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사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19세기 경상북도 상주의 유학자 묵암(默庵) 김치진(金致振)이 서학의 교리를 조목별로 비판한 척사론서. <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816 척사론(斥邪論)]",<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세기 경상북도 상주의 유학자 묵암(默庵) 김치진(金致振)이 서학의 교리를 조목별로 비판한 척사론서. <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816 척사론(斥邪論)]",<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내용'''== | =='''내용'''== | ||
− | + | 저자의 생몰년과 경력은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동사상산인(東士商山人)’으로 지칭한 것으로 보아 본관은 상주(尙州)이며‚ 내용 중에 스스로 ‘집사(執事)’라고 칭하면서 지식은 갖추고 있으나 지위는 높지 않다고 하였다. 본 책은 저자가 천주교 서적을 보고 이를 변척(辨斥)하기 위하여 조목별로 비판한 척사론서로, 서학의 교리를 비판하는 부분과 서학을 물리치기 위해 제시한 방책부분으로 양분되어 있다. | |
+ | ===편찬/발간 경위=== | ||
+ | 서문에 따르면, “서학이 들어온 지 오래되었으나, 국가에서 금지하여 선비들이 그 책을 보기 꺼려해서 그 설을 깊이 물리칠 수 없게 되었고, 서학이 사람을 현혹하는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교도에게 전서를 구해보고 그 문제점을 비판하게 되었다.”고 저술 동기와 목적를 밝히고 있다. | ||
+ | ===서지적 사항=== | ||
+ | 필사본. 1책(119장).「척사론목록」에 소개된 항목 중에 「변척성체종전(卞斥聖體終傳)」‚ 「자탄가(自歎歌)」 등은 본문에 누락되어 있고, 「斥邪論序」에 있는 ‘병진(丙辰)’의 필사연대는 본문 중에 1801년(순조 1) 신유박해(辛酉迫害)에 대한 언급과 1852년(壬子) 이후 청(淸)에서 전쟁이 빈발하며 1854년(甲寅)에 일본이 양선(洋船)의 공격을 받은 일 등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병진’은 1856년(철종 7)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책은 1856년 이후에 저술된 것으로 보인다. | ||
+ | ===의의와 평가=== | ||
+ | 서학의 교리를 성리학의 학문적 논리로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맹목적이고 피상적인 서학 비판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따라서 19세기 서학과 유학의 논리를 학문적으로 비교 검토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2017년 10월 3일 (화) 20:38 판
척사론 (斥邪論) |
|
대표명칭 | 척사론 |
---|---|
한자표기 | 斥邪論 |
유형 | 문헌 |
정의
19세기 경상북도 상주의 유학자 묵암(默庵) 김치진(金致振)이 서학의 교리를 조목별로 비판한 척사론서. [1]
내용
저자의 생몰년과 경력은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동사상산인(東士商山人)’으로 지칭한 것으로 보아 본관은 상주(尙州)이며‚ 내용 중에 스스로 ‘집사(執事)’라고 칭하면서 지식은 갖추고 있으나 지위는 높지 않다고 하였다. 본 책은 저자가 천주교 서적을 보고 이를 변척(辨斥)하기 위하여 조목별로 비판한 척사론서로, 서학의 교리를 비판하는 부분과 서학을 물리치기 위해 제시한 방책부분으로 양분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서문에 따르면, “서학이 들어온 지 오래되었으나, 국가에서 금지하여 선비들이 그 책을 보기 꺼려해서 그 설을 깊이 물리칠 수 없게 되었고, 서학이 사람을 현혹하는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교도에게 전서를 구해보고 그 문제점을 비판하게 되었다.”고 저술 동기와 목적를 밝히고 있다.
서지적 사항
필사본. 1책(119장).「척사론목록」에 소개된 항목 중에 「변척성체종전(卞斥聖體終傳)」‚ 「자탄가(自歎歌)」 등은 본문에 누락되어 있고, 「斥邪論序」에 있는 ‘병진(丙辰)’의 필사연대는 본문 중에 1801년(순조 1) 신유박해(辛酉迫害)에 대한 언급과 1852년(壬子) 이후 청(淸)에서 전쟁이 빈발하며 1854년(甲寅)에 일본이 양선(洋船)의 공격을 받은 일 등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병진’은 1856년(철종 7)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책은 1856년 이후에 저술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서학의 교리를 성리학의 학문적 논리로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맹목적이고 피상적인 서학 비판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따라서 19세기 서학과 유학의 논리를 학문적으로 비교 검토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척사론 | 유중외대소민인등척사윤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