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동리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4번째 줄: 34번째 줄:
 
| [[구산선문]] || [[동리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구산선문]] || [[동리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39번째 줄: 42번째 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114&cid=40942&categoryId=39201 동리산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114&cid=40942&categoryId=39201 동리산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402 동리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402 동리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references/>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2017년 10월 10일 (화) 02:47 판

동리산문
(桐裏山門)
대표명칭 동리산문
한자표기 桐裏山門
이칭 동리산파(桐裏山派)
관련개념 구산선문(九山禪門)



정의

전라북도 곡성의 태안사(泰安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의 하나.

내용

혜철(惠哲)이 814년에 당(唐)에 가서 서당지장(西堂智藏)의 선법을 전해 받고 839년에 귀국하여 곡성 동리산에 태안사(泰安寺)를 창건하고 선풍(禪風)을 일으킴으로써 형성되었다.[1]

도선(道詵)으로 이해되기도 하는 도승(道乘)과 선사(禪師) 여(如)가 법을 이었으며, 그들은 각각 경보(慶甫)윤다(允多)를 제자로 두었다.[2] 윤다고려 태조의 존경과 귀의를 받으면서 동리산파의 선풍(禪風)을 크게 떨쳤는데 그 때가 이 종파의 전성기였다고 한다.[3]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동리산문 혜철 A는 B가 개창하였다 A ekc:founder B
동리산문 윤다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동리산문 경보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동리산문 도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리산문 곡성 태안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구산선문 동리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구산선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동리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김영태, "동리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구산선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동리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영태, "동리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