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만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만우(卍雨) 호는 천봉(千峯) 또는 만우(萬雨)이다. 어려서 출가하여 대사 [[각운|각운(覺雲)]]의 제자가 되었다.<REF>민백</REF>.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의 비문에 [[혼수|보각국사 혼수]]의 제자로 기록되어 있다.
+
만우(卍雨) 호는 천봉(千峯) 또는 만우(萬雨)이다. 어려서 출가하여 대사 [[각운|각운(覺雲)]]의 제자가 되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677 만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의 비문에 [[혼수|보각국사 혼수]]의 제자로 기록되어 있다.
  
학문에 힘써 두루 내외 경전을 탐구하였고 시서(詩書)에 능하여 당대의 석학인 [[이색|이색(李穡)]]·[[이숭인|이숭인(李崇仁)]] 등이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중히 여겼으며, [[집현전]] 학사들과도 교유가 있었다.<REF>민백</REF>
+
학문에 힘써 두루 내외 경전을 탐구하였고 시서(詩書)에 능하여 당대의 석학인 [[이색|이색(李穡)]]·[[이숭인|이숭인(李崇仁)]] 등이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중히 여겼으며, [[집현전]] 학사들과도 교유가 있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677 만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90세가 넘도록 용모가 맑고 기질이 강건하였으며, 음식을 먹는 데도 자제하였다고 한다. 그의 작품 중 일본 승려 분케이(文溪)에게 지어준 시 1수와 「[[산중음|산중음(山中吟)]]」이 전하며, 『[[동문선|동문선(東文選)]]』에 [[이색]]이 그에게 천봉이라 호를 붙인 내력을 적은 「[[천봉설|천봉설(千峰說)]]」이 실려 있다. 저서로 『[[천봉시집|천봉시집(千峰詩集)]]』 1권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REF>민백</REF>
+
90세가 넘도록 용모가 맑고 기질이 강건하였으며, 음식을 먹는 데도 자제하였다고 한다. 그의 작품 중 일본 승려 분케이(文溪)에게 지어준 시 1수와 「[[산중음|산중음(山中吟)]]」이 전하며, 『[[동문선|동문선(東文選)]]』에 [[이색]]이 그에게 천봉이라 호를 붙인 내력을 적은 「[[천봉설|천봉설(千峰說)]]」이 실려 있다. 저서로 『[[천봉시집|천봉시집(千峰詩集)]]』 1권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677 만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9월 17일 (일) 00:48 판

만우(卍雨, 萬雨)
BHST Monk1.png
대표명칭 만우
한자 卍雨, 萬雨
생몰년 1357년(공민왕 6)-?
천봉(千峯)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선승(禪僧).

내용

만우(卍雨) 호는 천봉(千峯) 또는 만우(萬雨)이다. 어려서 출가하여 대사 각운(覺雲)의 제자가 되었다.[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의 비문에 보각국사 혼수의 제자로 기록되어 있다.

학문에 힘써 두루 내외 경전을 탐구하였고 시서(詩書)에 능하여 당대의 석학인 이색(李穡)·이숭인(李崇仁) 등이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중히 여겼으며, 집현전 학사들과도 교유가 있었다.[2]

90세가 넘도록 용모가 맑고 기질이 강건하였으며, 음식을 먹는 데도 자제하였다고 한다. 그의 작품 중 일본 승려 분케이(文溪)에게 지어준 시 1수와 「산중음(山中吟)」이 전하며, 『동문선(東文選)』에 이색이 그에게 천봉이라 호를 붙인 내력을 적은 「천봉설(千峰說)」이 실려 있다. 저서로 『천봉시집(千峰詩集)』 1권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3]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각운 만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혼수 만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만우 이색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만우 이숭인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만우 동문선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mentions B
만우 천봉시집 A는 B를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1. 김위석, "만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만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위석, "만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만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위석, "만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