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내용'''==
 
=='''내용'''==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해방 이후 대학을 졸업한 첫 세대로 1950년대 후반 젊은 작가들의 전향적 미술단체였던 현대미술가협회 창립과 2차 세계대전 이후 생겨난 추상표현주의의 하나인 앵포르멜(informel)운동에 김창렬, 박서보 등과 함께 참여하였다. 이러한 운동이 잦아들자 1960년대에 도입된 추상미술 경향인 옵티칼 아트(optical art)를 수용한 기하학적인 색면추상으로의 이행을 보이기도 하였다.<br/>
+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해방 이후 대학을 졸업한 첫 세대로 1950년대 후반 젊은 작가들의 전향적 미술단체였던 [[현대미술가협회]] 창립과 2차 세계대전 이후 생겨난 추상표현주의의 하나인 [[앵포르멜|앵포르멜(informel)]]운동에 [[김창렬]], [[박서보]] 등과 함께 참여하였다. 이러한 운동이 잦아들자 1960년대에 도입된 [[추상미술]] 경향인 [[옵티칼 아트|옵티칼 아트(optical art)]]를 수용한 기하학적인 색면추상으로의 이행을 보이기도 하였다.<br/>
 +
 
 
1970년대 중반부터 그는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찾아갔는데, 푸른색을 주조로 추상적인 파상선과 패턴들이 확산하듯 구축된 개성 있는 화면이 그것이다. 이는 불교사상에 심취한 그의 예술적 심의를 반영한 것으로, 무(無)와 유(有)의 순환을 원운동으로 파악한 불교의 우주관을 조형적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무한히 반복되는 구조와 원환적인 구성, 그리고 확산적인 색채로 윤회의 사상을 표현한 것이다.<br/>
 
1970년대 중반부터 그는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찾아갔는데, 푸른색을 주조로 추상적인 파상선과 패턴들이 확산하듯 구축된 개성 있는 화면이 그것이다. 이는 불교사상에 심취한 그의 예술적 심의를 반영한 것으로, 무(無)와 유(有)의 순환을 원운동으로 파악한 불교의 우주관을 조형적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무한히 반복되는 구조와 원환적인 구성, 그리고 확산적인 색채로 윤회의 사상을 표현한 것이다.<br/>
 +
 
이처럼 그는 서구미술에 연원을 둔 회화양식에 동양적이고 토착적인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불화와 민화, 무속화 등과 같은 전통 속에서 조형적 가치와 기법을 받아들이고, 단청의 색채 그리고 오방색과 오간색을 이용하여 장식적인 색채의 조화와 변주를 모색하였으며, 화면구성에 있어서는 동양의 종교적, 철학적 심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보다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생의 환희와 역동성을 상징하는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이처럼 그는 서구미술에 연원을 둔 회화양식에 동양적이고 토착적인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불화와 민화, 무속화 등과 같은 전통 속에서 조형적 가치와 기법을 받아들이고, 단청의 색채 그리고 오방색과 오간색을 이용하여 장식적인 색채의 조화와 변주를 모색하였으며, 화면구성에 있어서는 동양의 종교적, 철학적 심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보다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생의 환희와 역동성을 상징하는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2017년 9월 20일 (수) 00:07 판

@ 작가 문맥 원고 받은 후 수정 예정 /

하인두(河麟斗)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하인두
한자표기 河麟斗
영문명칭 Ha In-doo
생몰년 1930년 8월 16일-1989년 11월 12일
출생지 경상남도 창녕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 서양화가.

내용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해방 이후 대학을 졸업한 첫 세대로 1950년대 후반 젊은 작가들의 전향적 미술단체였던 현대미술가협회 창립과 2차 세계대전 이후 생겨난 추상표현주의의 하나인 앵포르멜(informel)운동에 김창렬, 박서보 등과 함께 참여하였다. 이러한 운동이 잦아들자 1960년대에 도입된 추상미술 경향인 옵티칼 아트(optical art)를 수용한 기하학적인 색면추상으로의 이행을 보이기도 하였다.

1970년대 중반부터 그는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찾아갔는데, 푸른색을 주조로 추상적인 파상선과 패턴들이 확산하듯 구축된 개성 있는 화면이 그것이다. 이는 불교사상에 심취한 그의 예술적 심의를 반영한 것으로, 무(無)와 유(有)의 순환을 원운동으로 파악한 불교의 우주관을 조형적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무한히 반복되는 구조와 원환적인 구성, 그리고 확산적인 색채로 윤회의 사상을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그는 서구미술에 연원을 둔 회화양식에 동양적이고 토착적인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불화와 민화, 무속화 등과 같은 전통 속에서 조형적 가치와 기법을 받아들이고, 단청의 색채 그리고 오방색과 오간색을 이용하여 장식적인 색채의 조화와 변주를 모색하였으며, 화면구성에 있어서는 동양의 종교적, 철학적 심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보다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생의 환희와 역동성을 상징하는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학력

  • 1954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경력

  • 1954 동주여자중학교 미술 교사
  • 1955 경남여자중학교 미술 교사
  • 1957 현대미술가협회 창립
  • 1958 경기공업고등학교 교사
  • 1959 덕성여자고등학교 교사
  • 1975 한국미술가협회 상임이사·고문
  • 1977 영토회(領土會) 회장
  • 1977,1979 아시아 현대 미술 대표 단장
  • 1978-1989 한성대학교 미술과 교수
  • 1986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심사 위원

전시

  • 1956 [개인전] 부산 청우 다방
  • 1959-1969 조선일보사, 현대 작가 초대전 출품
  • 1969 상파울루 비엔날레 출품
  • 1971 인도 트리엔날레, 카뉴 회화제 출품
  • 1976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초대 작가로 출품

수상

  • 1996 갤러리 서미, 하인두 추모전 개최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A항목 B항목 관계
하인두 하인두-동명목재 A는 B를 그렸다
현대미술가협회 하인두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하인두 앙포르멜 A는 B와 관련이 있다
하인두 여성동아 A는 B와 관련이 있다
하인두 현대미술가협회 A는 B의 회원이다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하인두 현대미술가협회 창립연도 1957년
하인두 하인두-동명목재 제작연도 1973년
하인두 한성대학교 미술과 교수 재직기간 1978년-1989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참고문헌

  • 사이트
    •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03월 18일 확인
    • "금주의 인기작가-하인두", 『양평군립미술관』, 2017년 03월 24일 확인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