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태고암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태고암가 |한자표기= 太古庵家 |영문명칭= |이칭= |유형= |저자=보우(普愚) |역자= |편자=...)
 
(정의)
30번째 줄: 30번째 줄:
 
=='''정의'''==
 
=='''정의'''==
 
고려 말에 태고 보우(普愚, 1301-1382)가 지은 한시.
 
고려 말에 태고 보우(普愚, 1301-1382)가 지은 한시.
 +
 +
=='''내용'''==
 +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의 『[[화엄경]]』을 해석하여 [[화엄종]]의 종지를 밝힌 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화엄경탐현기』는 미처 완성되기도 전에 신라에 전해졌다고 하는데, 그것은 [[법장]]이 신라의 [[승전]] 스님을 통해 두 권이 미완성인 상태로 [[의상]] 스님에게 보냈기 때문이라고 한다. <ref>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7944&cid=42952&categoryId=42952 화엄경탐현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관계망'''==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화엄경탐현기]] || [[화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화엄경탄현기]] || [[법장]]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법장]] || [[의상]] || A는 B의 동문이다 || A ekc:isFellowOf B
 +
|}
 +
 +
===시간정보===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7944&cid=42952&categoryId=42952 화엄경탐현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161&cid=40942&categoryId=31543 화엄경탐현기],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문헌]]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10월 6일 (금) 13:46 판

태고암가(太古庵家)
대표명칭 태고암가
한자표기 太古庵家
저자 보우(普愚)
시대 고려



정의

고려 말에 태고 보우(普愚, 1301-1382)가 지은 한시.

내용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의 『화엄경』을 해석하여 화엄종의 종지를 밝힌 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화엄경탐현기』는 미처 완성되기도 전에 신라에 전해졌다고 하는데, 그것은 법장이 신라의 승전 스님을 통해 두 권이 미완성인 상태로 의상 스님에게 보냈기 때문이라고 한다. [1]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엄경탐현기 화엄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경탄현기 법장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법장 의상 A는 B의 동문이다 A ekc:isFellowOf B

시간정보

주석

  1.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화엄경탐현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화엄경탐현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화엄경탐현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