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공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역인초/지선문맥제안]]
+
=='''정의'''==
 +
1398년([[조선 정조|정조]]즉위년) [[제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린 공신호.
 +
 
 +
=='''내용'''==
 +
개국 후에 [[조선 태조|태조 이성계]]는 자신의 첫째부인 [[신의왕후 한씨]]의 소생이 아닌 둘째부인 [[신덕왕후 강씨]]의 둘째아들 방석을 왕위계승자로 결정하였다. 이에 불만을 품은 ㅅ니의왕후 소생의 방원이 방석과 이를 옹호하였던 [[정도전]]과 [[남은]] 등의 정적을 제거하였다. 1398년(정종즉위년) 9월에 모두 29인의 공신들을 녹훈하였는데, 1등공신은 [[이화]] 등 12인, 2등공신은 [[이양우]] 등 17인이다. 정사공신은 객구 후 아직 안정되지 않은 왕권 및 정치권력의 혼란상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개국공신 사이의 권력 쟁탈이라는 점에서 이후 등장하는 [[좌명공신]]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34쪽.</ref>
 +
 
 +
 
 +
 
 +
# 특별전 도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개념]][[분류:역인초/지선문맥제안]]

2017년 10월 4일 (수) 01:16 판

정의

1398년(정조즉위년) 제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린 공신호.

내용

개국 후에 태조 이성계는 자신의 첫째부인 신의왕후 한씨의 소생이 아닌 둘째부인 신덕왕후 강씨의 둘째아들 방석을 왕위계승자로 결정하였다. 이에 불만을 품은 ㅅ니의왕후 소생의 방원이 방석과 이를 옹호하였던 정도전남은 등의 정적을 제거하였다. 1398년(정종즉위년) 9월에 모두 29인의 공신들을 녹훈하였는데, 1등공신은 이화 등 12인, 2등공신은 이양우 등 17인이다. 정사공신은 객구 후 아직 안정되지 않은 왕권 및 정치권력의 혼란상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개국공신 사이의 권력 쟁탈이라는 점에서 이후 등장하는 좌명공신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1]


  1. 특별전 도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