년(순조 12) 영중추부사로 있으면서 진주 겸 주청사로 청에 다녀왔다. 작품으로 중국을 여행하면서 지은 시인 『이시수속북정시(李時秀續北征詩)』가 있다.[4]

사후

1822년(순조 22) 시호를 받았다. 1836년(헌종 2) 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 묘가 있다. 본래는 아버지 이복원(李復元)의 묘 앞에 있었다가 뒤편으로 이장하였다. 정경부인 해평 윤씨와 합장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시수 『정조국장도감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시수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이복원 이시수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안수곤 이시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흥 안씨 이시수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윤원동 이시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시수 해평 윤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이시수 이광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시수속북정시 이시수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시수 유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시수 백관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00년 이시수는 『정조국장도감의궤』 를 담당하였다
1812년 이시수는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를 담당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31657 127.208450 이시수는 순종의 묘인 유릉에 배향되었다

주석

  1. "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2.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3.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4",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4. "이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5. "이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정조실록』
  • 『순종실록』
  • 『헌종실록』
  • 『한국계행보』

더 읽을거리

  • "이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 韓貴福, "이시수 묘비", 블로그 검색, 『네이버 블로그』online,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