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비료공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1번째 줄: 4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충주비료공장]] || [[요소비료]]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요소비료]] || [[충주비료공장]]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호남비료공장]] || [[요소비료]]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요소비료]] || [[호남비료공장]]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한국비료공업]] || [[요소비료]]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요소비료]] || [[한국비료공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충주비료공장]] || [[인천판유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충주비료공장]] || [[인천판유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충주비료공장]] || [[쌍용양회 문경공장|문경시멘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충주비료공장]] || [[쌍용양회 문경공장|문경시멘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충주비료공장]] || [[국제연합한국재건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충주비료공장]] || [[국제연합한국재건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58번째 줄: 58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1.jpg|충주비료공장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2.jpg|충주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2.jpg|충주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3.jpg|충주비료공장을 시찰중인 정부 각료들.<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충주비료공장 전경03.jpg|충주비료공장을 시찰중인 정부 각료들.<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6&detl_PhotoDTL=273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87번째 줄: 88번째 줄:
 
#*"[http://www.newmanagement.co.kr/?p=9118 송기철 박사가 만난 ‘한국의 경영자 50’]", 리더&피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현대경영』<sup>online</sup></online></html>.
 
#*"[http://www.newmanagement.co.kr/?p=9118 송기철 박사가 만난 ‘한국의 경영자 50’]", 리더&피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현대경영』<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5523&cid=51896&categoryId=53967 충주비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5523&cid=51896&categoryId=53967 충주비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212 충주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예경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212 충주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fert-kfia.or.kr:50016/new/00_main/main.asp 비료정보]』<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비료협회.
 
#*『[https://fert-kfia.or.kr:50016/new/00_main/main.asp 비료정보]』<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비료협회.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분류:민족/교열요청]]

2017년 10월 22일 (일) 17:03 판

충주비료공장(忠州肥料工場)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대표명칭 충주비료공장
한자표기 忠州肥料工場
유형 기업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
창립시대 현대
창립일 1959년
해체일 1983년
주요업무 비료제조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에 있었던 화학비료 제조업체.[1]

내용

설립목적

비료의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60년대 초기 비료 자급 능력 향상과 고용 증대 및 외화 절약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인천판유리, 문경시멘트와 함께 운크라(UNKRA) 경제원조로 시작된 3대산업 중 하나이다.
식량 증산과 보급에 필수적인 요소비료 대량생산능력을 갖춰 당시로서는 최첨단 산업 현장이었으며, 괴산발전소와 문경의 시멘트 공장을 연계한 산업 시찰 코스로 지정되어 매일 수백 명의 산업 시찰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대표 산업체였다.[2]
충주비료공장 건설과 운영을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은 추후 대한민국의 화학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을 뿐 아니라 철강, 자동차, 조선 등 현대 사업 발전에도 일조하였다.

연혁

  • 1959 충주시 목행동에 충주비료 공장을 건설.
  • 1961 제1비료공장을 요소비료 연간 85,000t 생산 규모로 확장.
  • 1973 충주암모니아센터(제6비료공장)를 요소비료 연간 231,000t 생산 규모로 확장.
  • 1977 전라남도 여천시에 동양 최대 규모의 남해화학(제7비료공장) 건설.
  • 1983년 충주제1비료공장, 호남제2비료공장, 충주암모니아센터 생산 중단 및 폐쇄.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요소비료 충주비료공장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요소비료 호남비료공장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요소비료 한국비료공업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충주비료공장 인천판유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충주비료공장 문경시멘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충주비료공장 국제연합한국재건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180호-충주 비료공장(게시일: 2016년 10월 8일)

  • 대한뉴스 제 206호-충주비료 발전소 시운전(게시일: 2016년 10월 13일)

  • 대한뉴스 제 312호-충주 비료공장 준공(게시일: 2016년 10월 20일)

  • 대한뉴스 제 255호-충주비료공장 가동(게시일: 2016년 10월 14일)

주석

  1. "충주비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충주비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4.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5.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