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금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금책_순비책봉의궤_규장각.jpg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금책_순비책봉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PAGENAME}}
+
|대표명칭= 금책
 
|한자표기= 金冊
 
|한자표기= 金冊
 
|영문명칭=
 
|영문명칭=
29번째 줄: 29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금인|금인(金印)]]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금책(金冊) || [[금인|금인(金印)]]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PAGENAME}}''' || [[순비책봉의궤|『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금책(金冊) || [[순비책봉의궤|『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2017년 9월 14일 (목) 20:00 판


금책(金冊)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금책
한자표기 金冊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가례(嘉禮)-대례(大禮), 혼례(婚禮)에 사용



정의

책봉에 관련된 내용을 도금한 금편에 새긴 후 책(冊)으로 엮은 의례용 문서이다.

내용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격상된 이후 황후에서 친왕과 그 배우자에 이르는 인물을 책봉을 할 때 사용하였다.
금책에 새기는 글을 금책문(金冊文)이라고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금책(金冊) 금인(金印)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금책(金冊)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01년 9월 1일 순헌황후의 금책이 제작되었다.
1906년 11월 순정황후의 금책이 제작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고종대례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下)』
  2. 『고종대례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下)』
  3. 『고종대례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下)』
  4. 『순비책봉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下)』
  5.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장을연, 「대한제국기 금책(金冊)의 현황과 양식적 특징」, 『고문서연구』46권, 한국고문서학회, 2015, 205~230쪽.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