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진송씨 동춘당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한글팀 은진송씨 동춘당가01 동춘당.jpg
+
|사진=한글팀 은진송씨 동춘당가01 동춘당.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대전 회덕 동춘당
 
|대표명칭= 대전 회덕 동춘당

2017년 9월 23일 (토) 20:01 판

대전 회덕 동춘당
(大田 懷德 同春堂)
한글팀 은진송씨 동춘당가01 동춘당.JPG
대표명칭 대전 회덕 동춘당
한자표기 大田 懷德 同春堂
유형 유적
시대 조선
지정번호 보물 제209호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관련인물 송준길, 송시열
관련유물유적 주식시의


정의

동춘당은 대전 대덕구 송촌동에 위치한 송준길의 자택이다.

내용

동춘당의 건립

조선(朝鮮) 효종(孝宗) 때 대사헌,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지낸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이 낙향하여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 별당으로 우암 송시열(宋時烈)이 쓴 현판이 걸려 있다. [1]

구조

동춘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一자 모양의 평면으로 된 단층팔작지붕이며 민도리집 양식이다. 서쪽에는 정면 1칸, 측면 2칸의 큰 온돌방을 두고, 그 동쪽에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대청을 두었다. 방의 전면과 대청의 전면·측면·뒷면에는 좁은 툇마루를 달았는데 난간은 없다. 대청의 전면 창호는 띠살로 된 들어열개인데, 그 중 하나에는 작은 들창을 달아 겨울철에는 들어열개 분합문을 닫고 지낼 수 있도록 하였다. 방의 창호는 띠살로 된 여닫이창이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팔작지붕으로 막새기와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은진송씨 동춘당가 송준길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송시열 은진송씨 동춘당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송준길 송시열 A는 B와 교유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963년 은진송씨 동춘당가가 보물 제 209호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동춘당",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온라인 참조: "동춘당",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동춘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