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문서 내용을 "*이원(고려) : 이원(李元, 고려). 최무선의 지인으로, 고려 말 원나라의 상인이자 기술자. *이원(여말선초) : 이원(李原,..."으로 바꿈)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
*[[이원(고려)]] : 이원(李元, 고려). 최무선의 지인으로, 고려 말 원나라의 상인이자 기술자.
|사진= KadhLogo2.gif
+
*[[이원(여말선초)]] : 이원(李原, 1368-1429). 여말선초(고려 말 ~ 조선 초기)의 문신. 중종의 외할아버지인 윤호(尹壕, 1424-1496)의 외할아버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원
 
|한자표기= 李元
 
|영문명칭=
 
|본관=
 
|이칭=
 
|시호=
 
|호= 
 
|자= 
 
|생년=
 
|몰년= 
 
|출생지=
 
|사망지=
 
|시대= 고려
 
|국적= 원
 
|대표저서=
 
|대표직함=
 
|배우자=
 
|부=
 
|모=
 
|자녀=
 
|전임자=
 
|후임자=
 
|상훈=
 
|능묘=
 
|성격= 상인, 기술자
 
|유형=
 
}}
 
=='''정의'''==
 
고려 말 원나라의 상인이자, 기술자.
 
  
=='''내용'''==
+
[[분류:동음이의어]] [[분류:프로젝트관리]]
[[고려사|《고려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최무선]]은 [[이원]]과 같은 동네에 살아 친하게 지내며 은근히 화약 만드는 기술을 물어보고 자기 집 하인 몇 명을 시켜 화약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염초]]제조법을 배워 화약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한다.<br/>
 
{{Blockquote| 10월 비로소 [[화통도감|화통도감(火㷁都監)]]을 설치했는데, 판사(判事) [[최무선|최무선(崔茂宣)]]의 말을 따른 것이다. [[최무선]]이 원(元) [[염초]] 기술자인 같은 마을 사람 [[이원|이원(李元)]]을 잘 대우하여 몰래 그 기술을 묻고, 가동 몇 명으로 하여금 익혀 시험해 본 후 마침내 왕에게 건의하여 설치하였다.
 
|출처=『高麗史』 禑王 3년(1377) 10월.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limit=20&page=1&codeIds=PERIOD-0-3&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B5%9C%EB%AC%B4%EC%84%A0&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133_0050_0100_0010/10/4/10/o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을 설치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Blockquote|...당나라 [[이원]]이란 자는 [[염초]] 굽는 장인인데, 공(公)이 매우 후하게 대우하고, 은밀히 그 기술을 물어서 집에서 부리는 종 몇 명을 시켜 사사로이 기술을 익히게 하여, 그 효과를 시험한 뒤에야 조정에 건의하여 홍무 10년 정사 10월에 처음으로 [[화통도감|화통도감(火㷁都監)]]을 설치하여 [[염초]]를 굽고...
 
|출처=『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9A_0030_010_0010&solrQ=query%E2%80%A0%EC%9D%B4%EC%9B%90%20%EC%97%BC%EC%B4%88$solr_sortField%E2%80%A0%EC%84%9C%EB%AA%85%EA%B2%80%EC%83%89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41$solr_curPos%E2%80%A019$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9A_0030_010_0010 군기시(軍器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최무선]] ||[[이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염초]] || [[이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references/>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사료
 
#* 『高麗史』 禑王 3년(1377) 10월.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limit=20&page=1&codeIds=PERIOD-0-3&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B5%9C%EB%AC%B4%EC%84%A0&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133_0050_0100_0010/10/4/10/o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을 설치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9A_0030_010_0010&solrQ=query%E2%80%A0%EC%9D%B4%EC%9B%90%20%EC%97%BC%EC%B4%88$solr_sortField%E2%80%A0%EC%84%9C%EB%AA%85%EA%B2%80%EC%83%89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41$solr_curPos%E2%80%A019$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9A_0030_010_0010 경도 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 민족기록화 인물]]
 

2017년 10월 3일 (화) 00:47 기준 최신판

  • 이원(고려) : 이원(李元, 고려). 최무선의 지인으로, 고려 말 원나라의 상인이자 기술자.
  • 이원(여말선초) : 이원(李原, 1368-1429). 여말선초(고려 말 ~ 조선 초기)의 문신. 중종의 외할아버지인 윤호(尹壕, 1424-1496)의 외할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