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항복 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화_이항복 초상.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항복 초상 |한자명...)
 
31번째 줄: 3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이숭인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이항복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이숭인 초상]] || [[이숭인]]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이항복 초상]] || [[이항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이숭인 초상]] || [[고흥 성산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이항복 초상]] || [[강진 구곡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이숭인 초상]] || [[이숭인의 찬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좌안칠분면]] || [[이항복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숭인]] || [[이숭인의 찬문]] ||A는 B를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이항복 초상]]   || [[사모]]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이숭인의 찬문]] || [[동문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이항복 초상]]   || [[흉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좌안구분면]] || [[이숭인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항복 초상]] || [[내의]]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이숭인 초상]]   || [[단령|녹포단령]]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항복 초상]] || [[단령]]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이숭인 초상]]   || [[각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항복 초상]] || [[철릭]]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이숭인 초상]]   || [[흑립]]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항복 초상]] || [[답호]]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57번째 줄: 57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조선후기|| [[이숭인 초상]]이 제작되었다.  
+
| 조선후기|| [[이항복 초상]]이 제작되었다.  
 
|-
 
|-
 
|}
 
|}
65번째 줄: 65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4.5760720 || 127.2318780|| [[이숭인 초상]]은 [[고흥 성산사]]에 소장되어 있다.
+
| 34.485388 || 126.801347 || [[이항복 초상]]은 [[강진 구곡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
77번째 줄: 77번째 줄: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 웹 자원
 
# 웹 자원
#* 김용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605 성주이씨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6월 27일.
+
#* 정병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408 강진구곡사소장익재이재현상과백사이항복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논문
+
# 전시도록
#* 윤진영, 「성주이씨 가문의 초상화 연구」, 『장서각』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단행본
 +
#* 조선미,  『한국초상화 연구』, 열화당, 1983.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89쪽.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지선수정중]]
 
[[분류:역인초/지선수정중]]

2017년 9월 23일 (토) 02:57 판


이항복 초상
한자명칭 李恒福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조선 후기
소장처 강진 구곡사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203×83㎝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이항복(1556∼1618)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강진 구곡사 소장에 소장된 <이항복 초상>은 원래 후손의 집에 봉안되어 있던 중년의 초상원본(元本)과 부본(副本) 가운데서 부본을 옮겨 온 것이다. 1999년 10월 18일 도난당했다가 그 해 11월 11일에 회수하였다. 그림은 18∼19세기에 이모된 것으로 보이나 양식적으로 호성공신화상의 형식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어 이항복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녹훈되었을 때 받은 공신화상을 범본으로 삼은 이모본으로 추정된다.
<이항복 초상>은 제작연대가 확실하지는 않지만 원본을 충실히 옮겨 그린 것으로 18세기 초 호성공신화상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어, 공신도상 연구에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항복 초상>은 좌안칠분면사모를 쓰고 가슴에 모란, 공작 흉배를 한 정장관복본의 전신교의좌상이다. 바닥에는 채전이 깔려져 있고 족좌대 위에 팔자로 발을 얹고 곡교의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소매사이로 살짝 보이는 흰색 내의와, 단령의 오른쪽 트임에서 뻗친 세모꼴‘무’의 표현, 트임 사이로 보이는 철릭답호 등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말 공신화상에 나타나는 특징이다.[1]
이항복의 얼굴은 이목구비가 크고 각지고 커서 다부진 느낌을 주는 턱에 전체적으로 색이 짙고 숱이 많은 수염까지 나있어서 남자답고 강인한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항복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항복 초상 이항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항복 초상 강진 구곡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좌안칠분면 이항복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항복 초상 사모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항복 초상 흉배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항복 초상 내의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항복 초상 단령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항복 초상 철릭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항복 초상 답호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조선후기 이항복 초상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485388 126.801347 이항복 초상강진 구곡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권혁산, 「朝鮮 中期 『錄勳都監儀軌』와 功臣畵像에 관한 硏究」, 『미술사학연구』제266호, 한국미술사학회, 2010, 76~77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웹 자원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조선미, 『한국초상화 연구』, 열화당, 1983.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