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관련항목)
31번째 줄: 31번째 줄: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
|{{PAGENAME}} ||문헌||초당문답가
 
|}
 
|}
  

2017년 2월 22일 (수) 19:46 판

가사집
한글팀 가사집 01.png
한자명칭 歌辭集
영문명칭 A compilation of prose
간행시기 19세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D6B-110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4.6×16.7㎝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개요

조선 후기 교훈가사집인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를 위주로 다른 작품을 섞어 필사한 가사집이다.

내용

<오륜편>, <경신편>, <치산편>, <사군편>, <부부편>, <부인함>, <총논장>, <백발편>, <개몽편>, <우부편>, <용부편>, <낙지편>, <가정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훈 가사 작품을 모아 체계를 갖추어 일종의 행실규범총람을 만들 의도를 가지고 편찬하였다. 훈계만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생활의 실상을 흥미롭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의 편에서 마땅한 처신 방법을 말하고 있다. <백발편>에서는 서술자인 주인이 초당에서 졸다가 구걸하러 온 노인을 보고 삶을 헛되게 하지 않아야 한다고 깨닫는다. <우부편>과 <용부편>에서는 그릇된 행실을 해서 생을 망친 사람들의 사례를 들어 교훈을 삼고 있다. 노인 서술자가 작품을 이끌어 나가는데 작품의 문면에서 말하는 것을 살펴보면 상당한 학식과 교양을 갖춘 하층인물로 보인다. [1]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가사집 문헌 초당문답가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가사집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5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