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변계량
 
|대표명칭=변계량

2017년 10월 26일 (목) 21:32 판

변계량(卞季良)
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대표명칭 변계량
한자표기 卞季良
생몰년 1369-1430
본관 초계(草溪)
시호 문숙(文肅)
춘정(春亭)
거경(巨卿)
시대 고려-조선
국적 조선
변옥란(卞玉蘭)
자녀 변영수(卞英壽)


정의

변계량(卞季良, 1369~1430)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이다.

내용

생애

변계량(卞季良)은 이색(李穡)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된 뒤 그 대제학이 되었고, 1426년에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가 되었다가 1430년(세종 12)에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시호는 문숙(文叔)이었으며, 후에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형인 변중량과 함께 배향되었다. [1]

활동사항

변계량은 1385년에 열일곱 살의 나이로 문과에 급하였다. 변계량은 태종-세종대를 대표하는 관료로서, 당대의 주요한 글들을 작성하고 실록을 비롯한 다수의 주요 도서들을 편찬하였으며, 과거제를 개혁하는 등 다방면에 참여하였다. 또 태종에게 기해동정을 명령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2]

저술활동

무학대사 비명, 문묘중수비문, 돈화문루종명, 태종의 신도비명, 낙천정기, 기자묘비명 등이 모두 변계량의 손에서 나왔으며 열성후비지문을 언해하기도 했다. 삼강행실도를 비롯해 당대의 주요 편찬사업에도 빠짐없이 관여하고 있었다. 실록의 경우 『 태조실록(太祖實錄)』부터 『 정종실록(定宗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의 편찬을 주도하였으며 , 『 국조보감(國朝寶鑑)』 편찬에 참여하였다. 또한 태종대부터 세종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고려사』의 개수에도 관여하였다. 이외에도 여러 악장 가사를 지었는데, 『하성명가』 , 『 화산별곡(華山別曲)』 등이 대표적이며, 『 청구영언』에는 시조 2수가 전하기도 한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색 변계량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권근 변계량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집현전 변계량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변계량 거창 병암서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종 기해동정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변계량 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변계량 기해동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문묘중수비문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태종 신도비명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조선왕조실록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국조보감 변계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변계량 고려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이한수, 「조선초기 변계량의 시대인식과 권도론」, 『역사와사회』제 27집, 2001

  • 웹자원

이진표, 『한국사상사』, 학문서, 2002. 온라인 참조:"변계량의 실용주의적 경세사상", 한국사상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